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정증(鄭䎖) 이건기(移建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2.4721-20170630.Y17219072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2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정증(鄭䎖) 이건기(移建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풍기향교 이건기(移建記)다. 본 이건기는 당시 풍기군수(豊基郡守)로 재임 중이었으며, 풍기향교 이건을 주도하였던 정증(鄭?)이 고을 사림(士林)들의 부탁을 받고 직접 작성하였다. 이건기에는 1692년 진행된 이건 공사의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554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향교 이건이 이루어졌지만, 그곳의 지세가 낮아 습한 기운이 향교 내부로 스며들어, 건물이 쉽게 훼손되는 상태라고 하였다. 그래서 약 140년이 지난 지금 옛 터로 향교를 이건하게 되었으니, 이는 학문과 도(道)에 뜻을 둔 지역 사림들의 공이라고 평가하였다. 정증의 이건기는 지방 관학(官學)의 운영에 지방관이 적극적으로 지원 및 협조하던 양상을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3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를 移建한 후 그 경위를 기록해 놓은 豊基郡守 鄭䎖의 移建記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2풍기향교 移建記다. 당시 豊基郡守였던 鄭?이 고을 士林들의 부탁을 받아 이건기를 직접 작성하였는데, 이건기에는 풍기향교 이건 경위와 의의가 언급되어 있다. 이건기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이건기에서 정증은 먼저 글재주가 없음에도 고을 사림들의 간곡한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이건기를 작성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어 풍기향교 이건은 새로 터를 조성해서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옛 터로 다시 옮긴 것이라고 하였다. 지난 1544풍기군수였던 周世鵬이 향교를 옛 터에서 이건하였으며, 그 경위는 주세붕이 남긴 기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정증주세붕의 향교 이건에 대하여, 높이 공경하는 뜻과 敬을 근본으로 하는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하지만 세월이 많이 흘러 골짜기가 변하고 냇물도 옮겨져 地勢가 낮아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습한 기운이 향교로 스며들어 기둥이 쉽게 기우는 등 聖靈을 편안히 모시는 땅으로 합당하지 않게 되었기에, 약 140년 만에 다시 옛 터로 향교를 이건하니 이상한 일이라고 하였다. 1544주세붕의 향교 이건을 완곡하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향교 이건 공사를 진행하였는데, 이 해에 흉년이 들어 곡물이 귀해져 목공과 匠人들을 먹이는 비용이 아주 많이 들었지만, 백 가지로 힘써서 이건이 완료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풍기군수 자신의 공이 아니라 道를 지키는 정성이 지극하고, 向學의 뜻이 부지런 했던 많은 선비들의 공이라고 하였다. 이어 이제부터 새로운 향교에서 春秋享禮를 거행한다면 孔孟의 유풍이 다시 행해질 것이니, 여러 君子들은 반드시 孝悌忠信으로 몸을 세우고 仁義禮智로 마음을 잡아갈 것을 당부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운영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기본적으로 향교는 지방 士林들이 자발적으로 운영하였지만, 지방 官學이었던만큼 지방관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받았다. 특히 향교의 장려는 守令考課 중 하나인 ‘興學校’에 해당되었기에 지방관의 입장에서도 향교 지원을 소홀히 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이건기에서도 풍기군수 주세붕정증이 관학인 풍기향교 이건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던 모습을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移建記時郡守鄭?
校中諸君子旣訖聖廟移建之役屬余爲記余以辭
拙辭諸君子請益堅辭不獲已今夫移建也舍則新
而基則故故奚以自此移彼今奚以自彼移此自此移彼之
擧備載於愼齋周先生自撰之記文余不敢容喙於其間
而自彼移此之事余旣身親當之固可以陳其顚末矣往右
嘉靖甲辰歲自此移彼者義在欽崇與非敬本第其
歲久年深谷爰川移形家吉凶雖不盡信人吉盛衰大相不
同玆豈非士林之所可驚動處耶非特此也地勢卑濕棟
宇傾頹不合於妥靈之地而有慊於尊聖之道故諸君子積
年經營之未得遂於今日?其異矣移之於一百四十年之前復
之於一百四十年之後?不異矣地本有緣而然耶時亦有待而然耶是歲
歲適飢穀貴如金木石之輸運工匠之饋餉其用不一其費不
億而百般拮據一心勞苦終得遂其本而畢其役到之非太
守之力率皆多士之功衛道之誠至令向學之意動矣噫
廟完如故靈儀若在西序東膠煥矣維新校亦
未過斯春秋之享益諱鄒魯之風復行自玆以往諸君子
必皆以孝悌忠信立其身仁義禮智操其心爲其太守者
豈不聳覩而艶慕也哉是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