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0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80.4721-20170630.Y172190714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80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0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80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먼저 풍기군 관아에서 풍기향교에 송묵(松墨)을 부조한 것과 8월 석전대제(釋奠大祭)를 앞두고 풍기향교 측이 유분(鍮盆)을 새로 마련했다는 사실을 수록해 놓았다. 이어 당시 국왕이었던 숙종(肅宗)의 중전(中殿) 인경왕후(仁敬王后) 승하로 인한 풍기군에서의 국상(國喪) 절차를 기록하였다. 이에 앞서 1635인열왕후(仁烈王后)의 초상절목(初喪節目)을 수록하였다. 인열왕후인조(仁祖)의 중전으로 있으면서 승하한 인물이었다. 따라서 인열왕후 초상절목은 1680인경왕후 승하 때 참조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80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물품 부조, 물품 마련, 國喪 관련 기사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80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풍기향교가 물품을 부조 받고 새로 마련한 사실, 國喪과 관련된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먼저 9월 30일에는 풍기군에서 풍기향교로 松墨 大折 1정과 中折 2정을 보내왔다고 한다. 당시 豊基郡守權尙任이 맡고 있었다. 이는 관의 부조로 물품이 마련된 것인데, 향교가 지방 官學이었던 관계로 지방관의 지원과 협조 하에 운영되던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앞서 8월 1일에는 釋奠大祭 때 사용할 鍮盆 2좌를 새로 마련했음을 기록해 놓았다.
물품 마련 기사 다음에는 1635仁烈王后의 初喪節目을 수록해 놓았다. 이 해에 仁敬王后가 昇遐했기 때문에 풍기향교 유생들이 예전 사례를 참조하고자 초상절목을 수록한 것으로 보인다. 두 왕후는 大妃가 아니라 각각 仁祖肅宗의 中殿으로 있으면서 승하하였기에 참고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초상절목에는 중전이 승하했을 때 宗親과 文武百官, 그리고 生員·進士·生徒 등이 착용해야 하는 의복, 卒哭 전후의 금기 행동 등이 소개되어 있다. 이어 10월 26일 숙종의 왕비인 인경왕후 승하와 관련된 풍기군 사림들의 국상 절차를 기록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11월 초1일 고을 사람들이 승하 소식을 들었고, 초4일 關文이 내도했다고 한다. 그러자 3所, 즉 留鄕所·향교·書院의 임원들이 官門에 모여 哭하였다. 5일이 지나 成服하였는데, 葬時에는 관문이 내려오지 않아, 관문에 모여서 곡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관의 지원 및 협조 하에 운영되던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松墨大折一丁中折二丁自官送來
庚申九月三十日郡守權尙任
大祭時所用鍮盆四坐新備
庚申八月一日
乙亥韓中殿初喪節目
宗親文武百官齊衰朞年團領衣用次等鹿生布布?
帽用次等鹿生布?紗帽去?脚以布佐帶前繫

後垂麻帶白皮靴卒哭後白衣烏紗帽笠則用白黑
帶凡于喪事着衰服前御三品以下及生員進士生徒白
衣白笠白帶白皮靴生員進士生徒入學校白頭巾卒
哭後黑頭巾卒哭後白衣白笠黑帶終期年庶人十三
日而除卒哭後凡祭皆用集巷市五日禁嫁娶卒哭後
許借吉三日屠宰禁卒哭前考諸官文書追而書之
庚申十月二十六日金中殿昇遐十一月初一日▣道
路人聞之初四日關文來到三所任員會哭官門越五日成服
葬時無會哭關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