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74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74.4721-20170630.Y172190714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74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74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74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풍기군 관아가 향교에 물품을 부조한 사실, 인선왕후(仁宣王后)현종(顯宗) 승하(昇遐) 후 풍기군에서 거행한 향사(享祀) 및 국상(國喪) 절차를 수록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74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물품 부조 및 國喪 관련 기사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74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관의 물품 부조, 국상 관련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12월 풍기군 관아에서 松墨 小節 1동을 보내왔다. 당시 豊基郡守李彙晉이었다. 8월 초6일 釋奠祭의 致齋에는 白巾服을 착용해야 되나 黑巾服을 대신 착용하였다. 이 해에 孝宗의 왕비였던 仁宣王后가 昇遐하였기에, 國喪의 예에 맞추어 享祀가 거행되었던 것이다. 8월 18일 顯宗이 승하하였다. 해당 關文이 來到하자 풍기군수와 三所, 즉 향교·留鄕所·書院의 임원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官門에 모여 四拜를 올리고 곡을 하였다. 6일 成服 때에는 會員 40여인이 참여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松墨小節一同甲寅十二月日郡守李彙晉
甲寅八月初六日釋奠祭時致齋則用白巾服牲及行祀時
則用黑巾服時有大妃喪故也
甲寅八月十八日
顯宗大王昇遐關字來到後郡守及三所任員及某某人皆會
哭官門行四拜遯六日成服時會員四十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