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49년 11월 남준경(南鵔慶) 지(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49.4721-20170630.Y17219071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49
형태사항 크기: 32 X 26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잡록(雜錄)」 수록 1649년 11월 남준경(南鵔慶) 지(識)
1649년 11월 상순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의 도유사(都有司)였던 남준경(南?慶)이 작성한 지(識)다. 이 지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잡록(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남준경의 지에는 본 「잡록」이 작성된 경위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같은 풍기군에 소재한 소수서원(紹修書院) 측은 일찍이 「잡록」을 엮었었다. 이 「잡록」에는 서원 창설 이후에 일어난 온갖 사건이 기록되어 있어서, 소수서원의 후학들이 참고하여 근거로 삼는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풍기향교에는 이러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아 참고할 자료가 없었다. 이에 풍기향교 도유사였던 남준경소수서원의 사례를 쫓아 처음으로 「잡록」을 엮었고, 후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기록해 주기를 당부하며 본 지를 작성하였던 것이다. 현재 풍기향교에는 4책의 「잡록」이 전해지는데, 풍기향교의 연혁과 실제 운영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소장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된 1649년 11월 도유사(都有司) 남준경(南鵔慶) 작성의 지(識)
자료의 내용
1649년 11월 上浣에 南?慶이 작성한 識다. 당시 남준경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首任인 都有司를 맡고 있었다. 이 지는 풍기향교에서 엮은 1641~1681년 「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남준경은 지를 통해 풍기향교에서 본 「잡록」을 엮게 된 경위와 의의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白雲洞에 소재한 紹修書院에는 「잡록」이라는 別冊이 전해지고 있다. 이 「잡록」에는 소수서원 창설 이후 지금까지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과 서원의 연혁 등이 수록되어 있어, 훗날 참고하여 근거로 삼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풍기향교에는 豊基郡守였던 愼齋 周世鵬이 향교를 移建하고 쓴 移建記 현판만 전해질 뿐, 다른 기록은 전하지 않아, 많은 士友들이 한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실제 주세붕풍기군수 재임 중인 1452풍기향교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었다. 그런 가운데 뒤늦게 태어났으나 옛것을 좋아했던 남준경1649년 봄, 풍기향교의 도유사를 맡게 되었으며, 곧 이어 향교 重修를 대강 마친 후 1책을 成冊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다 금년에 있었던 일들의 대개를 기록하였고, 또한 후에 일어날 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그 아래는 공백으로 두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본 「잡록」이 엮여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남준경은 지의 말미에서 동지들에게 지속적으로 「잡록」이 기록될 수 있도록 힘써주기를 당부하였다.
자료적 가치
향교에 전해지는 「잡록」類의 成冊古文書는 향교의 연혁과 실제 운영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현재 풍기향교에도 4책의 「잡록」이 전해지고 있는데, 소수서원 「잡록」의 예를 쫓아 엮게 된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白雲洞紹修書院則別雜錄冊自創設以來凡有可錄之事無
不備哉以爲後日考據之地而鄕校則只有愼齋先生
建記懸板而移建前後之事一無所錄士友輩咸恨嘆焉余
亦生晩而好古者也今年春適參校任重修粗畢爲成一冊
以記今年事之大?又留空張於左以備後來繼今者之記
錄以今考之往事無據雖爲可恨自今以始似續而錄之則
今日所錄卽來者之故迹而後之視今亦猶今之視昔矣二用識

之以告同志覽者幸恕其妄作而毋使此冊終歸於等閑休
紙是所望也己丑復月上浣英陽後人南?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