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주군향교사례조사표(慶州郡鄕校事例調査表)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Z.0000.4713-20090831.Y0910105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기타-명함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작성주체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형태사항 크기: 20 X 29
수량: 3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한글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관련자료

안내정보

경주군향교사례조사표(慶州郡鄕校事例調査表)
경주향교의 제반 사항을 기록해 놓은 문서로 한말(韓末)에 제작되었다. 한말 일제는 향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각 고을에 명을 내려 소재지 향교의 제반 사항을 조사하여 보고하게 했다. 본 문서는 이때 경주향교경주군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본 문서에는 향교의 인적, 물적 사항이 세 시기별로 기재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후대로 내려 갈수록 향교의 사항이 열악해 지고 있다는 점이다. 향교의 학생 수의 감소, 각종 행사의 축소, 보유 물자의 감소 등 한말로 내려 올 수록 위축되어 가는 향교의 모습을 여실히 살펴 볼 수가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韓末 慶州鄕校의 제반 사항 등이 기록된 문서로 경주군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된 조사표
내용 및 특징
慶州鄕校에 소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各公文編纂綴」이라는 제목으로 영인된 고문서(23건) 중의 하나이다. 본 문서는 일종의 조사표로 경주향교의 제반 사항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1908년 이후 작성 된 것으로 보이는 이 문서는 일제가 향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자료적 기반을 만들기 위해 경주향교에 명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일제는 한말 향교의 제반 업무에 대한 간섭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방관을 통해 鄕校田畓을 조사케 하였다. 이 외에도 일제는 여러 차례에 걸쳐 향교를 통제하기 위해 향교에 대한 제반 사항을 조사 보고케 하였다. 경주향교 역시, 「各公文編纂綴」에 따르면 1909년 5월 帖諭 第129號를 통해 경주향교 소유 전답에 대한 조사를 보고토록 지시하는 등 향교 운영의 전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慶州郡鄕校事例調査表도 이러한 일제의 정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침에 따라 경주향교에서 경주군수에게 보내기 전, 草稿로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표에는 경주향교의 인적,물적 사항 등이 古代,近代,現代로 나뉘어져 기록되어 있다. 모두 12항목으로 任員, 賜牌結卜幾許, 享祀一个年幾次, 一个年二次, 祭需, 儒林校生(鄕飮禮,儀禮式,設講何所,論題何經書), 任員任免期限, 校任差帖規式署押形樣, 地主官의 何時展謁, 校宮基地, 任員何時會同, 入直與否가 차례로 기록되어 있다. 각 항목은 古代,近代,現在로 구분되어 있는데 구분 기준은 확실치 않으나 古代는 조선왕조 때 실시되었던 향교의 節目에 따른 規式인듯하며, 近代는 20세기 전후 일제의 간섭이 있었던 시기, 現在는 1910년 일제강점기를 전후 일제가 향교 운영을 본격적으로 통제하던 시기인 듯하다. 이를 통해 시기적으로 경주향교의 운영 사항을 비교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몇 가지 항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원의 경우 古代는 都有司 1명, 掌議 2명, 色掌 1명, 校生 60명, 守僕 2명, 下隸 50명, 婢子 20명이었는데, 近代가 되면 나머지는 仝上이나 교생 若干, 守僕 1명, 下隸 7명, 婢子 4명으로 축소되고, 현재에는 都有司,掌議,色掌,校生,婢子가 모두 없어지고 廟直과 下隸만 각각 1명씩 존치된다. 토지의 경우도 고대에는 賜牌가 8결 2부 9속이고 畓이 500두락. 田이 400두락이었으나, 近代와 現在에는 賜牌를 月城小學校 설립 시 기부해 버리고, 畓은 246두 2승락, 田은 297두 7승락으로 축소되고 만다. 儒林校生의 여러 의식도 古代와 近代에는 鄕飮禮가 연 1,2차, 設講이 每月朔望兩次 이루어졌으나 現代에는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일제의 향교 통제정책에 의해 운영이 많이 열악해지고 위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구한말~일제시대 일제의 향교 통제 정책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본 문서는 일제가 향교 운영을 통제해 가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향교 운영이 위축되는지 상세히 나타난다. 문서에는 향교의 인적구성, 경제력, 제의적 기능, 강학적 기능 등을 구분하여 시기적으로 양적 축소 사항과 실시 여부가 나타나 있는데, 전반적으로 現在가 되면 대부분이 열악해지고 위축된다. 경주향교가 경상도 내 비교적 안정된 향교임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추세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다른 지역의 향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을 것으로 보인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주군향교사례조사표(慶州郡鄕校事例調査表)
慶州郡鄕校事例調査表
一任員
古代都有司一人掌議二人
近代仝上
現在無
古代色掌一人校生六十人
近代仝上若干人
現在無
古代守僕二人下隸五十人牌子二十人
近代無〔一人〕七人四人
現在無〔庫直〕一人小使一人無
一賜牌結卜幾許
古代■(畓)八結二負九束
近代【開國五百七年本郡月城小學校建立時寄付

現在無
一田畓
古代畓五百斗落田四百餘斗落
近代畓貳百四十六斗貳升落
現在仝上仝上
一享祀一个年幾次【又別樣亦錄入

一个年二次【春二月秋八月
一个年二十四次焚香
】別樣無【古近現■仝

一祭需【大小牢牲果品酒膰籩豆一一錄入

古代大牢貳頭羊腥五頭豕腥三頭鹿脯■〔四〕百■■■〔八〕塊
魚脯■〔四〕百■■■〔八〕塊魚脯■〔四〕百■■■〔八〕塊兎鹽壹百三十六豆
魚鹽壹百三十六頭
鹿鹽壹百三十六豆沈鹽壹百三十六豆芹菹壹百三十六豆
韮菹壹百三十六豆苟菹壹百三十六豆菁菹壹百三十六豆
簠稻壹百三十六器簠粱壹百三十六器
簋黍壹百三十六器簋稷壹百三十六器
形鹽壹百三十六豆芡仁壹百三十六豆
菱仁壹百三十六器黃栗仝上
乾棗榛子仝上幣篚酒燭
近代大牢一頭羊腥壹頭豕腥壹頭酒燭幣篚
魚脯壹百三十六塊魚脯壹百三十六尾鹿脯壹百三十六頭【現代牛肉
】魚鹽壹百三十六豆鹿鹽二十一豆兎鹽二十一豆【現代牛肉

簠稻簠果簋泰簋稷各壹百三十六器菁菹芹菹韮菹苟菹各壹百三十六■〔器〕
榛子芡仁黃栗菱仁乾棗各壹百三十六籩形鹽壹百三十六豆
一儒林校生【鄕飮禮儀禮式設講何所論題何經書

古代儒林校生이一个年一二次鄕飮禮及儀禮式을行하며
校生으로하여곰明倫堂에設講하야每个同朔望兩
次에試講을行야賞■〔罰〕를授與며論題은七
書及外傳百家書
近代仝上
現在無
一任員任免期限
古代任員任免期限은定期가無며自校中으로薦報
■■■■〔近代〕或校中으로薦報或自官自辟
現在自官任免
一校任差帖規式署押形樣
古代【鄕校者有司及掌議■
付箋라仝
】餘外各人은掌議■■■〔及儒林이〕議決推薦
一地主官이何時展謁
古代每月朔望에謁省
近代仝上
現在春秋釋奠時展謁
校宮基地古代幾坪近代減爲幾坪
古代
近代仝上
現在仝上
一入院何時會同
■■〔古代〕有司別會同
近代仝上
現在仝上
一入直與否
古代掌議二人이遞番入直
近代仝上
現在廟直入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