홈 > 디렉토리 분류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874년경 「고령김식문(高靈金埴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F.1905.2771-20180630.Y18503020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도동서원, 도산서원, 도동서원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작성시기 1905
형태사항 크기: 29.5 X 20.5
수량: 0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현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5년 8월 「도산래문(陶山來文)」
1905년(광무 9) 8월 경상북도(慶尙北道) 예안군(禮安郡)도산서원(陶山書院) 유림이 경상북도 현풍군(玄風郡)도동서원(道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이다. 이 통문은 조선후기 이후 도동서원 측이 수급한 각종 통문을 엮어 놓은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에 「도산래문(陶山來文)」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통문에서 도산서원 측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묘갈(墓碣)을 새롭게 단장하고 개최하는 개갈고유제(改碣告由祭)의 많은 참석을 당부해 놓았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905년 8월 慶尙北道 禮安郡陶山書院 유림이 退溪 李滉의 墓碣을 새롭게 단장하고, 이를 기리기 위해 개최하는 改碣告由祭의 참석을 부탁하고자 慶尙北道 玄風郡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各處通文謄草 第一
자료의 내용
1905년(광무 9) 8월 慶尙北道 禮安郡陶山書院 유림 李燦和·李晩胤·李晩鉉·李晩燾·金性敎·琴鼎基·吳達永 등이 慶尙北道 玄風郡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이다. 이 통문은 도동서원에서 엮은 『各處通文謄草』 第一에 「陶山來文」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본 통문에서 도산서원 측은 오는 10월 11일 巳時에 새롭게 단장한 退溪 李滉[1501~1570]의 墓碣에 대하여 改碣告由祭를 개최하오니, 여러 분의 많은 참석을 요청해 놓았다. 퇴계의 묘소는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위치하며, 묘갈에는 퇴계의 유언에 따라 ‘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는 명문이 짤막하게 새겨져 있다.
자료적 가치
본 통문은 도동서원 이외의 여러 校院에 발급된 것으로 당시 도산서원의 사회적 위상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陶山來文【乙巳八月日李燦和李晩胤李晩鉉李晩燾金性敎琴鼎基吳達永

右文爲通告事先師退陶先生墓碣改立祭告在今
十月十一日巳時玆以奉告伏願僉尊濟濟賁臨共
敦斯文大事幸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