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86년 4월 「욱양거접시향중발통문(郁院居接時鄕中發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1786.4721-20180630.Y18219073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백고리사, 욱양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작성시기 1786
형태사항 크기: 24.5 X 2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86년 4월 「욱양거접시향중발통문(郁院居接時鄕中發通文)」
1786년(정조 10) 4월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욱양서원(郁陽書院) 사림이 풍기군 출신의 유학자 단곡(丹谷) 곽진(郭??)[1568~1633]을 제향(祭享)하는 일로 향중(鄕中) 사림에게 보낸 통문(通文)이다. 이 통문은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에 수록되어 있다. 풍기향교에는 4책의 잡록이 전하는데, 다른 잡록과 달리 이것은 백고리사(白皐里社) 측에서 기록한 것이다.
통문에서 욱양서원 사림은 곽진의 절의(節義)와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후세의 긍식(矜式)이 되나, 사력(事力)이 부족하여 아직까지 그를 제향하는 사우(祠宇)를 건립하지 못하고 있음을 안타까워하며, 조만간 고을에서 열리는 경로회(敬老會) 때 이 사안을 함께 논의하자고 건의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을 사림의 공론에 의거해, 그 해 12월 곽진을 제향한 백고리사풍기군에 건립되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86년 4월 慶尙道 豊基郡 소재 郁陽書院 사림이 풍기군 출신의 유학자 郭𡺽을 제향하는 일을 논의하고자 鄕中 사림에게 발급한 通文
丙午十二月始 雜錄
자료의 내용
1786년(정조 10) 4월 慶尙道 豊基郡 소재 郁陽書院 사림이 鄕中 사림에게 발급한 통문이다. 이 통문은 豊基鄕校에 소장되어 있는 『丙午十二月始 雜錄』에 「丹谷先生奉安文」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풍기향교에는 모두 4책의 잡록이 전하고 있는데, 다른 3책은 풍기향교 잡록이지만, 이 잡록은 白皐里社의 것이다. 통문은 욱양서원 사림이 풍기군 출신의 유학자 丹谷 郭??[1568~1633]을 祭享하는 일로, 향중 사림에게 의견을 묻고자 발급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논의는 결실을 보게 되어, 그 해 12월 풍기군에 곽진을 제향하는 백고리사가 건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통문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통문에서는 먼저 단곡 곽진의 節義와 文章을 칭송하였다. 그래서 道會를 개최한 날에 풍기군의 사림들이 한 목소리로 그를 제향하자는 의견을 내었고, 이에 順興都護府의 사림에게 통문을 발급하여 아직까지 廟宇를 건립하지 못한 것은 우리 儒林의 闕典임을 자책하였다. 그리고 덧붙여 풍기군은 곽진이 태어난 곳이고, 곽진에 의해 교화된 곳이기에 우리 고을에서 그를 제향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에 앞서 이런 논의가 여러 번 발의되었으나, 갑자기 큰 예를 거행하기에는 事力이 부족해 끝내 효과를 보지 못했던 것을 한탄하였다. 그런 관계로 욱양서원에서 이번 文會 때 본 통문을 향중에 발급하여, 멀지 않아 열리는 鄕黨의 敬老會에서 함께 구획하는 방도를 논의하자고 건의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선현을 제향하는 院祠의 설립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무렵 추모 시설인 서원·사우의 설립과 선현의 제향은 사림의 공론에 의거해 결정되었다. 곽진은 풍기군 출신의 유학자인데, 본 통문에는 그를 제향하는 사우를 건립하기 위하여, 고을 사림들이 공론을 모으는 과정에 나타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郁院居接時鄕中發通文【丙午四月日】
右文爲通諭事伏以惟我丹谷郭先生節義文章?
爲百世之所矜式尸祝之議頃發於道會之日本郡
亦嘗齊聲響應通告於順邑者而尙未能建廟
宇擧縟儀此是儒林之闕典?爾吾鄕爲先生篤
生之地服先生導迪之化至今?染百世不泯則先
生尸祝之所允宜於吾鄕爲之向前此議累發而累
格只緣事力之不能猝備大禮之未及輕擧耳鄕後
生抑鬱之情終無以效其誠則豈不誠大可慨然處
耶玆因本院文會謹此奉告匪久似有鄕堂敬老之
會其時可得合席講議區?之道伏惟垂察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