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5년 도동서원(道東書院)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F.1905.4713-20120630.Y12501010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김노동, 곽태순, 곽종건, 도동서원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작성시기 1905
형태사항 크기: 58 X 34.1
판본: 고문서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관련자료

안내정보

1905현풍도동서원에서 경주옥산서원로 손이시비와 관련하여 발송한 통문
이 통문은 도동서원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것으로 손씨들이 도학연원에 대하여 두찬한 것은 망론이며, 자세한 근거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옛날의 문자를 근거로 공론을 형성하여 양가의 시비를 조정하고 오래전부터 이어온 도통이 어지럽지 않길 바란다고 하였다. 도동서원에서는 손씨들의 근거는 자세하지 않으며 정조의 제문에서도 회재의 도학은 민락으로 직접 이어진다고 하였으며, 이황 역시 수수받은 바가 없다고 하였으니, 후학된 자는 각별히 정성껏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어서 이상정이 동강서원의 상량문을 지었을 때도 이러한 뜻을 새겨놓았고 그 원문은 이미 대들보에 넣었으며 실기를 간행하면서도 넣었다. 이로써 60년전의 분쟁이 끝난 것은 사문의 행운임이 사실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손씨들이 경절공실기를 중간하면서 이미 새겨놓은 상량문을 고치고, 의심스러움이 있는 장문을 보완하고, 도학의 계통과 관련한 서문을 증보하여 간행하면서 문자로서 현란하는 것은 앞이 보이지 않는 위박이 천하의 시선을 막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자신들이 한 가족과 마찬가지인 손이씨들에 대하여 사사로운 감정으로 그 사이를 멋대로 재단할 수 없으나 이는 의리와 관련된 것이므로 한 목소리로 손씨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경계토록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자신들은 옥산서원의 뜻을 따라 도통이 바르게 서길 바란다고 하였다.
『玉山書院誌』,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民族文化論叢』42, 이수환,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2009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李樹健, 일조각, 1995
『良佐洞硏究』,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0.
『수집자료해제집』(3), 이수환, 국사편찬위원회, 2009.
영남대 중앙도서관 소장
이병훈,이수환

상세정보

1905玄風道東書院에서 慶州玉山書院으로 孫李是非와 관련하여 발송한 通文
[내용 및 특징]
내용 및 특징
이 通文은 道東書院에서 玉山書院으로 보낸 것으로 손씨들이 道學淵源에 대하여 杜撰한 것은 妄論이며, 자세한 근거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옛날의 文字를 근거로 公論을 형성하여 兩家의 是非를 조정하고 오래전부터 이어온 道通이 어지럽지 않길 바란다고 하였다. 도동서원에서는 손씨들의 근거는 자세하지 않으며 正祖의 祭文에서도 李彦迪의 도학은 閩洛으로 직접 이어진다고 하였으며, 李滉 역시 授受받은 바가 없다고 하였으니, 後學된 자는 각별히 정성껏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어서 李象靖동강서원의 상량문을 지었을 때도 이러한 뜻을 새겨놓았고 그 原文은 이미 대들보에 넣었으며 實紀를 간행하면서도 넣었다. 이로써 60년 전의 분쟁이 끝난 것은 斯文의 행운임이 사실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손씨들이 景節公實紀를 重刊하면서 이미 새겨놓은 상량문을 고치고, 의심스러움이 있는 狀文을 보완하고, 도학의 계통과 관련한 序文을 增補하여 간행하면서 문자로서 眩亂하는 것은 앞이 보이지 않는 衛朴이 천하의 시선을 막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자신들이 한 가족과 마찬가지인 孫李氏들에 대하여 사사로운 감정으로 그 사이를 멋대로 裁斷할 수 없으나 이는 義理와 관련된 것이므로 한 목소리로 손씨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경계토록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자신들은 옥산서원의 뜻을 따라 道統이 바르게 서길 바란다고 하였다.
이처럼 孫仲暾李彦迪 舅甥간의 학문적 연원 문제로 야기된 孫李是非의 배경은 李彦迪의 출사와 그가 대학자로 성장하는데 외삼촌인 손중돈의 역할이 컸다는데 있었다. 위 통문의 내용을 보다 자세히 풀어보면 退溪 李滉이 撰한 李彦迪 行狀에는 비록 외숙인 愚齋에게 배우기는 했으나, 성리학은 전수받은 곳이 없이 스스로 학문에 분발하였다고 말하고 있으며, 正祖가 찬한 제문에서도 이황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후 별다른 異見없이 이 의견이 전해지다가, 1773(癸巳)손중돈을 배향하는 東江書院廟宇 중건시에 작성된 大山 李象靖의 廟宇重建上樑文으로 한차례 논란이 있었다. 당시의 사정은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문제가 된 상량문은 이씨측의 강력한 항의와 여론의 압력에 굴복해 當日에 勘定하여 본가로 還推했다. 이후 이 문제는 잠복되어 있다가 1845(乙巳)년 『愚齋實紀』를 增補하여 간행할 당시에 李象靖이 지은 묘우중건상량문의 삽입 문제로 또 한 차례 논란이 되었다.
당시 상량문의 원본을 확인할 수 없지만, 1905(乙巳)년 『경절공실기』중간에 실린 상량문에서 문제가 된 부분은 晦齋愚齋의 道脉을 的授했다는 내용이다. 1845년 당시 손씨측이 이 상량문을 삽입하려고 하자, 이씨측은 강력히 항의 하면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鄕內 뿐만 아니라 道內 전역에 통문을 돌려 손씨측을 압박해 나갔다. 이 시기도 상량문 작성시와 마찬가지로 이씨측과 도내 사림의 여론에 굴복해서 손씨측의 의도대로 문집 중간이 진행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이 문제가 양 문중간에 격렬한 시비로 확대된 것은 1904(甲辰)년 이씨 宗家인 無忝堂에서 이언적이 쓴 우재에 대한 狀文과 輓詞가 발견되었고, 이를 계기로 손씨측에서 실기를 중간하면서 부터이다. 1905년 4월에 손씨측에서 『경절공실기』를 중간하면서 이씨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驪江世稿』에 실려 있다고 하는, 이언적이 소찬한 狀文과 輓詞를 삽입하고, 여기에 추가로 이언적의 諱를 쓰고, 또 그전에 문제가 되었던 이상정의 상량문 문구 중에서 ‘淵源道脉句’를 附註하고, 나아가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孫海翼, 孫最秀 등이 이언적의 학문이 손중돈에 연원하고 있다는 내용의 진성이씨 3인의 시와 발문을 받은 것은 이 문제에 대한 손씨측 입장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회재의 도맥연원과 관련된 『景節公實紀』가 중간되고 반포되자, 良洞書堂會中에서는 곧바로 인근 鄕內 14문중에 回文을 돌려 1905년 4월 11일에 玉山書院에서 이를 성토하는 모임을 가졌다. 이후 도내 열읍 校院 등처에 통문을 돌려 자신들의 입장에 동조해줄 것을 호소하는 한편, 5월에 있는 玉山書院 體仁廟 還安시 도회에서 손씨들을 성토하는 결의문을 작성하고자 했다. 이에 일부 문중에서 이들을 중재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대세는 이씨 측에 유리하게 전개되어갔다.
자료적 가치
이 통문은 조선후기 신흥세력의 성장과 향론의 분열로 인해 사족지배체제가 약화되던 가운데 재지사족 상호간의 향중쟁단인 鄕戰의 한 사례를 알려준다. 19세기 중반이후 영남내 班村을 형성하고 있는 곳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빠짐없이 크고 작은 시비와 갈등이 있었다. 영남내 是非들 중 가장 치열하게 전개된 것은 학문적 연원문제로 야기된 것이었는데 安東의 ‘屛虎是非’, 星州의 ‘寒旅是非’, 慶州의 ‘孫李是非’가 대표적이다. 이들 시비는 단순히 해당 문중간의 문제가 아니라 타 지역의 문중들에게까지 확대됨으로서 갈등은 더욱 심화시켰다. 이 자료는 이씨측의 입장을 옹호하는 도동서원의 입장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2007년 10월 10일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었음. 도동서원은 1605년(선조38) 지방 유림에서 寒暄堂 金宏弼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으로 조선중기 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형식과 강당과 사당의 공포양식 및 담장 구성수법 등에서 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강당·사당과 이에 딸린 담장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원 전면에 위치한 신도비, 은행나무 등을 포함한 서원 전역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 있다.
『玉山書院誌』,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民族文化論叢』42, 이수환,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2009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李樹健, 일조각, 1995
『良佐洞硏究』,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0.
『수집자료해제집』(3), 이수환, 국사편찬위원회, 2009.
영남대 중앙도서관 소장
이병훈,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5년 도동서원(道東書院) 통문(通文)
玄風 道東
通文
右文爲通諭事伏以道學之淵源至重不可以妄論也文字之眞贋易卞難容以杜撰也窃惟 貴鄕孫氏李之是非乃定亦已久矣顧此遐鄕晩生不須更事覼縷而盖我
永直沂閩洛一句
正廟朝雲章侑祭之孔昭罔有淵源無授受處等語 陶山翁扶德之金釋至公凡我東方之爲臣庶與後學者固當恪守尊信達諸不悖而俟諸不惑者也所以 大山先生所撰東院樑頌之文
乍書旋刪其旨意盖可知也原本之文已納諸樑而實紀之刊亦行于世呶呶之向熄殆至六十年于玆則實亦斯文之幸也近聆孫氏重刊 景節公實紀而樑頌之已刪而改補狀文之傳疑而增刊
特叙道學之綂緖眩亂文字之始終欲以衛朴之無目廢天下之視是豈可得爯哉 鄙等之於孫李氏俱是同室豈敢以毫分私意低仰於其間而爲是事關義理不容不一聲以警厲之也鳴呼
景節公之厚德卓行照耀當世矜式後生非不壯且盛矣而便孫氏言之擬議於萬古道學之淵源者無或過歟鄙等從事之院係是道統所在之地也聞此膠執之擧遠貢彛裏之
激 僉尊旣在崇衛義急纓冠亟張公議仍旧文字調停兩家之是非毋亂百世之統緖千萬幸甚
右文通
玉山書院 乙巳五月十五日道東書院會中 幼學 郭㻀坤
進士 金魯東
參奉 郭東源
幼學郭台坤
金永運
金熙祚
郭鍾奭
金熙敎
郭永甲
金熙載
金瀅東
郭址純
裵正綱
金斗埴
金寬埴
郭鍾健
金輔東
金熙根
金觀埴
金元埴
郭鍾林
金起東
郭泰淳
金熙溎
郭萬奎
金胤埴
金熙㴤
郭緩根
朴珽鎭
郭宗籙
金熙祿
金熙翼
郭鍾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