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1년 6월 풍기군 사림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81.4721-20170630.Y172190714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81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1년 6월 풍기군 사림 상서(上書)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상서(上書)로, 본 「잡록」의 가장 말미에 수록된 기사다. 해당 상서는 1681년 6월 20일 풍기군의 사림(士林)들이 풍기향교 이건을 청원하기 위해 풍기군수(豊基郡守)에게 올린 것이다. 상서에 따르면 지금의 풍기향교가 위치한 곳은 지세가 낮아 3면이 논밭과 맞닿아 있으며, 이로 인해 논밭의 물과 오물이 향교 묘정(廟庭)으로 스며들어 대성전(大成殿) 등의 건물이 쉽게 훼손되는 상황임을 호소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근래 비바람으로 향교 건물 일부가 전복되어 보수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고, 풍기군 사림들은 이를 계기로 상서를 올려 향교 이건을 청원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81 6월 20일 慶尙道 豊基郡의 士林들이 豊基鄕校 移建을 청원하기 위해 豊基郡守에게 올린 上書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上書다. 해당 상서는 1681년 6월 20일 풍기군의 士林들이 豊基郡守에게 올린 것으로 1641~1681년 「잡록」의 가장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다. 상서에서 풍기군의 사림들은 풍기향교 移建을 청원해 놓았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원래 풍기향교는 군의 西山 아래에 위치해 있었는데, 지난 1542년 城門의 大谿 가운데로 이건하였다. 그러나 지세가 낮아 서·남·북 삼면에 모두 논밭이 위치해, 논밭의 밭두둑과 聖廟의 처마기와가 맞닿아 있었으며, 나머지 건물의 형세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논밭의 물이 廟庭으로 흘러 내렸고, 특히 여름이 되면 논밭 봇도랑의 물이 人畜의 오물과 섞여 묘정으로 스며들었다. 이로 인해 풍기향교 기둥과 들보 등은 쉽게 썩고 퇴락하였다. 사람도 이러한 곳에는 살지 못하는데, 하물며 성묘가 위치한 곳이 이러하니 매우 민망한 까닭에, 이러한 사정을 여러 차례 本官과 慶尙監營에 呈書하였지만,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근래 風雨로 인해 풍기향교의 건물이 전복되는 변을 당하여서 수리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이상의 사정을 계기로 풍기군의 사림들은 풍기군수에게 향교 이건을 허락하고 지원해 주기를 청원하였던 것이다.
1641~1681년 「잡록」 가장 뒷장에는 「잡록」을 1649년부터 작성하기 시작했음을 기재해 놓았다. 이 「잡록」은 1986년 새롭게 結冊했다고 하며, 당시 풍기향교 典校는 張鳳基가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관의 지원 및 협조 하에 운영되던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는 지방의 官學이었던 관계로 지방관의 지원과 협조 하에 운영되었다. 특히 향교 장려는 守令考課 중 하나인 ‘興學校’에 해당되었기에 지방관의 입장에서도 향교 운영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이에 향교 측은 중수 및 이건 공사와 같이 많은 물력과 노동력이 필요한 사업을 진행할 경우 관에 협조를 요청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辛酉六月二十日幼學▣晩瑤等謹齋沐上書于二天閤下伏以本郡
鄕校舊在西山之下而▣▣壬寅年間移建于城門大谿之中地勢
伏下西南北三面皆稻田而稻田之畦?實與聖廟之?瓦齋焉東
西房之?宇及齋於稻田之畦?稻田之水?漏則汚下之廟庭因
其勢也擧趾者夏之時溝?▣▣之日?水海溢則廟庭濕
氣所潤事▣椽改人畜所餘氣浸薰較之村居尙且未宜復楫
此若其聖廟之宇以此之故禁世呈書本官或呈文巡文
作一作再事或拘加擧措之鄭重或?間▣傳之無緣莫重聖
廟之托▣作所者凡幾日月民等之有志未成者亦幾許▣捧▣▣
今者室風雨覆壓之變也因知民等?事之不早而或者▣▣▣▣
昔可重他之不得其所也可之當水之重於移建而遷延▣▣▣
等事勢之▣右而適於今日値此變故▣下重修之文不日專則▣
因此重修之擧還▣舊基重建所廟則實是及凶?吉者
舊從就之一斯矣也禁請陳其梗慨▣▣去己卯年間冬春之右
聖廟東建少裏▣及爲傾?從祀位復▣▣▣▣▣歷此因由則津▣之
地凍▣▣地月而鮮練則春日故也東西多兩?則地勢又下湫濕尤甚
前面後面之?椽及爲?落故以此辭緣校報本郡轉照報使▣
仁祖二十七年己丑(三九八二)作成
檀紀四三一九年丙寅十一月十日再結冊
典校張鳳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