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정증(鄭䎖) 이건상량문(移建上樑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2.4721-20170630.Y17219072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2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정증(鄭䎖) 이건상량문(移建上樑文)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에 수록된 풍기향교 이건상량문(移建上樑文)이다. 상량문은 당시 풍기군수(豊基郡守)였으며, 풍기향교 이건 공사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정증(鄭?)이 작성하였다. 정증은 상량문을 통해 열악한 입지 조건 때문에 공사가 이루어졌다는 이건의 경위와 공사에 관과 백성이 이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옛 건물의 자재 중 일부를 그대로 활용했다는 사실을 밝혀 놓았다. 또한 향교 이건을 통해 교화(敎化)가 더욱 더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찬양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2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를 移建하면서 豊基郡守 鄭䎖이 작성한 上樑文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2풍기향교 移建上樑文이다. 본 상량문은 1692풍기향교를 이건한 후, 당시 豊基郡守로 있으면서 향교 이건을 주도했던 鄭?이 직접 작성하였다. 상량문에는 향교의 이건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는데, 상량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상량문에서는 먼저 풍기군이 오래전부터 교화가 된 지역이라고 하였다. 新羅高麗를 거치면서 풍속과 민심이 교화되었으며, 그런 가운데 黃俊良黃暹과 같은 인사들이 배출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어진 수령이 잇달아 부임해 왔고, 큰 유학자가 여러 차례 풍기군을 왕림하니 文翁의 교화가 지금까지 남아 있는데, 이 모든 것이 先賢들을 배향한 大成殿을 잘 보존하고, 그곳에서 제사를 잘 지내왔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향교의 입지 조건이 좋지 않아 이건을 청원하게 되었다. 지세가 매우 낮고 습하며, 담장도 견고하지 못해 건물이 쉽게 기울거나 무너졌기 때문이다. 그렇게 여러 차례 청원 끝에 조정의 윤허를 받았고, 풍기향교는 옛 터로 이건하게 되었다. 이건을 위하여 돈과 곡식을 모았는데, 공사를 시작하기 위해 옛 터를 다지면서 옛 계단과 주춧돌을 발견하였다. 공사에는 선비들뿐만 아니라 여러 백성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새 廟宇를 건립하는데 있어 동마루와 기둥, 들보와 서까래, 판자와 난간, 두공과 동지기둥, 문빗장과 문설주는 옛 것을 옮겨와 그대로 사용했다고 한다. 상량문 말미에는 향교 이건을 계기로 儒風과 士氣가 크게 일어나기를 바라며, 학교를 일으킨 임금의 공을 찬양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향교의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본 상량문에서 주목되는 점은 관의 지원과 협조 하에 향교 이건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향교가 지방 官學을 대표하던 기관이었기에 관이 향교 이건을 승낙하였고, 물적·인적 자원을 지원해 주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移建上樑文郡守鄭?
經始成不日皆我聖廟之欽崇吾道日▣…
棟樑屹中天更卜舊地而移?士林增歡習儒▣…
讓之鄕風謠旣載於文字不假僕一二談黃錦溪▣…
?之事沿革累徑於式至今數千載慶之峰慶▣…
庵秦金公之輩出豈非人傑地靈良宰相繼幾是武城
洞南北川之??來謂山佳水美大儒昔臨尙留文翁
之治顧玆大聖崇奉之廟占際區之蘊奇賢良濟
之化曾非先王順迪之方知大事之在祀香火年
年含?時移卜之田豈從所家之說知其歲久而莫許
莫許卽告矣區畵之擧高非俗儒所論未免甲來而乙否
地甚卑濕數?之墻不堅士子之經營已久持多于前
屋易傾頹重?之刷恐墜人才之盛衰相殊?反其本
九?縣學哉佇營葺之喜曾以叫閤之疏仍送臣
三蜀名儒每想成均之化實出重送之誠荷聖主
備陣之辭不可緩也寧論時屈問而居?肆就故址
允許之命各相助有莫謂刀綿而役巨豈擇新基
鳩錢穀而{人+孱}功木石咸具雖黔首之無知亦皆雲集而?
披荒蕪而拓土階礎猶存?靑衿之礪志豈憚日直而董
事事居然久廢之荒原棟楹樑桶板檻之屬?必永新

工更覩於碩之新廟??侏儒?楔之材莫不得舊
斧彼鉅彼庇免上兩傍風鑿井而飮便覺眞源之通
輪焉奐焉旣分東膠西序視利用遷爭欣宿願之副
可謂事半功倍之開戶?而通明燕雀相賀蔑補?
想見俗易今行奉春秋之享祀犧牲旣成積勞夙
絲安有太守之力庇護斯世大雅之興備樑今擧
夜無非多士之功豈惟吾黨少子之幸善頌斯陳
兒郞偉抛樑東錦水春情魚時躍兒郞偉抛樑
西丈亮連天旭日紅乾坤都在太和中回秀塊巒▣
西門前却?黃昏近兒郞偉抛樑南▣…
陽低多少行人失路迷鳳凰山色▣…
陰備地淸筠?兒郞偉抛樑北▣…
理須從靜裡探捲却疎簾窮小白時目風
各殊所兒郞偉抛樑上要使吾心達高仰
來樂日月麗天人所仰可將理欲論消長
兒郞偉抛樑下十哲環從四聖陪一壑雲煙環巨厦想得當日身親灸伏願上樑之
後儒風丕振士氣自增廟兒如初尊敬之心罕切靈僅若在屋仰之志益深芬苾每陳??有
陳道之將行也奉先聖而妥靈
礎文不玆乎贊我后之興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