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3년 정문초(呈文草) 및 부조 관련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03.4721-20170630.Y17219072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03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3년 정문초(呈文草) 및 부조 관련 기사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3년 기사다. 첫 번째 기사는 이 해에 풍기향교 유생 신류(申?) 등이 올린 정문(呈文)의 초(草)다. 현재 고을 망전산(望前山)에 위치한 봉수(烽燧)로 인해 사람들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으니, 이것에 대한 조치를 청원해 놓았다. 두 번째 기사는 풍기군 관아에서 송묵(松墨)을 부조해 주었다는 내용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03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의 儒生 申鏐 등이 烽燧 문제로 올린 呈文과 풍기군 관아의 부조 관련 기사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703년 기사다. 이 해의 기사에는 풍기향교 儒生 申? 등이 올린 呈文의 草와 풍기군 관아의 부조 관련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문은 봉수 문제를 청원한 것인데, 전후 사정은 생략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지금 고을 望前山에 위치한 봉수 때문에 사람들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였다. 현재 봉수는 옛 봉수터에서 옮겨온 것인데, 오히려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이것에 대한 시정을 청원해 놓았다.
부조 관련 기사는 1703년 9월 풍기군 관아에서 松墨 大節 1丁과 中節 5정을 보내왔다는 내용이다. 당시 豊基郡守丁思愼이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사회적 기능과 경제적 기반 가운데 관의 부조에 대하여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呈文草
儒生申?等謹齋沐再拜上書于
二天閤下伏以本郡熢燧弊端上下均校則不可不變通
此而遷延歲月送于今不得移設者實爲閤境之所共晩
然▣敢條列如左伏願仁鑑垂謄焉本郡之望前
烽燧蓋非元來設烽之所也自舊烽竭此實■■

未詳當所何送
癸未九月月大節一丁中節五丁自官送來
郡守上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