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0년 이두훈(李斗勳)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B.1880.0000-20180630.7922310003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이두훈, 고령현
작성시기 1880
형태사항 크기: 98.5 X 55.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 1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80년 이두훈(李斗勳) 소지(所志)
1880년(고종 17) 7월에 성주(星州) 운산(雲山)에 사는 이두훈(李斗勳)(1830~1882)이 고령(高靈) 관아에 올린 산송 소지(所志)이다. 고령(高靈) 옥산(玉山)에 있는 친부모 묘소 부근에 몰래 부인을 매장한 성치서(成致瑞)를 고발하였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880년에 星州 雲山에 사는 李斗勳高靈 관아에 올린 산송 所志
1880년(고종 17) 7월에 星州 雲山에 사는 李斗勳(1830~1882)이 高靈 관아에 올린 산송 所志이다. 李斗勳1880년부터 1883년까지 高靈 玉山에 있는 親山을 두고 부근에 거주하는 成致瑞과 산송을 벌인다. 본 소지는 이 소송에 관련된 자료 가운데 첫 번째 문서이다.
李斗勳은 소지 본문에서 사건 경위를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저[罪民]의 親山은 治下의 玉山에 있습니다. 뜻하지 않게 지난 12일에 玉山에 사는 成致瑞라고 이름한 사람이 그 며느리를 腦後 지척의 당에 몰래 묻었다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창황히 가서 보았더니 거의 분묘를 조성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즉시 법정에 가서 소송하려고 했지만, 閤下께서는 마침 출타 중이었습니다. 그래서 먼저 그 공역을 금지하고 행차에서 돌아오시길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저 완악한 成氏는 그 무례한 족당들과 함께 저[罪民]에게 욕설을 하고 하인을 마구 때리는 것이 아주 경우가 없었습니다. 그리고는 끝내 하인을 결박하고 마음대로 분묘를 조성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어지는 李斗勳의 말에 의하면, 玉山 一局은 從先祖인 玉山先生의 遺址였고 400년 이래로 문중에서 가꾸어 오던 곳이었다. 그리고 成致瑞의 조부가 집을 짓고 살게 해달라고 누차 애걸해서 허락해 주었다. 그런데 그들은 ‘남의 대청을 빌려 쓰다가 온 집안을 침범하는 격’인 행동을 하다가, 집 뒤에 暗葬하는 우려를 범하기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즉시 이를 파내게 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이 애걸하는 것이 차마 그렇게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成致瑞李斗勳의 親塋 腦後 지척에 暗葬해 놓고는 자기가 禁養해 오던 곳이라고 주장하니, 적반하장의 격이었다.
이상과 같이 成致瑞의 행위를 비판한 李斗勳은 그를 잡아다 가두고 嚴刑을 가한 뒤에 무덤을 관아에서 파내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高靈 수령은 10일에 처결을 내리길, "듣자니 심히 痛惡스럽다. 이른바 成가를 즉시 잡아 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0년 이두훈(李斗勳) 소지(所志)

星州雲山居罪民李斗勳。泣血上書于
高靈城主閤下。伏以。罪民親山在於治下玉山矣。不意去十二日良中。玉山成致瑞爲名人。暗埋其婦於腦後咫尺之地云。民蒼黃
往見。則幾至造墳之境矣。卽欲赴訴法庭。而適値閤下出次。故始禁其役。以待還次矣。頑彼也。與其無賴族黨。詬辱
罪民。亂打下人。罔有紀極。而竟又結縛下人。恣意成墳。世豈有如許頑悖無法之漢乎。渠所藉口者。自稱渠之禁養。然大抵玉山一局。卽
民之從先祖玉山先生遺址也。四百年來。全屬民家打養。而挽近也之祖。屢請結屋僑居。故始則痛禁是多可。懇乞乃許矣。因爲借廳八
房。至有渠家後暗葬之患。而未卽掘移逐去者。以其哀乞情狀。有所不忍故也。不意今日反稱渠之禁養。而敢又暗埋於民之親塋腦後
咫尺之地。是所謂恩反爲仇賊反荷杖者也。設使渠之禁養。未聞以禁養壓人之墓。況禁養自是民之禁養。則渠敢以禁養爲暗埋渠婦之
欛柄乎。不勝憤鬱。玆敢號訴爲去乎。
參商敎是後。同成致瑞捉囚嚴刑。右塚則自官掘去是遣。禁養則還屬本主之地。千萬泣血祈懇之至。
行下向敎事。
高靈城主處分。
庚辰七月日。

▣[署押]

聞甚痛惡。所謂
哥。卽刻捉來向
事。
十。▣▣。
面主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