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7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17.4721-20170630.Y172190723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17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7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7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풍기군 관아의 물품 부조, 장명작(張命作)이 역(役)을 면제 받는 대신 향교에 물품을 바친 일, 8월 거행된 대제(大祭) 때의 특이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다. 향교의 여러 경제적 기반 가운데 관(官)의 부조, 향교에 물력을 바치고 군역(軍役)을 면제 받는 교보(校保), 향교에 소속되어 물력 또는 노동력을 바치는 속사(屬寺)의 존재 양상과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17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물품 마련과 풍기군 관아의 부조, 大祭 거행 관련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717년 기사로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1717년 정월 13일 풍기군 관아에서 메밀 한 석을 보내왔다. 당시 豊基郡守金遇華가 맡고 있었다.
정월 초5일 殿直의 의복 1건, 鍮食器 3좌, 젓가락 두 쌍을 새로 마련하였다. 假屬 張命作의 除役을 관에 보고하고 完文을 발급 받은 후, 그로 하여금 備納케 한 것이다. 당시 풍기향교 都有司는 安夏範이었다.
8월 초6일 大祭 때 金長生의 位版을 배향하였다. 이때 周敦?程顥의 위판에 잘못 쓰여 진 두 글자 때문에 關文이 내려왔다.
8월 초4일 김장생의 위판을 題板한 후, 주돈이정호의 위판을 改題하였는데, 관문에 의거한 것이다. 香祝과 節目은 없었다.
8월 초5일 새벽녘 告由祭를 거행하였다. 祭物, 黃筆 4柄, 眞墨 4丁을 관아에서 보내왔다. 제물은 지난 1714년 거행된 ‘四賢陞配告由祭’와 같았다.
8월 초6일 대제를 거행한 후, 大祭와 동일하게 禮成祭를 거행하였다. 告由祭祝과 禮成祭祝은 謄書해서 궤 안에다 보관하려고 했으나, 罷載 후 이를 찾지 못해 謄錄하지 못하였다. 선비들에게 제공 된 채소는 兩寺에서 담당하였다. 양사는 풍기향교의 屬寺인 鳴鳳寺雙岳寺로 여겨진다. 풍기군수 都永夏는 慶尙右道試官으로 차출된 까닭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당시 풍기향교 도유사는 黃裳이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 가운데 관의 부조, 校保, 屬寺에 대해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먼저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官學이었던 관계로 지방관에 의해 부조가 수시로 이루어졌다. 지방관 입장에서도 향교의 장려는 守令考課 가운데 ‘興學校’에 해당되는 사안이었다. 교보는 향교에 노동력 또는 물력을 제공하는 대신, 軍役을 비롯해 각종 雜役을 면제받는 사람이다. 본 자료에서는 장명작풍기향교에 각종 물품을 바친 뒤, 역을 면제받았음이 나타난다. 속사는 향교에 소속되어 각종 물력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찰을 뜻한다. 당시 풍기향교명봉사쌍악사를 속사로 점유하면서, 의례 때 사용되는 채소 등을 지급 받았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郡守金遇華
丁酉正月十三日木麥一石自官來
丁酉正月初五日殿直初服壹件
鍮食器參坐
匙五枚【新備】【假屬張命作除役?官完文後使之備納】
箸兩雙
都有司安夏範
丁酉八月初六日因大祭文元公陞配時道國公預國公
兩位板誤書二字事因關文
同月初四日文元公題板後道國公預國公兩位改題
而依關文改題無香祝節目
初五日質明行告由祭祭物自官備來黃筆
四柄眞墨四丁自官備來祭物則一如甲午年
四賢陞配告由時祭物

同月初六日行大祭後因行禮成祭一如大祭節
目告由祭祝及禮成祭祝謄書藏置櫃中
改爲謄錄次作計矣罷齋後考見則無去處
故未得謄錄深痕深痕供士菜蔬兩寺擔當
郡守都永夏以右道試官未參
都有司黃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