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5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15.4721-20170630.Y172190723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15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5년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15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사직제(社稷祭) 진참(進參), 풍기군 관아의 물품 부조, 풍기향교 건물 도배 때 사용 할 백지(白紙) 납부를 거부한 쌍악사(雙岳寺) 승려의 처벌, 풍기향교 건물 보수와 풍기군 관아의 물력 지원, 식목(植木) 관련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기사는 풍기향교 도배 때 쌍악사를 비롯한 사찰들이 도배지를 납부했다는 사실이다. 쌍악사처럼 물력이나 노동력을 풍기향교와 같은 특정 기관에 제공하는 사찰을 속사(屬寺)라고 하는데, 속사는 조선시대 향교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 중 하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15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社稷祭 進參, 雙岳寺 승려 처벌, 풍기군 관아의 부조, 건물 수리, 식목 관련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715년 기사로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1715년 2월 초1일 社稷祭 獻官 黃壽?이 身病 때문에 오지 않았다. 鄕所의 三任, 즉 座首 1인과 別監 2인도 모두 큰 일이 있는 까닭에 밤이 깊어진 후에야 禮房의 告目이 來到하였다. 이에 豊基郡守는 進參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분부를 내렸다. 형세가 부득이해진 관계로 모든 有司와 齋任이 진참하였다.
2월 초10일 大祭 때 明倫堂 東齋와 西齋에 사용할 도배지 마련을 위해, 예전에 정한 규칙에 따라 각 사찰로부터 白紙 1권씩 거두어 들였다. 그러나 사찰 중 雙岳寺 승려가 誣訴하여 예전 규칙을 없애려고 한 까닭에, 풍기향교가 이 사실을 풍기군에 論報하였다. 이에 풍기군수는 題辭를 내려, 그 승려의 볼기를 치고 좋은 백지 2권을 납부케 했다.
4월에 松烟 大節 1丁과 小節 4정을 풍기군 관아에서 보내왔다. 당시 풍기군수는 金遇華였다.
7월 초1일 大成殿·奠祀廳·食樓·齋房에 비가 새고, 담장이 훼손된 까닭에 관아에 청원하여 夫瓦와 女瓦를 지원 받아 보수하였다. 당시 풍기군수는 김우화였으며, 풍기향교 都有司는 黃雲亨, 掌議는 安邦?, 齋任은 李成鐸黃{甫/衣}가 맡고 있었다.
10월 초1일 향교 동쪽과 서쪽에 살구나무를 심었다.
11월, 관아에서 松墨 대절 1정과 中節 5정, 新曆 1건을 보내왔다. 당시 풍기군수는 김우화, 풍기향교 도유사는 황운형, 장의는 안방엽, 재임은 황보秦聖和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인데, 1715년 기사에서 주목되는 점은 屬寺의 존재와 풍기군 관아의 부조다. 속사는 향교와 같은 각종 기관에 소속되어 물력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찰을 뜻한다. 조선시대 풍기향교쌍악사 등의 사찰을 속사로 점유하며, 이를 경제적 기반으로 활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풍기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官學이었던 관계로 그 운영에 있어, 지방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받았다. 특히 향교의 장려는 守令考課 가운데 ‘興學校’에 해당되었기에, 지방관 입장에서 향교 지원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자료에서처럼 풍기군수는 수시로 풍기향교에 물품을 부조해주었고, 공사 때 각종 물력을 지원해 주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乙未二月初一日社稷祭獻官黃壽?有身病不來鄕
所三任皆有大段事故夜深後禮房告目來到
官分付曰不可不進參云云勢不獲已都有
司而齋任進參
乙未二月初十日大祭時明倫堂東西齋塗排紙各寺白
紙一卷式備納自有前規而其中雙岳寺僧誣訴官
前欲廢前規自校論報得題音復別然校差提
致三寶重杖則好白紙二卷渠自先怯備納
都有司權景濂
乙未四月松烟大節一丁小節四丁自官下送
郡守
乙未七月初一日大成殿奠祀廳食樓齋房自漏請更及
墻壇堆坡▣?報官家得夫瓦六十丁女瓦九▣…
補蓋瓦▣…▣郡守
都有司黃雲亨
掌議安邦?
齋任李成鐸

黃{甫/衣}
復植東西杏壇乙未十一月初一日
松墨大節一丁中節五丁自官送來新曆一件
自官送來乙未十一月日都有司黃雲亨
掌議安邦?
齋任黃{甫/衣}
秦聖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