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환안도회시(還安道會時)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692.4721-20170630.Y17219072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2
형태사항 크기: 24 X 22.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환안도회시(還安道會時) 통문(通文)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소재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통문(通文)이다. 통문은 풍기향교 이건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개최된 환안도회(還安道會) 때 성균관(成均館)에 보내기 위하여 영천(榮川) 사람 권경한(權景漢)안동(安東) 사람 정태두(鄭泰斗)가 작성한 것이다. 통문에는 단청(丹靑)에 사용할 뇌록(磊碌)을 구하는 문제가 언급되어 있다. 원래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의 지시로 풍기향교가 사용할 뇌록을 장기현(長?縣)에서 지원 받기로 했는데, 여건의 여의치 않다며 장기현감(長?縣監) 윤승위(尹承渭)가 지원을 거부해 버렸다. 이에 사림들이 성균관에 본 통문을 보내 장기현감 윤승위의 행태를 규탄하고, 뇌록 지원을 촉구해 달라고 요청하였던 것이다. 본 통문에 등장하는 뇌록 지원 문제는 조선시대 향교 운영에 있어 관의 지원과 협조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한 사례가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2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 移建 공사 때 사용되는 磊碌을 구하는 것과 관련해 還安道會에 참여한 士林들이 成均館에 보낸 通文
鄕校雜錄 第二
자료의 내용
慶尙道 豊基郡 소재 豊基鄕校에서 엮은 1692~1720년 「鄕校雜錄」 第二에 수록된 1692년 通文이다. 이 통문은 還安道會에 참여한 士林들이 成均館에 보낸 것으로 풍기향교 移建 때 사용할 磊碌을 구하는 문제가 언급되어 있다. 본 「향교잡록」 제2의 다른 기록에 따르면, 당시 풍기향교는 丹靑에 사용할 뇌록을 長?縣으로부터 지원 받기로 했지만, 長?縣監이 지원을 거부한 상황이었음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뇌록을 구하는 것과 관련해 본 통문이 작성된 것인데, 통문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본 통문은 환안도회, 즉 풍기향교 이건 공사가 마무리 된 후 位版 환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거행된 도회 때 榮川 사람 權景漢安東 사람 鄭泰斗에 의해 작성되었다. 통문에서는 먼저 大成殿에서의 先聖 추모는 교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임을 전제해 놓았다. 그런 가운데 풍기향교 측은 慶尙道觀察使에게 이건 공사 때 필요한 단청용 뇌록을 지원해 달라고 청원하였으며, 경상도관찰사장기현에서 생산되는 뇌록을 사용하라고 지시하였다. 이에 풍기군경상도관찰사의 關文을 장기현에 移文하였지만, 장기현감 尹承渭는 많은 사람들을 이끌고 뇌록을 채굴하기가 여의치 않다며, 뇌록 지급을 거부해 버렸다. 장기현감 윤승위가 직접 뇌록 지급을 거부하자, 환안도회에 모인 사림들은 윤승위가 尊聖하는 도리를 모른다며 그의 행위를 규탄하였다. 통문에는 이상의 경위를 언급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장기현감 윤승위에게 뇌록 채굴을 촉구해 줄 것을 요청해 놓았다. 통문 다음에는 1692년 12월 사림들의 요청에 승복해 장기현감이 뇌록 4두를 보내 온 사실을 부기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가 지방 官學을 대표했던 만큼, 그 운영에 있어 지방관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받았다. 풍기향교가 관에 뇌록 지원을 요청한 것도 그런 사례에 해당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還安道會時太學通文製通【榮川權景漢安東鄭泰斗
欽崇先聖秉彛所同則其於爲聖廟事執不盡心而竭誠哉乃
豊基鄕校移建時以丹?事報請磊碌于巡營磊碌卽長?
所産也方伯旣已行關本郡又爲移文則爲其守令者所當?念本
行而縣監尹承渭不有重地假託▣▣▣回移措語殊抵悖慢旣曰其直太重事
涉抵難又曰領率軍丁掘去云云噫長?縣監不知何許爲人而重
地重事必是恣然耶難是武夫慕聖之誠旣無彼此之殊則其在糾
正之道別異鳴鼓之擧乎生等玆於道會之日不勝憤之是齊
聲奉告于首善之地伏願僉君子凉此採施以爲徵?之地幸甚
同年十二月間長?縣監磊碌四斗專人輸納本校移文內多暖乞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