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67년 전답 및 노비 추심(推尋)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67.4721-20170630.Y172190713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67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67년 전답 및 노비 추심(推尋)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67년 전답(田畓) 및 노비(奴婢) 추심(推尋) 기사다. 조선시대 전답과 노비는 향교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이에 풍기향교는 이전까지 누락되어 있던 전답과 청주목(淸州牧)에 거주하고 있던 노비를 찾아내어, 향교에 소속시켰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66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가 田畓과 奴婢를 推尋한 사실을 기록해 놓은 1667년 9월 24일 기사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67년 기사다. 해당 기사는 1666년 4월 초6일 花山 後人 權?이 草한 문서를 1667년 9월 24일 자로 수록해 놓은 것이다. 기사에는 田畓과 奴婢를 推尋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먼저 추심된 전답은 故 奴 得金이 경작하던 전답으로 炭釜員에 소재한 6斗落只이며, 結負數로는 12부 8속이었다. 노비는 故 婢 蘭香의 記上 奴 仇叱金, 婢 末叱春의 1소생 奴 緣庚과 2소생 婢 莫介가 추심된 것으로 나타난다. 노 구질금은 비 난향의 소유였지만, 난향 사후 풍기향교로 記上되었다. 본 「잡록」의 다른 기사에는 비 난향풍기향교 노비로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구질금이 향교로 기상된 것이다. 부기에 따르면 淸州牧이 추심 증빙을 斜只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노비들은 청주목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자료 말미에는 당시 풍기향교 校任인 都有司와 掌議의 성씨와 署押이 기재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전답과 노비는 향교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었기에 본 기사에서처럼 풍기향교는 推尋을 통해 배타적 소유를 적극적으로 확인하려 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丙午四月初六日花山後人權?立草

故奴得金炭釜員九十一畓拾貳負捌束陸斗落只及
故婢蘭香記上奴仇叱金買時婢末叱春一所生奴緣庚
二所生婢莫介等今年推尋文記校上【仇叱金還得末叱春時以其四
寸姜好立名成文淸州官斜只故其文記推尋?上】丁未九月二十四日都有司朴[署押]
掌議黃[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