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1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81.4721-20170630.Y172190714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81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1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1년 기사로 백일장(白日場) 거행, 건물 중수, 위판 개제(改題)와 관련된 사실을 수록해 놓았다. 먼저 백일장은 3월 초6일에 거행되었는데, 이에 앞서 1680인경왕후(仁敬王后)가 승하(昇遐)하여 국상(國喪) 중이었기 때문에, 풍기군수(豊基郡守)풍기군 유생(儒生)들이 이에 맞는 의복을 착용하고 백일장을 치렀다. 풍기향교 중수는 6월 초5일에 있었던 큰 비바람으로 인한 건물 훼손 때문에 이루어졌다. 해당 기사에는 10월 초6일까지의 공사 과정과 향축(香祝)의 보관 및 위판의 이안(移安)·환안(還安) 과정이 소개되어 있다. 9월에는 문성공 안향의 위판 글씨가 잘못되어 이를 고쳐 썼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81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白日場 거행, 건물 중수, 위판 改題 관련 기사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81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白日場 거행, 風雨로 훼손된 건물 重修, 文成公 安珦의 위판 改題와 관련된 사실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3월 초6일 官門에서 白日場을 거행하였다. 이때 豊基郡守는 烏紗帽와 黑角帶를 착용하였고, 儒生들 또한 黑巾과 帶를 착용하였다. 이에 앞서 1680肅宗의 中殿이었던 仁敬王后가 昇遐하였는데, 이달 초5일이 卒哭이었기 때문이다.
6월 초5일 戌時에 비바람이 동북쪽에서 크게 일어나 大成殿 뜰아래의 오래된 측백나무가 西? 처마 동남쪽 아래로 쓰러졌다. 7일, 서무에 봉안된 位版을 풍기군수의 分付에 의거해 明倫堂으로 옮기고, 즉시 慶尙道觀察使에게 보고하였다. 移安과 還安의 祝을 8월 12일 慶尙監營이 위치한 大丘都護府大丘鄕校 校生들이 陪來해 와서 客舍에다 봉안하였다. 교생들이 서로 교체해 가며 9월 20일까지 守直하였다. 이미 대성전과 東?의 위판은 명륜당에 봉안하였지만, 그간 일자가 지체된 것은 官이 와서 살펴보기를 기다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날 會員 30여 인이 바로 공사를 시작해서 10월 초6일 마쳤다. 이어 24일까지 단청을 칠했다. 환안과 이안의 祝文은 笏記에 실었으며, 還安 改題 때 회원 40여 인이 모였다.
9월 28일 文成公 안향의 위판을 改題하였다. 이때 香祝은 東萊鄕校의 교생들이 陪來해 왔다. 당시 경상도관찰사東萊都護府를 巡行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還安의 祝香도 10월 25일까지 명륜당에 안치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위판 봉안 절차와 의례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辛酉三月初六日官門白日場時太守用烏紗帽黑
角帶儒生亦用黑巾帶以其初五日卒哭後故也
辛酉六月初五日戌時風雨自東北大起大成殿庭
下古柏顚覆西??下東南隅屋角頹抑▣七日▣
西?位版因郡守分付權移於明倫堂卽報
使
因爲▣達移還安香祝八月十二日自巡營
大丘校生陪來奉安于客舍校生相遞守直至九
月二十日也已奉大成殿及東?位版移安于明
倫堂其間日子之遷延蓋▣地主以東當考官往▣
山▣故也會員三十餘人其日卽爲始役十月初六
日畢役因施丹?至二十四日癸卯還安移還安祝
文俱載於笏記中還安改題時會員四十餘人
同年九月二十八日文成公位版改題香祝東萊校生陪
來蓋以巡使巡到東萊故也與還安祝香俱安于
明倫堂至十月二十五日甲辰改題【以文成公名字犯文家假傍故改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