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8년 영해(寧海) 신구적(新舊籍) 호수(戶數) 구별(區別)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G.1888.4777-20160630.07142680018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치부책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888
형태사항 크기: 21.4 X 150.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888년 영해부(寧海府) 괴시리 일대 주민 호수(戶數) 조정 요청 문서
일련 문서는 영해부(寧海府)에서 호총(戶摠)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호수(戶數)가 증가한 괴시리(槐市里)의 주민이 호적색(戶籍色)을 고발하는 소송을 담고 있다. 괴시리의 주민들이 경상도 감영에 올린 소지류 문서가 5건(①, ②, ③, ⑥, ⑦, ⑨), 괴시리 향중(鄕中)에서 영해부 또는 겸관(兼官)에 올린 첩정이 4건(⑤, ⑧, ⑩, ⑪), 영해도호부사가 경상도 감영에 사건의 경과를 보고한 첩정이 1건(④), 괴시리의 주민들이 소지 또는 첩정을 올리면서 첨부한 뇌물목록 또는 호수 변경 현황 자료가 3건(⑫, ⑬, ⑭)이다. 이 가운데 ①, ⑩, ⑪은 접수하지 못했거나 처결을 받지 못한 문서이고, ④는 문서 원문을 베껴 놓은 것이다.
이 소송은 군현에서 호총(戶摠)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각 마을의 형평성 문제와 담당 서리의 비리 때문에 제기되었다. 이 소송은 당시 호적의 작성은 실제의 호수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에서 지방에 배정한 부세의 총량에 따라, 호를 편제하고 부세를 매기기 위한 절차였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각 문서에 담긴 괴시리의 주민 및 영해부 관아의 호적색의 진술에서 군현 단위의 호총을 작성 행정의 실체를 여러 용어로 표현하고 있다.
소송에서 문제가 제기되는 가장 핵심적인 절차는 바로 '납적(納籍)'과 '반적(頒籍)'이다. 납적(納籍)이란 식년(式年) 전년에 마을별로 각 호의 호구단자(戶口單子)를 거두어 관아에 납부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당시의 호역(戶役) 및 환곡(還穀) 등 납세는 마을 단위로 정하고, 공동으로 마련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호총은 마을에 살고 있는 호의 실제 숫자가 아니라, 부세를 매기기 위해 배정한 기준이었다. 따라서 납부하는 호구단자의 숫자는 마을별로 사전에 정해진 액수에 맞추어 제출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반적(頒籍)이란 정확한 의미를 설명하고 있지는 않지만, 담당서리가 각 마을에 확정된 호수(戶數) 현황을 통보하는 절차로 표현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을에서 납부한 호구단자(戶口單子)에 관인을 찍어서 도로 내려주는 절차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괴시리에서 식년(式年) 전년에 '납적'(納籍)한 호수는 24호(戶)였지만, 호석색(戶籍色)이 식년 봄에 반적(頒籍) 한 수량은 거기에 10戶가 증가한 것에서 발생하였다. 마을 주민의 주장에 의하면, 호적색은 마을과 합의도 없이 멋대로 자기가 적지(籍紙)를 구비하고[自備籍紙] 거기에 민구(民口)를 써 넣어[自書民口] 만든 호구단자(戶口單子)를 반적(頒籍)한 것이다.
마을 주민이 고발하고 있는 호적색(戶籍色) 이름은 윤일찬(尹一燦)이고, 그는 오랫동안 고을의 수리(首吏)를 맡고 있는 윤주길(尹周吉)의 아들이었다. 영해부의 원총(元摠)은 2,552호였다. 그런데 금년 호적대장에는 400여 호가 부족한 상태가 되어 버렸다. 이는 윤일찬이 저지른 일로서, 돈을 주면 실제 호가 존재해도 호수를 줄여주고, 돈이 없으면 실제 호가 존재하지 않아도 호수를 늘이는 비리를 저질러서 발생한 결과였다.
본 소송과 관련된 소지류 문서는 대부분 감영에 제출된 것이고 본 읍인 영해부(寧海府)에 제출된 것은 1건 뿐이다. 영해부의 양반과 상민이 감영에서 받은 처결을 영해부의 수령에게 접수하는 방식으로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데, 수령은 괴시리의 가좌(家座)의 수를 조사하여 문제가 없다거나 마을 주민인 은호(隱戶)의 죄목이 있다고 하는 등 주민들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게다가 7월 이후에는 수령이 부재중이어서 겸관(兼官)에 첩정(牒呈)을 올렸지만, 겸관은 "본 읍 수령을 기다렸다가 다시 呈訴할 것"이라는 처결을 내릴 뿐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마을에 배정된 호총이 늘어나면 그만큼 주민이 평균적으로 부담해야 할 부세와 역이 상승하는 것이다. 주민들이 실무자인 호적색 서리의 호총배정과 장부조작을 부정비리로 처벌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관아에 호소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럼에도 사안이 부세수취와 관련이 있는 만큼 감사와 부사 등이 이러한 요청을 즉각적으로 처리해 주지 않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1888년 영해(寧海) 괴시리(槐市里) 유학(幼學) 남효직(南孝稷)

등 상서(上書)

남효직 등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대소민인(大小民人)등 상서(上書)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대소민인(大小民人) 등장(等狀)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도호부사(寧海都護府使) 첩정(牒呈)

영해부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향중(鄕中) 첩정(牒呈)

영해부 대소민인

영해부

1888년 영해(寧海) 대소민인(大小民人) 등장(等狀)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대소민인(大小民人) 등장(等狀)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향중(鄕中) 첩정(牒呈)

영해부

대소민인

영해부  인접 관아

1888년 영해(寧海) 대소민인(大小民人) 상서(上書)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1888년 영해(寧海) 향중(鄕中) 첩정(牒呈)

영해부

대소민인

영해부  인접 관아

1888년 영해(寧海) 향중(鄕中) 첩정(牒呈)

영해부

대소민인

영해부 인접 관아

1888년 영해(寧海) 호적색(戶籍色) 감호봉뢰조(減戶捧賂條)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및 영해부

영해(寧海) 호적색(戶籍色) 축호봉뢰조(縮戶捧賂條)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및 영해부

1888년 영해(寧海) 신구적(新舊籍) 호수(戶數) 구별(區別)

영해부 대소민인

경상도 감영 및 영해부

1차 작성자 : 김한신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888년 영해(寧海) 신구적(新舊籍) 호수(戶數) 구별(區別)
1888년(고종 25)에 영해(寧海) 괴시리(槐市里) 마을 주민들이 호수(戶數) 조정문제에 관하여 정소(呈訴)하면서, 서리가 뇌물을 받고 호수(戶數)를 줄여준 내역을 정리하여 첨부한 기록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88년(고종 25)에 寧海 槐市里 마을 주민들이 戶數 조정문제에 관하여 呈訴하면서, 戶籍色이 戶數를 줄여준 내역을 정리하여 첨부한 기록
1888년(고종 25)에 寧海 槐市里 마을 주민들이 戶數 조정문제에 관하여 呈訴하면서, 戶籍色이 戶數를 줄여준 내역을 정리하여 첨부한 기록이다. 괴시리 주민들은 같은 해 5월부터 11월까지 감영과 본 읍 등에 서리가 멋대로 증가시킨 戶數를 다시 줄여달라고 요청하였다. 이 기록은 호적색이 마을 별로 戶數을 얼마나 줄여주었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 기록을 통해서 괴시리 마을 주민이 주장하는 바는, 寧海 관아의 戶籍色이 槐市, 元中, 仁下, 仁上을 제외한 67개 마을과 1개 面의 戶數를 작게는 1戶에서 많게는 10戶를 줄여주고 4천여 냥을 뇌물로 받아먹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戶籍色은 각 마을에서 받은 돈은 役稅를 거둘 때 京營에 마감하는 등에 드는 비용 등의 잡비를 거둔 것일 뿐이라고 하고 있다. 결국 괴시리 마을 주민은 소송에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8년 영해(寧海) 신구적(新舊籍) 호수(戶數) 구별(區別)

新舊籍戶●區別
磨屹津。舊十五戶。新十二戶。
系津。舊十八戶。新十三戶。
件里津。舊十二戶。新十一戶。
乾達。舊十八戶。新十五戶。
大津。舊五十六戶。新四十八戶。
公須津。舊十七戶。新十一戶。
魚臺。舊二十戶。新十五戶。
槐市。舊二十四戶。新三十四戶。加十戶。
城內。舊六十四戶。新六十二戶。
路下。舊二十五戶。新二十四戶。
丑山。舊八十六戶。新六十六戶。
車路。舊十一戶。新十戶。
景汀。舊四十四戶。新四十三戶。
烏每。舊十戶。新九戶。
古谷。舊三十九戶。新三十戶。
下反。舊二十七戶。新二十二戶。
卜坪。舊十四戶。新十二戶。
釜谷。舊二十六戶。新二十四戶。
熊倉。舊六十二戶。新五十七戶。
東魯洞。舊三戶。新二戶。
七星。舊二十七戶。新二十五戶。
鳥頂山。舊十七戶。新十六戶。
白日洞。舊十六戶。新十四戶。
元上。舊二十戶。新十八戶。元皐●
元中。舊二十五戶。新三十一戶。加六戶。
元下。舊十四戶。新十六戶。加二戶。
玉今。舊十三戶。新十二戶。
林頭亭。舊四戶。新三戶。
西仁下。舊二十六戶。新二十八戶。加二戶。
仁上。舊三十四戶。新三十六戶。加二戶。。
佳山。舊二十二戶。新二十戶。
雨仰峴。舊十八戶。新十五戶。
新基。舊二十二戶。新十九戶。
雨井洞。舊十七戶。新十四戶。
葛面。舊二十八戶。新二十三戶。
新里。舊二十戶。新十六戶。
方介洞。舊十二戶。新十一戶。
蒼水院。舊三十六戶。新二十八戶。
日暮所。舊七戶。新六戶。
美下。舊二十五戶。新二十四戶。
美上。舊二十戶。新十八戶。
梧村。舊三十三戶。新三十一戶。
云溪。舊六戶。新五戶。
三溪。舊二十八戶。新二十七戶。
水洞。舊二十戶。新十九戶。
仁川。舊二十三戶。新二十戶。
寶下。舊十七戶。新十六戶。
寶中。舊八戶。新六戶。
栢靑洞。舊二十戶。新十八戶。
揮里。舊二十七戶。新二十二戶。
●里。舊七十四戶。新四十二戶。
蓮坪。舊三十戶。新二十戶。
松下。舊二十六戶。新二十四戶。
新坪。舊二十六戶。新二十二戶。
沙川。舊二十二戶。新十八戶。
月儀。舊十二戶。新十戶。
角里。舊二十一戶。新二十戶。
伊川。舊二十五戶。新二十一戶。
牙谷。舊二十七戶。新十九戶。
元責。舊五十八戶。新四十六戶。
保谷。舊二十二戶。新十六戶。
榮下。舊十五戶。新十三戶。
榮上。舊十九戶。新十六戶。
柄陸。舊五十五戶。新五十戶。
柄津。舊三十四戶。新二十七戶。
白陸。舊二十九戶。新二十七戶。
白津。舊三十六戶。新三十五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