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7년 상주 옥동서원(玉洞書院)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B.1847.4725-20160630.Y16502101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내용분류: 정치/행정-보고-청원서
작성주체 옥동서원, 성주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작성시기 1847
형태사항 크기: 98 X 55.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47년 상주 옥동서원(玉洞書院) 상서(上書)
1847년 7월에 황호선 외 43명의 본손이 상주목사에게 원생을 모아서 얻은 사실을 보고하면서, 이 사실과 품목내 원임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이치를 따져서 일제히 완문이 성급될 수 있도록 감영에 보고해 달라는 상서이다. 이 상서는 같은 달에 옥동서원 원임들이 올린 품목 이후에 제출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원임 품목 당시 일의 마지막에 감영에 보고한다는 판결문 외에도 원생에 있어서 옥동서원에서 모은 후 빨리 보고하라는 분부가 있었기에 물러나와 모여서 이일을 의논하였다는 것이다. 원생을 갑작스레 모집하는 것은 충분한 수를 채우기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감영에 보고 하기 전에 원생을 모집한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거의 86명을 모았는데 忠義壇興巖書院의 액수 사례에 의거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과 명단을 책을 엮어서 상주부에 제출하면서 목사는 이 책에 의거하여 이치를 따져 감영에 보고할 때 하나는 옥동서원의 원임이 제출한 품목의 각 항의 조건도 의거하여서, 일제히 완문을 성급 받게 되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하였다. 이에 상주목사는 판결문에서 에서 이미 재임에게 내려준 판결문이 있으니 이어서 하라고 판결하였다. 즉 이전에 내려준 판결문에서 마지막에 감영에 보고하겠다는 뜻을 보였는데, 그것을 재차 표현한 것이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47년 7월에 黃浩善 외 43명의 本孫이 尙州牧使에게 院生을 募得한 사실을 보고하면서, 이 사실과 稟目내 院任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이치를 따져서 일제히 完文이 成給될 수 있도록 감영에 보고해 달라는 上書
1847년 7월에 黃浩善 외 43명의 本孫이 尙州牧使에게 院生을 募得한 사실을 보고하면서, 이 사실과 稟目내 院任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이치를 따져서 일제히 完文이 成給될 수 있도록 감영에 보고해 달라는 上書이다. 이 상서는 같은 달에 옥동서원 원임들이 올린 품목이후에 제출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원임 품목 당시 일의 마지막에 감영에 보고한다는 판결문 외에도 원생에 있어서 옥동서원에서 募入하고 馳報하라는 분부가 있었기에 물러나와 모여서 이일을 의논하였다는 것이다. 이들은 서원에 모여 수령이 大君子를 높여 지키는 어진 서원의 도리가 예사롭지 않음에 마음 깊이 느끼고 기리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서원 내에서 의논하여 현명한 수령과 어진 임금의 존현을 숭보하는 지극한 뜻을 받들고 이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원생에 있어서 갑작스레 모집하는 일은 충분한 수를 채우기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본원으로부터 어렵게 86명을 모아서 얻었는데 거의 忠義壇興巖書院의 액수 사례에 의거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러한 사실과 명단을 成冊하여 상주부에 제출하였다. 그러면서 목사는 성책에 의거하여 이치를 따져 감영에 보고하되, 하나는 옥동서원의 원임이 제출한 품목의 각 항의 조건에 의거하고, 하나는 完文을 成給받게 되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하였다. 상주목사는 제음에서 이미 齋任에게 내려준 題辭가 있으니 이어서 하라고 판결하였다. 즉 이전에 내려준 마지막에 감영에 보고하겠다는 뜻을 재차 표현한 것이다.
자료적 가치
이 상서는 완문과 품목 등의 관련 문서가 함께 묶여 있어서 당시 옥동서원 유생들이 서원 운영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노력한 실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관에서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과정도 파악되는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청원제도 운영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化民幼學黃浩善等謹齋沐再拜上書于
城主閤下伏以民等頃以先院斗護事有所臚列議送而到付 閤下則 題音內有從當報營之敎而兼有院生自本院募得馳報之 分付故民等退而聚首
感頌 大君子尊衛賢院之道出尋常萬萬因卽議于院中思所以仰承 賢伯仁侯之至意而第伏念院生一節猝難充數知自本院艱募得八十六名僅依忠義壇
興巖額數例仰禀伏想依成冊論理報營而一依本院院任禀目各項條件一倂完文成給之地屛營祈懇之至
城主閤下 處分
丁未七月 日 幼學黃昶熙
黃範熙
黃遠熙
黃永熙
黃淳老
黃綸老
黃宅老
黃衡老
黃海老
黃岡老
黃岱老
黃延老
黃一老
黃弼老
黃益鉉
黃龍善
參奉黃守黙
幼學黃容黙
黃奎鉉
黃台鉉
黃大鉉
黃集善
黃源善
黃摯鉉
黃秉鉉
黃穰
黃珗
黃{王+憲}
黃在喆
黃在鍾
黃基進
進士黃基定
幼學黃在五
黃在穆
黃在禎
黃在宗
黃在直
黃在中
黃在斅
黃馨周
黃憲周
黃翼周
黃鳳周
已有題給於齋承事 哲[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