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49년 10월 수호군(守護軍) 환속(還屬) 청원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49.4721-20170630.Y17219071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49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49년 10월 수호군(守護軍) 환속(還屬) 청원 기사
1649년 10월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가 향교 소속 수호군(守護軍)을 환속(還屬)받기 위해 관아에 청원한 사실을 열거해 놓은 기사다. 이 기사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수호군은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교보(校保)에 해당된다. 교보는 향교에 물력이나 노동력을 제공하는 대신 군역(軍役)을 면제받는 자들이다. 당시 풍기향교에는 대성전(大成殿)을 관리하는 수호군 5명이 있었는데, 1649년 10월 관아에서 이들을 군액(軍額)으로 충당하였기에 풍기향교의 유생과 풍기군의 사림(士林)들이 환속해 주기를 관아에 청원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49년 10월 향교 守護軍 還屬 청원 기사
자료의 내용
1649년 10월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가 官衙에 聖殿 守護軍을 돌려받기 위하여 청원했던 사실을 열거해 놓은 기사다. 이 기사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 진행된 청원의 경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1649년 10월 풍기향교 성전, 즉 大成殿을 관리하는 守護軍 5명이 充軍되었다. 이에 고을의 老少가 향교에 모여 수호군을 향교로 還屬해 달라고 論報하였으나, 풍기군은 들어주지 않았다. 이에 邑中 인사들이 재차 呈文을 올렸지만, 이번에도 退字를 맞아 풍기군의 士論이 분개하였다. 옛 풍속과 法典에는 분명 "募入人丁은 향교 40명, 賜額書院 20명"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1649년 10월 軍額으로 충당된 풍기향교 대성전 수호군은 일종의 校保에 해당된다. 교보는 保人·募軍·募入人·保直·鄕校守護軍·募屬·鄕校除役軍·自募·保奴 등으로 불리는데, 이들은 軍役을 면제받는 대신 향교에 물력을 납부하거나, 노동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풍기향교의 수호군 5명은 대성전을 관리하는 대신 군역을 면제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보가 군역보다 상대적으로 歇役이었기에 조선후기로 갈수록 避役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법전에 따르면 향교는 40명까지 募入人丁, 즉 교보를 보유할 수 있었으나 조선후기로 갈수록 규정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져, 군액의 감소와 국가 재정 악화라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이에 정부는 향교에 투탁한 각종 교보를 군액에 충당하는 조치를 취하였지만, 향교의 재정 위축을 염려하는 유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己丑十月日以聖殿守護軍五名見奪充軍事
鄕中老少齋會校中堂中論報未得聽施更會
邑中具由呈文題辭未得一退字士論慨査
考俗大典則禮經卷有曰募入人丁鄕校四十名賜額書
院二十名令甲招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