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조경 관련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07.4721-20170630.Y172190722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07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조경 관련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3월 초1일의 조경 관련 기사다. 풍기향교 측은 풍수가(風水家)의 말에 따라, 향교와 그 인근에 여러 수종의 나무를 심었었다. 본 기사에는 이러한 식목(植木)의 경위를 언급한 후, 나무에 대한 면밀한 관리를 당부해 놓았다. 이는 풍수설(風水說)과 향교 조경과의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사례가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07년 3월 초1일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조경 관련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707년 3월 초1일의 조경 관련 기사다. 이 기사에서는 풍기향교 이건 후, 여러 그루의 나무를 심게 되었고, 이것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당부해 놓았다. 기사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향교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지 16년이 지났고, 향교 앞 둑에 버드나무 몇 그루를 심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은 風水家의 말을 따른 것이다. 풍수가가 골짜기 입구 아래로 통하는 땅을 안정시킬 사물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殿直이 정착해 살 수 없다고 말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살구나무·대나무·소나무·버드나무 등의 나무를 심으려고 했으나, 향교에 일이 많아 실행하지 못하고, 근래 校任이 교체될 무렵 校僕 등을 시켜 어린 소나무와 살구나무, 대나무를 캐어 와서, 明倫堂 앞뒤의 계단 좌우, 동쪽 담 밑, 食樓의 가장 낮은 곳에 대나무를 심었으며, 동쪽 산자락에는 살구나무를 심었는데, 싹이 다 자라지 못 할 것을 염려해 公需位田 밖에다가도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리고 得春의 전답 어귀에 소나무, 둑 동쪽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나무의 관리와 수호는 校僕 云伊에게 맡겼음을 기록해 놓았다. 당시 풍기향교의 都有司는 黃道宗, 掌議는 河聖圖, 齋任은 朴成允李國鉉이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풍수설은 우리나라 조경에 큰 영향을 끼쳤다. 조경의 형식과 배치, 터의 선정, 수목의 배식 등 풍수설이 조경의 요소에 큰 영향을 끼쳤었는데, 향교도 예외가 아니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校移建于玆今至十有六年而前堤種柳如干株矣洞
口走下之地鎭?無物故殿僕不能着居云者是山家說
也鄙等添任之日以種杏竹與松柳爲一大節而校中
事故多端遷就至今矣鄙等遞歸之時急令校僕及
假屬若干名採得童松杏竹種竹於明倫堂後階左
右前階東廟稍東墻底食樓東最低處多種之外
庭上左右又種之種杏於東麓山上又種公寓各一外
而一處多植者恐未盡生稀也種松洞口得?之田畔行
?接於柳堤柳堤之東空缺處伐柳遠揚多種之禁
伐守護僕校僕云伊已奉也方來爲任之員不遐
鄙等之所營繼之而守護培植幸甚

丁亥三月初一日都有司黃道宗
掌議河聖圖
齋任朴成允
李國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