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4년 사루(食樓) 조성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4.4721-20170630.Y17219072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4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4년 사루(食樓) 조성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4년 사루(食樓) 조성 관련 기사다. 사루는 풍기향교 교생(校生)들의 식사 장소였다. 공사는 9월 초3일 시작되었으나, 날씨가 추워져 11월에 중단되었다고 한다. 본 기사에서 주목되는 점은 지방관이 물력을 부조한 것과 사림(士林)들이 공사비용을 자발적으로 모금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의 부조와 사림의 기부는 조선시대 향교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4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食樓 조성과 관련된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4풍기향교 食樓 조성 기사로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1694년 9월 초3일 食樓를 造成하기 위한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겨우 樓下柱를 세우고 平枋을 列間한 상황에서, 날이 추워져 11월에 공사를 중단하였다. 당시 豊基郡守任道三이맡고 있었으며, 풍기향교 校任은 都有司 黃璨, 掌議 柳宗開, 齋任 黃夏振·琴銓, 成造都監은 朴履章·黃道崇 체제였다. 이중 교임은 중간에 도유사 黃道載, 장의 朴震夔, 재임 李翊文·黃雲亨, 도감 南斗平·黃處謙 체제로 교체되었다. 당시 官色은 方忠淑이었다. 공사를 위해 풍기군 관아에서 白米 10석을 보내주었으며, 士林 各員으로부터 正租 1斗와 白米 5升씩 수합하였다. 役糧을 措備 할 때, 校生 金聖業·李雲歸·權址가 물력을 납부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의 대표적인 경제적 기반으로는 전답과 노비가 있었지만, 사루 조성과 같이 많은 비용이 필요한 공사가 실시될 경우, 본 기사에처럼 관의 부조와 지역 사림의 기부가 재용으로 활용되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戌九月初三日食樓成造始役而?立下柱列間平
枋後以日寒之故十一月停役
郡守任道三
都有司黃璨

掌議柳宗開
齋任黃夏振
琴銓【十一月日遞】
成造都監朴履章
黃道崇
都有司黃道載
掌議朴震夔
齋任李翊文
黃雲亨
都監南斗平
黃處謙
官色方忠淑
官所送白給白米十石
士林各員正租一斗白米五升收合
役粮措備時校生納物金聖業李雲歸權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