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4년 8월 4일 「합천소학당래문(陜川小學堂來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F.1904.2771-20180630.Y185030204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도동서원, 소학당, 도동서원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작성시기 1904
형태사항 크기: 29.5 X 20.5
수량: 0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현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4년 8월 4일 「합천소학당래문(陜川小學堂來文)」
1904년(광무 8) 8월 4일 경상남도(慶尙南道) 합천군(陜川郡)소학당(小學堂) 유림이 경상북도(慶尙北道) 현풍군(玄風郡)도동서원(道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이다. 이 통문은 조선후기 이후 도동서원 수급의 각종 통문을 엮어 놓은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에 「합천소학당래문(陜川小學堂來文)」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본 통문을 통해 소학당은 존현(尊賢)과 흥학(興學)을 위한 계를 설립하였으니, 많은 관심을 가져주기를 당부해 놓았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904년 8월 4일 慶尙南道 陜川郡小學堂 유림이 尊賢과 興學을 위한 契의 결성을 알리고자 慶尙北道 玄風郡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各處通文謄草 第一
자료의 내용
1904년(광무 8) 8월 4일 慶尙南道 陜川郡小學堂 유림 金魯東·郭鍾錫·張錫藎·李承熙·李斗勳 등이 慶尙北道 玄風郡道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이다. 이 통문은 도동서원에서 엮은 『各處通文謄草』 第一에 「陜川小學堂來文」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소학당1904년 尊賢과 興學을 위한 契를 결성하였고, 이를 도동서원에 알리고자 본 통문을 발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합천소학당래문」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통문에서는 먼저 소학당文敬公 寒暄堂 金宏弼[1454~1504]의 讀書處이자 講道處로 지금까지 300여 년 동안 그 향기가 그대로 남아 있으며, 거문고를 타면서 시를 읊는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음을 밝혀 놓았다. 그래서 遠近에 있는 사림이 한 목소리로 규약을 만들어 尊衛의 방도로 삼고자 했고, 지금 마침 사림이 齊會한 때를 만나, 계를 결성하자는 의견이 높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고을과 도내에 통문을 보내어, 이렇게 결성된 계를 영구히 尊賢과 興學의 바탕으로 삼을 것이니, 여러 분께서는 특별히 생각하여 좋은 가르침을 주기를 당부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개항기 유교 시설을 매개로 전개된 보수 유림의 향촌사회활동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陜川小學堂來文【甲辰八月四日金魯東郭鍾錫張錫藎李承熙李■〔斗〕■〔勳〕等】
右文爲通喩事伏以本堂卽文敬公寒暄堂金先生
讀書講道之所而到今三百餘年遺芬尙存絃誦未
絶其在遠近士林所宜齊聲合規以爲一體尊衛之
方玆者適因襟紳之齊會與議峻發擬欲別立一契
通同鄕道永爲尊賢興學之資伏以僉尊?思良規
克敦此事千萬幸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