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49년의 國喪, 향교 重修, 서책 수령, 문서 推納 기사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49년 기사다. 당시 풍기향교 都有司는 南?慶으로 나타난다. 남준경은 풍기향교에서 일어난 여러 일들을 기록해 놓은 「잡록」을 처음 엮은 인물로 1641~1681년 「잡록」은 현재 전하는 4책의 풍기향교 「잡록」 중 가장 앞선 시기의 것이다. 이 「잡록」에는 「잡록」 작성의 경위를 밝혀 놓은 識가 수록되어 있는데, 남준경이 썼다. 1649년 기사의 내용은 크게 네 가지이며, 대략 다음과 같다.
仁祖가 昇遐하였다. 이로 인해 5월 13일 豊基郡守는 客舍로 가서 公事를 정지하고 印信을 封하였다. 고을의 三所, 즉 書院·鄕校·鄕廳의 所任과 몇몇 사람들이 함께 官門 근처에 모여 上使의 지시를 기다렸다. 16일 밤에 關文이 와서 동이 틀 무렵 殿牌廳에 모여 곡을 하였다. 發喪과 4배를 거행하였으며, 군수와 執事·會員이 모두 黑冠과 白帶를 착용하였다. 6월 21일 고을 3소의 소임과 몇몇 사람이 관문에서 곡하였고 成服했다. 군수와 향선생은 모두 紗帽·布團領·麻繩帶를 착용하였다. 회원 70여인이 이때 모였는데, 오지 못한 자는 里中에 모여 곡하였다고 한다. 國喪의 卒哭 전에는 上祀에 해당되는 宗廟社稷祭만 거행하고, 釋奠祭·?祭 등의 中祀 이하는 폐하라는 지시가 關文을 통해 내려졌다. 그런 까닭에 8월 향교에서 거행할 예정이었던 석전제가 거행되지 않았고, 9월 예정이었던 서원의 享祀도 폐해졌다. 9월 11일 국상의 발인이 거행되었다. 關文에 따라 大小臣民이 官門에 모여 곡하였다. 20일 下玄宮을 거행할 때도 똑같았다. 10월 초3일 졸곡 때에는 會哭하라는 上使의 지시가 없었다.
향교 祭器庫와 東齋·西齋를 중수하려고 했으나 國葬 전이어서 어떻게 해야 될지 군수가 사유를 갖추어 慶尙道觀察使에게 論報하니, 진행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이에 중수를 진행한다는 牌旨를 경내에 내렸다. 7월 25일 材木을 捧上하였고, 27일 공사를 시작하였다. 군수가 친히 와서 공사를 살폈고, 고을의 儒品에서 奴僕에 이르기까지 공사에 참여하였으며, 煙戶軍과 道路干軍도 동원되었다. 8월 초4일 동재를 허물고, 6일에 기둥을 세웠다. 19일에는 서재를 허문 후 수일 뒤에 기둥을 세웠다. 10월 22일 공사를 마무리하였다.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都監 1원, 都色 1인, 役軍 700여명, 木手 8인이 임명 또는 동원되었고, 도유사는 都檢하였다. 家舍의 間架와 제기고 2칸, 동재·서재의 退柱와 18칸, 酒房 1칸, 斗支廳 1칸, 대문 1칸을 수리하여 고쳤으며, 또한 대문 東邊에 小夾門을 새로 지었다. 관에서 下帖를 내려 成造 할 때 쓸 제물을 내려주었다. 磊? 1?는 明倫堂에 단청을 할 때 쓰였다. 이에 앞서 향교 유생들이 관에 청원하였고, 경상도관찰사가 이를 구해 주라는 관문을 長?縣에 내렸다. 또한 이것이 풍기향교까지 잘 운송될 수 있도록, 沿路의 고을이 협조하라고 지시하였다. 2월 초 향교의 下人이 가서 督領하고 왔으며, 경상도관찰사 李曼은 別會租 5석을 부조하라는 하체를 내렸다.
11월 초9일 慶尙監營에서 새로 간행한 『史略』 2권 2건을 보내왔다. 또 경상감영에서 새로 간행한 『小學』 4권 1건과 眞墨 40丁, 松烟 10정을 보내왔다.
故 奴 五十同의 立案과 所志가 秦孫가에 소장되어 있어, 비로소 推納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1649년 기사 중 주목되는 것은 국상과 향교 중수다. 국상 중에는 국가 의례 가운데 중사를 중지시켰는데, 향교에서 거행하는 석전제도 중사에 해당되었다. 향교 중수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관이 물력을 지원해 주고, 인력 동원을 지시했음이 확인된다. 향교가 지방의 官學이고, 향교의 장려는 守令考課에 해당되었기 때문에, 관의 적극적인 협조 하에 중수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의 부조는 향교 운영에 있어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