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풍기향교 답통(答通)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07.4721-20170630.Y172190722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07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풍기향교 답통(答通)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2월 초4일 발급의 풍기향교 답통(答通)이다. 이에 앞서 경상도 예안현(禮安縣)에 소재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퇴계집(退溪集)』 개정과 관련된 통문을 보내왔는데, 본 답통은 이것에 대한 답변에 해당된다. 당시 도산서원에는 『퇴계집』 책판이 소장되어 있었다. 하지만 오래되고 어그러져 이것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내용상에 오류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수정안을 제시하고, 지역 사림(士林)의 동의를 얻고자 풍기향교를 비롯해 여러 곳에 통문을 보낸 것이다. 이에 풍기향교 측은 도산서원의 의견에 대체로 동의한다며, 수정 문구에 대한 약간의 의견을 개진해 놓은 본 답통을 발급하게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慶尙道 禮安縣陶山書院 측이 『退溪集』 改定과 관련해 보낸 통문에 대하여, 1707년 2월 초4일 경상도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 측이 보낸 答通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707년 2월 초4일 발급의 答通이다. 이 通文은 풍기향교에서 경상도 禮安縣 소재 陶山書院에 발급한 것이다. 「향교잡록」 제2에는 본 답통에 앞서 도산서원 측이 풍기향교에 보낸 통문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통문은 도산서원 소장 『退溪集』 개정 건에 대한 동의를 묻는 내용이다. 기존 『퇴계집』에 오류가 있었기에, 도산서원 측이 여러 자료를 고증하여 크게 네 군데 내용을 수정하게 되었고, 이것에 대한 동의를 묻고자 풍기향교를 비롯한 여러 곳에 통문을 보냈던 것이다.
본 답통은 풍기군의 士林 申?이 작성하였으며, 도산서원 통문에 대한 풍기향교 측의 답변을 담고 있다. 답통에서는 대체로 도산서원 측의 노고를 칭송하고 있다. 기존 『퇴계집』에 오류가 많았는데, 이번에 다른 草本·手本·問答書를 고증하여 바로 잡았으니, 斯文의 큰 다행이라고 평가하였던 것이다. 그러면서 이전 통문에 나열해 놓은 네 군데의 수정안 가운데 附註와 관련된 것에 대해서는 程?의 주장을 빌어 鄙見을 개진해 놓았다. 당시 풍기향교 都有司는 黃道宗, 掌議는 河聖圖, 齋任은 朴成允이 맡고 있었으며, 풍기군의 사림 30인이 답통에 참여했다고 한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사회적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가 지역 재지사족의 여론이 결집되는 장소였기에 본 답통의 사안처럼 一道의 公議가 필요한 사안이 향교에서 논의되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答通
所製申?
右文爲回諭事來諭老先生文集板本之?
缺文字之脫誤可謂久而浸失其眞者也修而改之
定是今日之事久而一從手本及草本及問答尤爲
考訂弊端之意豈非斯文之幸也雖此修輯之後
乃是前輩之所難則以生等之鄙見固不敢輕爲▣
而所示附註若於字之謚處向之總處各於其下
手本記云云答目記云云則似本於先修之日
川程先生
仍待附朝亢龍在天大人造也待大人
之爲聖人之事人字下註而無人字文言元▣…
長也待受役文言以薦明其義其字下一作▣…
坤初之字敢霜氷至待至於▣水下無山字
派之例則■漆先師開示之意亦便於浸字
考閱之方者恐一擧而勇之以是魯莽之所見
豈有出於僉君子之所料載敢以此意仰

復矣
丁亥二月初四日都有司黃道宗
掌議河聖圖
齋任朴成允
士林三十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