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0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00.4721-20170630.Y17219072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00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0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0년 기사다. 모두 세 편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크게 풍기군 관아의 물품 부조와 진상물(進上物) 운송 때 말의 차출을 맡은 향소(鄕所)에 대한 풍기향교의 통제 규정으로 나눌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00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 대한 풍기군 관아의 부조와 進上物 운송과 관련된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9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는 풍기군 관아의 부조와 進上物 운송과 관련된 기사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1700년 4월 14일 풍기군 관아에서 松墨 大節 1丁과 中節 5丁을 보내왔다. 당시 豊基郡守洪景濂이 맡고 있었다.
鄕所는 進上物을 운송할 때 책임지고 말을 차출하는데, 이 때 농간이 생기면 향교 掌議가 해당 고을의 선비들에게 알려 논박해 교체하고, 무거운 벌을 내리기로 했다. 당시 풍기향교 都有司는 黃道明, 장의는 黃熙敬, 齋任은 南夏重權大經이었다.
10월 12일 풍기군 관아에서 송묵 대절 1정과 중절 5정, 白筆 1柄을 보내왔다. 당시 풍기군수홍경렴이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위의 기사에서 풍기군 관아의 송묵 부조는 지방 官學인 향교에 대한 지방관의 지원 및 협조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풍기군에서 진상물 운송과 관련해 말을 차출하는 향소에 대하여, 풍기향교는 士論을 모아 그들의 농간을 통제 할 수 있었다. 이는 향촌사회에서 당시 풍기향교가 가지고 있던 지위와 역할을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庚辰四月十四日松墨大節一丁中節五丁自官送來
郡守上同
鄕所以進上輸運事定官時責出有馬笞杖悤直
伊時掌議報杖該邑士論亦發竟至駁遞又施重罰
都有司黃道明
掌議黃熙敬
齋任南夏重
權大經
庚辰十月十二日松墨大節一丁中節五丁白筆一柄

官來面請郡守上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