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6년 인동(仁同) 향약소(鄕約所)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F.1896.4719-20140630.E4784545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인동향약소, 성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크기: 81 X 5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96년 인동(仁同) 향약소(鄕約所) 통문(通文)
1896년 12월 초2일, 이원조(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인동의 향약소에서 성주 향교에 보낸 통문이다. 성산이씨 가문에는 이 당시(1896~1897년)에 각지의 향교 등 단체에서 보낸 13건의 통문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두 이재의이봉우의 잘못을 성토하고 처벌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동의 향약소는 이들의 잘못에 크게 분노하고 있다는 사실과 성주 향교의 어른들은 같은 고을에 일어난 일을 분개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96년 12월 초2일,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仁同의 鄕約所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1896년 12월 초2일,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仁同의 鄕約所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이다. 星州에 있는 星山李氏 가문의 인물인 李源祚는 조선후기 노론 집권기에 남인으로서는 드물게 1품의 반열에 올랐고, 학문적으로는 영남 주리론 계열의 대표적인 학자였다. 그의 사후 凝窩先生文集을 간행했다.
그런데 이 문집에 실린 문구에 불만을 제기하여 소란을 피운 사건이 일어났다. 즉 白洞에 사는 晴暉堂 李承(1552~1596)의 후예인 李載儀李鳳宇가 문집안에서 晴暉堂을 ‘公’으로 칭한 것에 불만을 품고 강제로 冊板을 훼손한 것이다. 李承(1552~1596)의 본관은 全州이고, 행적이 國朝人物考에 실려 있는 인물이다. 실제 凝窩先生文集을 보면 ‘新溪書院追享時告由文’이란 글이 있다. 여기서 ‘公과 師友들은 덕을 갖추어 행실이 온전했고[公維師友 德備行全]’라는 구절에서 李承을 ‘公’이라고 칭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星山李氏 가문에는 이 당시(1896~1897년)에 각지의 향교 등 단체에서 보낸 13건의 통문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두 李載儀李鳳宇의 잘못을 성토하고 처벌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본 통문은 그 가운데 仁同의 鄕約所에서 보낸 것으로 李載儀李鳳宇의 행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첫째는 定憲公[李源祚]가 지은 글은 아주 잘 헤아리고 鄭重한 내용이라는 것이다. 둘째는 설령 후손이 선조를 尊慕하는 마음으로 그 칭호에 불만이 있다면, 책판을 세길 때 本家[星山李氏 가문]에 왕복하면서 교정하고 윤삭하는 것도 가능했다. 그런데 初刊하고 重刊하는 동안 아무 말도 없었다. 그런데 지금 不問曲直하고 무리를 이끌고 와서 책판을 부수다니, 고금천하에 어찌 이런 변괴가 있냐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적하고, 仁同의 鄕約所는 이들의 잘못에 크게 분노하고 있다는 사실과 星州 鄕校의 어른들은 같은 고을에 일어난 일을 분개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하고 있다. 이어서 이들의 죄를 일제히 성토해야 하며, 이들을 儒所에서 축출하고 사류에서 영원히 제외시켜야 한다고 하고 있다.
본 通文에 연명한 사람은 張斗晦, 張龍晦를 비롯한 34명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6년 인동(仁同) 향약소(鄕約所) 통문(通文)

通文。
右文通諭事。伏以。世或有欲尊祖。而反忝先者。卽白洞李氏是已。定憲公之爲 晴暉堂所制文字。何等商量何等鄭重。而設令
爲人後者尊慕之心。措其辭稱其號。雖或有未滿。其於鋟梓。閱歲往復本家釐正之潤削之。未爲不可。而初刊重役都無一言
半辭。迺於今日。所謂李載儀李鳳宇輩。不問曲直不度事理。{口+奏}其子弟。率其徒黨。至有投入破板之境。古今天下。此何變怪。
處在同鄕。渠不聞刊役之擧耶。當初岸視。猝生尊祖之心耶。宿昔含怨。因此擺柄而然耶。如此之人。晴暉悖孫。斯文亂賊。鄙
等雖晩後遠外聽聞。猶不勝共憤之心。僉尊事在同室。變出同鄕者乎。伏願齊聲共討。載儀鳳宇卽地付罰黌堂。逐
出儒所。永絶士類。不齒人藪。千萬幸甚。
右文通。
星州鄕校。 丙申十二月初二日。仁同鄕約所會中。張斗晦 張龍晦 趙鉉明 張箕鶴 申意均 宋源輔 申永仁 申永斌 宋鎭夏 張奭喜 張世駿 申永錫
李學淵 宋鎭旭 張來遠 張衡杓 柳奭 張斗遠 張龍甲 金祉遠 宋鎭庠 朴周夏 宋鎭樞 柳晪 趙正源
尹韶儀 申永仁 朴右寧 張紀遠 張昞喜 張永升 朴周華 張震遠 張志求 等。

[피봉]
星州
鄕校 僉座前 入納。
仁同鄕約所
會中通文。
[피봉]
丙申十二月初二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