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0년 이두훈(李斗勳) 산도(山圖)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B.1880.0000-20180630.79223100037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이두훈, 성치서, 최, 김영호, 고령현
작성시기 1880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 1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80년 이두훈(李斗勳) 산도(山圖)
1880년(고종 17)에 성주(星州) 운산(雲山)에 사는 이두훈(李斗勳)(1830~1882)이 고령(高靈) 관아에 제기한 산송 과정에서 작성된 산도(山圖)이다. 소송을 제기한 이두훈 친산(親山)과 이에 응한 성치서(成致瑞) 며느리를 묻은 새 무덤 등의 위치와 거리가 표기되어 있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880년에 星州 雲山에 사는 李斗勳高靈 관아에 제기한 산송 과정에서 작성한 山圖
1880년(고종 17)에 星州 雲山에 사는 李斗勳이 제기한 산송 과정에서 작성한 山圖이다. 李斗勳은 1880년 7월에 자기 親山 腦後 부근에 며느리를 暗葬한 成致瑞高靈 관아에 고발하고, 관아로부터 成致瑞를 잡아 오라는 처결을 받았다. 본 山圖는 작성 시기는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이 처결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起訟人은 幼學 李斗勳, 應訟人은 幼學 成致瑞이며, 座首 와 色吏 金永琥가 산도 작성에 관여하였다.
山圖에는 李斗勳 친족 산소 및 親山의 위치와 成致瑞 從祖의 산소, 先山 및 子婦를 묻은 새로운 무덤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李斗勳의 親山은 成致瑞 子婦의 무덤과 거리는 35척이고, 앉으나 서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었다. 또한 成致瑞의 先山은 成致瑞 子婦의 무덤과 거리는 75.5척이었고 앉으나 서나 보이는 위치에 있었다.
이상과 같이 작성된 山圖에 근거하여 高靈 관아의 수령은 "親審한 이후 처결할 것이다."라고 題音을 적고 있다. 題音을 적은 일자는 5일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몇 월인지는 알 수 없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0년 이두훈(李斗勳) 산도(山圖)

西向。
○○○李斗勳族山。

李斗勳祖父山。
○○李斗勳族山。
李斗勳族山。
○○○○李斗勳族山。
李斗勳親山。
成致瑞子婦新塚。
相距爲三十五尺半。
成致瑞從祖山。

○○○○○成致瑞先山。

李斗勳親山。至成致瑞子婦新塚爲三十五尺。坐立俱不見。
成致瑞先山。至子婦新塚爲七十七尺半。坐立俱見。
起訟。幼學。李斗勳。喪不着。
應訟。幼學。成致瑞[着名]
座首。[着名]
色吏。金永琥

官[署押]

親審後。當決處
向事。
初五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