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B.1736.4717-20140630.00042310002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이시일, 진보현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36
형태사항 크기: 71.5 X 6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소지(所志)
1736년(영조 12) 10월, 안동에 사는 고성이씨 문중의 이시일진보현감에게 올린 산송 관련 소지이다. 고성이씨 문중은 도곡리에 있는 문중 묘역을 두고 영해의 권씨 문중과 분쟁을 벌였다. 이 분쟁은 1735년부터 시작되어 1854년까지 1백여 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와 관련된 문서로 현전하는 것은 13건인데, 본 문서는 이 가운데 4번째 문서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736년(英祖 12) 10월, 安東에 사는 固城李氏 문중의 李時一眞寶縣監에게 올린 山訟 관련 所志.
1736년(英祖 12) 10월, 安東에 사는 固城李氏 문중의 李時一眞寶縣監에게 올린 山訟 관련 所志이다. 固城李氏 문중은 陶谷里(道谷里 현재 예안면 인계리)에 있는 문중 묘역을 두고 寧海의 權氏 문중과 분쟁을 벌였다. 이 분쟁은 端宗의 외할아버지인 權專(1371~1441)의 묘소가 固城李氏 문중 묘역 안에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인데, 1735년부터 시작되어 1854년까지 1백여 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와 관련된 문서로 현전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작성 시기에 따라 부여한 번호임)
1736년에 작성된 所志 3건(①,②,④-본 문서) 議送 1건(③) 決訟立案 1건, 1782년에 작성된 所志 2건(⑤, ⑥) 1809년에 작성된 所志 1건(⑦) 表文 1건(⑧), 1842년에 작성된 上書 1건(⑨), 1847년에 작성된 所志 1건(⑩) 議送 1건(⑪), 1854년에 작성된 所志 1건(⑫), 傳令 1건(⑬)이다.
관련문서(①번 문서)에 의하면 1735년 겨울과 다음해 봄에 각각 소송이 벌어진 것을 알 수 있으나, 이는 문서가 남아 있지 않다. 이 두 소송에서 패한 寧海의 權氏 문중은 가을에 국왕에게 上言을 올렸고, 이 上言이 받아들여져 감영에서는 眞寶縣監을 査官으로 지정하여 조사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분쟁지가 안동에 있고 소송의 상대방이 寧海에 있음에도 眞寶縣監에게 所志를 올린 이유는 이 때문이다. 1736년 9월에 작성된 소지 2건(①,②)은 모두 眞寶縣監에게 상달된 것이다. 眞寶縣監이 조사를 바치고 감영에 보고를 올리자, 李時一는 같은 해 10월에 감영으로 議送을 올린 바 있다.(③) 본 所志는 본 사건을 마무리 하면서 眞寶縣監에게 올린 것이다.
사건의 자세한 정황은 연관문서(①,②,③)에 언급되어 있다. 본 문서에서 李時一이 말하고 있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와 寧海權德普와 서로 다툰 사안은 이미 피차의 소지 및 原情에 다 나와 있습니다. 訟官께서도 사실을 조사하여 감영에 보고하였으니, 그간의 곡직은 또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감영에서 내린 題辭에 근거하여 공문을 보내어 소송 당사자 들은 데려오라고 하였으므로, 저는 공문이 도달한 즉시 관아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權德普는 끝까지 그림자조차 보이지 않습니다. 이는 그가 자기 논리가 잘못된 것을 알고 응대할 수 없어 그런 것입니다. 저는 다른 고을 사람인데 여기서 여러 날 대기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집에 급한 우환이 생겨 오래 떨어져 있을 수 없습니다." 라고 하였다. 즉 이미 權德普의 上言은 誣告로 판결났으니, 그를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 돌아갈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 대해 眞寶縣監은 25일에 李時一에게 돌아가도 무방하다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소지(所志)

安東居幼學李時一
右謹言所志。矣與寧海權德普等相訟事段。已盡於彼此所志及原情中是遣。訟官敎是又爲摘奸圖形論報是乎則。其間
是非曲直。今不必架疊是置。營門題辭論理決給是乎旀。彼此兩隻處捧招以給亦云云敎是乎所。自官營題據移文推捉
是乎等以。到移卽爲待令官門。已過三四日是乎矣。同權德普等終無形影是乎所。此必渠等自覺理屈。無面應對之致
是置。他官之人累日等待爲難哛不喩。家有切迫憂患。亦難久離乙仍于。敢此仰訴爲去乎。
參商行下爲只爲。
行下向敎事。
訟官 處分。
丙辰十二月 日。所志。

[訟官] [署押]

營門題辭內。兩隻捧招亦是乎等以。
元告權德普等移文本府。使之起訟
是乎矣。起訟出移汝矣等來到多日。
權德普等終無形影。兩遠捧招。其
勢無路。客地久留爲難。則先爲還
去無妨向事。
卄五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