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풍기향교 이건(移建) 관련 각종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2.4721-20170630.Y17219072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2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4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풍기향교 이건(移建) 관련 각종 기록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에 수록된 기록이다. 이 기록에는 1692년 진행된 풍기향교 이건 때 소요된 각종 물력과 인력, 고유(告由)를 위해 작성된 각종 축문(祝文), 도회(都會) 때 있었던 풍기군의 부조, 이건을 맡았던 교임(校任)의 성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향교 운영에 있어 관의 지원과 협조가 이루어지는 양상을 대략적으로 보여 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2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를 移建할 때 소요된 인력·물력 및 祝文·道會·校任 등의 기록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2풍기향교 移建 때의 각종 기록이다. 이 기록에는 이건 때 소요된 인력과 물력, 告由를 위해 작성된 각종 祝文, 道會 때의 부조, 이건을 맡았던 校任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이건 공사 때 役軍 8,000여 명이 동원되었다. 役糧을 마련 할 때 校生이었던 秦夏陪·李延禧·賓德遠, 향교 奴婢였던 奴俊尙·婢是女·奴應申이 물력을 납부하였다. 기와 11,000여 丁을 새로 만들었다. 인근 고을의 향교와 書院에서도 물력을 부조해 주었다. 榮川鄕校에서 木 2疋, 伊山書院에서 木 1疋, 順興都護府 지역 향교와 서원에서 木 2疋을 보내왔다. 丹靑에 사용할 磊綠은 慶尙道觀察使에게 論報하여 지원을 요청하였고, 경상도관찰사長?縣에서 이를 지원 받으라고 題給해 주었다. 그러나 물력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長?縣監은 磊綠을 보내지 않았다. 이에 還安道會 때 成均館과 도내에 通文을 발송하였다. 그 결과 순흥도호부에서 磊綠 10두를 빌려 올 수 있었다. 세주에 따르면 5두는 단청 때 사용했고, 나머지 5두는 순흥도호부로 還納했다고 한다.
이어 이건 공사 과정에서 작성된 여러 편의 祝文을 수록해 놓았다. 가장 먼저 수록한 축문은 ‘開基祝’으로 왕명에 의거해 옛 향교 터로 이건하게 되었음을 알리고 있다. ‘聖廟立柱時告由’는 기둥을 세울 때 成造之神에게 이건 경위를 고유한 것이다. ‘移安時告由祝’은 4월 20일 豊基郡守 鄭?이 향교 位版을 이안 할 때 작성하였다. ‘還安告由祝’은 미처 옮겨 쓰지 못했다고 한다. ‘還安祝’은 8월 초8일 환안을 거행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7월 28일 열린 도회 때 白紙 2卷, 壯紙 10丈, 松墨 6丁, 甘醬 1斗, 燒木 5丹을 풍기군 관아에서 보내주었다. 당시 풍기군수정증이었다.
이건이 진행되는 동안 풍기향교 校任은 도유사 黃璨, 掌議 南斗元, 齋任 禁銓·金致相이었는데, 4월 이후 도유사 權用銓, 장의 柳宗開, 재임 安夏範·金南彦 체제로 교체되었다. 이건 공사 때 都監은 黃龍漢·黃海翊·李惟達·李慶翊·李說霖이 맡았는데, 황용한은 3월 중에 교체되었다. 官色은 嚴重平·姜得哲·金玉立·黃聖▣, 伐木都監은 南斗本·朴潤雨·朴履章·李承祖, 燔瓦都監은 朴興道秦遇奚가 맡았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는 지방 官學이었기에 관의 지원과 협조 하에 운영되었다. 본 기록에서 확인되는 풍기향교 이건 공사 때도 지방관의 지원과 협조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된다. 경상도관찰사와 풍기군수가 물력을 지원하거나 부조해 주었음이 확인되며, 인력 동원도 관의 협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役軍八千餘名
移安奉安時以就亭奉行

役糧措備時校生納物秦夏陪李延禧賓德遠
校奴婢▣給奴俊尙是女應申
新燔瓦一萬一千餘丁
隣邑校院扶助榮川鄕校木二疋伊山院木一疋
順興校院木二疋
丹靑磊綠報于巡使則題給於長?故運來次送人馬
長??只論高價不送磊綠其戶無議莫甚還
安道會時通文于太學于通又道內順興府
綠十斗呈文貸本【用五斗五斗則還納本府】
開基祝
聖廟非所爰定舊基
王命移卜緣由敢告
聖廟立柱時告由
敢告于成造之神地運循復舊址重新二材▣…
度俱陳爰立棟楹敢告厥由神其保佑敢告▣…
移安時告由祝
康熙三十一年歲次壬申四月庚辰朔二十日己亥▣…
國王謹遣臣豊基郡守鄭?敢昭▣…
先聖大成至聖文宣王伏以載胥靈▣…
敢薦明?處告厥由謹以牲醴庶品或陳明薦謹▣…
先師云云
還安告由祝未及謄書
還安祝

八月初八日朝鮮國王謹遣臣豊基郡守
鄭?敢昭告于
先聖大成至聖文宣王伏以龜乘昭吉廟鬼重
新於焉妥靈前薦明?謹謹牲陽庶品或陳明
薦謹以先師云云
七月二十八日道會時
白紙二卷
壯紙十丈自官所送郡守鄭?
松墨六丁
甘醬一斗燒木五丹
校任
都有司黃璨
掌議南斗元【四月日遞】
齋任琴銓
金致相
都有司權用銓
掌議柳宗開
齋任安夏範
金南彦
都監
黃龍漢【三月日遞】官色嚴重平
黃海翊姜得哲
李惟達金玉立

李慶翊黃聖▣
李說霖
伐木都監
南斗本
朴潤雨
朴履章
李承祖
燔瓦都監
朴興道
秦遇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