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53년 서책치부(書冊置簿)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53.4721-20170630.Y17219071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53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53년 서책치부(書冊置簿)
1653년 윤7월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가 소장하고 있던 각종 서책의 제목과 수량을 기재해 놓은 장부다. 이 자료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대표적인 관학(官學)으로서 교육뿐만 아니라, 도서관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향교에는 교생들이 유학 공부에 필요한 각종 서책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분실과 유출을 막기 위해 장부를 만들어 엄밀하게 관리했던 것이다. 1653년 윤7월의 장부에는 풍기향교가 28종의 서책을 소장하고 있음이 나타나는데, 대부분 유학 경전과 사서(史書)다. 후반부에는 1668~1683년 사이 새로 구비하게 되는 4종의 서책을 추가로 기재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53년 書冊置簿
자료의 내용
1653년 윤7월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가 소장하고 있던 각종 書冊의 제목과 수량을 기록해 놓은 장부다. 이 자료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먼저 1653년 윤7월에 파악된 소장 서책 28종의 제목과 수량을 기재하였고, 말미에는 이후 추가로 소장하게 되는 4종의 서책 제목과 수량을 기재해 놓았다. 먼저 1653년 윤7월 파악된 풍기향교 소장 서책으로는 『文選』, 『周易』, 『小學』, 『書傳』, 『論語』, 『詩傳』, 『通鑑』, 『孟子』, 『三綱行實』, 『中庸口訣』, 『心經』, 『柳文』, 『春秋』, 『儷文程選』, 『中庸』, 『禮記』, 『杜詩』, 『選文?英』, 『孝經』, 『大學』, 『大學口訣』, 『學校模範』, 『宋播』, 『擊蒙要訣』, 『治家節要』, 『禮記大文』, 『春秋』, 『史略』이 있다. 각 책자의 제목 상단에는 훗날 서책의 유무와 수량을 점검한 표시가 확인된다. 또한 서책 중 『소학』, 『춘추』, 『대학』, 『예기대문』, 『사략』 아래에는 새로 印刊하거나, 표지가 훼손되거나, 현재는 분실한 상태임이 부기되어 있는데, 역시 훗날 서책을 점검하면서 부기해 놓은 것이다. 후반부에는 書冊置簿를 작성한 후, 새로 구비하게 되는 서책 4종을 추가로 기재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1668년 2월 초8일에는 『退陶先生集』 35권, 1683년 2월에는 『竹溪誌』 4권과 『疏庵集』 2권을 새로 구비했다고 한다. 또한 1686년 12월에는 安東府靑城書院에서 『松巖集』 2권을 보내왔다고 기재해 놓았다. 청성서원에는 『송암집』의 저자인 權好文이 배향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기능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는 지방을 대표하는 官學으로서 교육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향교는 校生을 講學할 뿐만 아니라, 유학 공부에 필요한 주요 서책을 소장·관리하는 도서관 기능도 수행하였다. 본 자료에는 풍기향교가 소장하였던 28종의 유학 경전과 史書, 그리고 추가로 소장하게 된 4종의 서책 제목과 수량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추가로 소장하게 된 4종의 서책은 陶山書院·紹修書院·청성서원과 관련된 것이다. 당시 풍기향교는 인근의 주요 서원과 서책을 수수하며, 교유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書冊置簿
文選十四卷
周易十一卷
小學十九卷【內四卷則新印送黃衣也又中】
書傳十九卷
論語九卷
詩傳十五卷
通鑑二十卷
孟子十一卷
三綱行實六卷
中庸口訣一部
心經二卷
柳文十卷後集二卷
春秋十九卷【內一件白衣共八卷】
儷文程選六卷
中庸一部
禮記十七卷
杜詩九卷
選文?英一卷
孝經一卷
大學一部【無】
大學口訣一部
學校模範一部
宋播芳二卷
擊蒙要訣一部

治家節要一部
禮記大文三卷【未表紙朽破】
春秋三十二帖【未表此亦共八卷也】
史略三卷【二件內一卷已失之】

癸巳閏七月二十四日
退陶先生集三十五卷【新備】
戊申二月初八日
竹溪誌四卷【癸亥二月備】
疏庵集二卷
松巖集二卷【丙寅十二月日靑城書院所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