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9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9.4721-20170630.Y17219072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9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9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9년 기사다. 모두 세 편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첫 번째 기사는 1699년 2월 7일 결의된 당중완의(堂中完議)로 향교 교임(校任)의 선출 규정을 새롭게 결의한 것이다. 두 번째 기사는 향사회(鄕射會) 거행과 관련하여 같은 날 향사당(鄕射堂)에 발급한 통문(通文)이다. 세 번째 기사에 5월 11일 이루어진 지방관의 부조 내용을 수록해 놓았다. 이들 기사는 조선시대 향교 운영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9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校院 首任 선출 관련 完議, 鄕射會 거행 관련 通文, 풍기군의 부조 관련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9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는 校院 首任 선출 관련 堂中完議, 鄕射會 거행 관련 通文, 풍기군 관아의 부조 관련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사는 당중완의로 1699년 2월 7일 결의되었으며, 풍기군 사림 27인이 참여하였다. 완의에서 결의된 것은 향교와 서원의 수임, 즉 풍기향교 都有司와 풍기군 소재 서원 院長의 선발 규정이다. 향교와 서원의 수임이 교체될 때, 연소한 儒生들이 각자 薦望을 하니 이는 잘못된 법도다. 지금 이후부터 교체되는 員은 三望을 自薦하되 首薦된 것을 계산하여 原任에게 告目하고, 이들에 대한 可否를 물은 후 교체를 허락한다. 그런 후 齋任이 친히 삼망을 갖추어 齋薦을 하면, 堂中이 모여 圈點한다. 또한 이를 享祀 때 거행하는데, 이때 아무 연고 없이 불참하는 자는 벌을 내린다. 이 완의가 결의될 때, 풍기향교 도유사는 黃道明, 掌議는 柳道宗, 재임은 金澤萬朴廷莢이었다.
두 번째 기사는 鄕射堂에 발급한 통문이다. 통문은 앞의 당중완의와 같은 날 발급한 것이다. 풍기군에서의 鄕射會가 중단된 지 오래되었다며, 이것을 復設하여 고을의 풍속을 진작시키자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세 번째 기사는 5월 11일 풍기군 관아에서 松墨 大節 1丁, 中節 2정, 小節 2정을 보내왔다는 내용이다. 당시 豊基郡守洪景濂이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첫 번째 기사는 교임 선출을 규정한 완의로 풍기향교의 조직 운영을 보여주는데, 이 완의에는 풍기향교를 중심으로 향촌지배질서를 유지하려 한 풍기군 재지사족의 의도가 반영되었을 것이다. 두 번째 기사는 鄕射禮 거행과 관련된 것으로 향교의 교화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세 번째 기사는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지방관의 부조 양상을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堂中完議
右完議爲校院首任交遞之時年少儒生各自薦望
空是謬規目今以後一依?官例遞出之員自薦三望
或在齋是擧隨首薦計擧告目于原任齋各薦可
否許遞後齋任親齋薦三望會堂中
圈點事【此亦中得齋則有罰同▣…▣薦望事】
又完議爲校院付各之人享祀及▣…
無緣不參已成弊習自今以後無緣不參之員從方
罰事
己卯二月七日都有司黃道明
掌議黃道宗
齋任金澤萬
朴廷莢
士林二十七人
同年同月同日移通鄕射堂文
右通文爲吾鄕自古有鄕射之會近來廢之久矣今者不可無

復古之擧皆願皆願設出欲以捨風千萬幸甚
同年五月十一日松墨大節一丁中節二丁小節二丁自
官來面請郡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