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2년 이각현(李珏鉉) 등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B.1882.0000-20180630.620231000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이각현
작성시기 1882
형태사항 크기: 74.0 X 61.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 1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82년 이각현(李珏鉉) 등 소지(所志)
1882년(고종 18) 10월에 영천(永川) 자양면(紫陽面)에 사는 이각현(李珏鉉) 등이 고을 관아에 올린 소지(所志)이다. 마을 선산에 억지로 무덤을 쓴 족인(族人) 이승은(李承殷) 등은 작년에 소송에서 패했지만, 아직도 무덤을 옮기지 않고 있다고 호소하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882년에 永川 紫陽面에 사는 李珏鉉 등이 연명하여 고을 관아에 올린 所志
1882년(고종 19) 10월에 永川 紫陽面에 사는 李珏鉉 등이 고을 관아에 올린 所志이다. 벽진이씨 문중은 1881년 9월부터 族人인 李承殷紫陽面 마을 뒤에 있는 선산을 두고 분쟁을 벌였고, 같은 해 10월 26일에는 圖形에 따라 李承殷의 무덤을 파내라는 처분을 받은 바 있다.
李珏鉉 등은 10월 26일 처결 이후에 일어난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호하였다.
"저희 族人인 李承殷이 선영의 單主腦를 압박하는 땅에 偸埋한 고통스럽고 절박한 일로 누누이 수령께 호소하였고, 작년 圖尺한 일자에 다행히도 移掘하게 하여 相殘하는데 이르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양쪽에 신신당부하면서 ‘속히 파내 가서 다시 呈訴하지 말도록 하라. 좋게 일을 처리해 가도록 하라.’라고 題敎하셨습니다. 저희는 엎드려 명령을 듣고 물러나 처분을 기다렸습니다. 1년이 되는 동안 저희 一門은 위로는 80살 노인부터 아래로는 白面 소년에 이르기까지 절대 그의 악습과 패행은 견주지 않았습니다. 다만 무덤을 옮기는 제일의 일만 正正하게 깨우쳐주고, 절절히 윤리로 타이르고, 꾸준히 족친의 정으로 부탁했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거의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사나운 저 李承殷은 끝내 과오를 뉘우치지 않고 무덤을 옮길 뜻이 전혀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즉 族人 李承殷은 판결이 난 지 1년이 되도록 아직 무덤을 옮기지 않고 있다. 李珏鉉 등은 엄명히 처단하여 즉시 무덤을 파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대한 수령의 처결은 16일에 내렸는데, "訟理는 落科했고, 너희 족친의 정의는 ...(결락)... 옮겨가야 한다. 그런데 李承殷은 ...(결락)... 지금까지 옮기지 않고 있으니 천만 ...(결락)... 엄히 다스리고 督掘 ...(결락)...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2년 이각현(李珏鉉) 등 소지(所志)

化民李珏鉉李承翰李楨鶴紫陽
右謹陳。伏以。民等族人承殷之偸埋於先塋單主腦壓逼之地。痛迫之事。累累呼訴於城主明決之下。而去年圖尺之日。何幸
閤下以期於使之移掘。無至相殘之意。申申面喩於兩隻。而且題敎內。斯速移掘去。無至更訴。好爲做去敎是。故民等俯伏聽
命。退待處分。延及一年。民等一門。上自八耊下至白面年少。切不較渠之惡習悖行。而但以移塚爲第一件事。正正以▣…▣
題曉之。切切以倫理警之。娓娓以族誼乞之。以至于今日。庶希改寤。而頑彼承殷。終不悔過。落落無移塚之意。世豈有如▣…▣
慢蔑法之類乎。當此奠掃之時。爲子孫眼前刻骨之痛。當復何如哉。玆敢冒煩仰訴爲去乎。伏乞。特施明斷▣…▣
卽刻掘去。得保先壠之地。千萬積善祈懇。

城主處分。
壬午十月日。李大鉉李以鉉李光鉉金承欽李啓鉉李承鐸李源李浩李承文李承百李承奎李承馥李承敬李承年李珉厚李泰厚李載坤李學鉉李郁鉉李承觀等。

官[署押]

以訟理則落科▣…▣
汝矣族誼。則使▣…▣
移去。而李承殷▣…▣
尙此不移。萬萬▣…▣
嚴治督掘▣…▣
得向事。
十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