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B.1897.4777-20160630.07142310004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남유순, 남유수, 남조학, 영해도호부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76.2 X 49.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897년 영해부(寧海府) 영양남씨(英陽南氏) 인천동(仁川洞) 산송문서
일련문서는 영덕 영양남씨(英陽南氏) 괴시파(槐市派)의 산송 관련 자료이다. 문서는 ①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소지(所志), ②1897년 남효정(南孝楨) 산도(山圖), ③1897년 남유순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④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⑤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⑥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⑦1897년 인천 두민, 동장 전령(傳令), ⑧1897년 인천동(仁川洞) 산송시(山訟時) 하기(下記) 등으로 이루어졌다.
산지를 점유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입장(入葬) 후 금양(禁養)이었다. 이와 같이 산지에 한 번 묘를 들인 후, 해당 문중에서 그곳을 3~5대 동안 대대로 점유하면 사실상 배타적인 권한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공유원칙을 분명하게 내세우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사유화를 인정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모호함이 민간에서의 권리다툼을 야기하여 산지를 둘러싼 다툼이 이어졌던 것이다.
이 산송의 경우 영해부 부서면 인천동[또는 인유리]의 영양남씨 선산에 산 아랫마을에 거주하는 권유환이라는 인물이 부친의 무덤을 투장한 사건이다. 1897년(광무 1) 3월, 영양남씨 문중에서는 선산에 투장한 상대방의 무덤을 철거하기 위해 몇 차례 정소했다. 영해부의 수령은 권유환의 투장이 부당하다고 판단하고 철거하라는 처결을 내렸다. 그러나 이러한 철거 명령은 곧바로 이행되지 않았는데, 권유환이 수령의 처결에 불복하고 지체했기 때문이고 당시에는 비록 관의 명령이라도 성급하게 강제이행을 했다가는 자칫 경솔하다는 평가를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산송은 암행어사의 판결을 영해부의 수령이 접수한 뒤, 최종판결로 확정되어 '투장'(偸葬)된 무덤을 철거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영해부에서 장교(將校)를 파견하여 권유환에게 무덤 철거를 명령하려 했지만, 권유환 일가는 도망했다. 이에 고을의 두민(頭民), 동장(洞長)에게도 철거 이행을 촉구하여 같은 해 5월 1일에 권씨의 무덤을 철거했다. 흥미로운 것은 산송에서 발생한 영양남씨 문중의 산송비용이 1897년(광무 1) 인천동 산송시 하기(下記)에 성책되었다는 점이다. 그 내용에 3월 26일부터 5월 1일 무덤을 파낼 때까지 장교, 차사 등에게 들어간 정전(情錢), 행자(行資) 및 주가(酒價) 등의 내역이 기록되었다. 약 두 달간 산송에 들어간 비용은 총 659냥 1푼이었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 관련 소지(所志)

남유순 등

영양남씨 문중

영해부

1897년 남효정(南孝楨) 산도(山圖)

영해부 형방

영해부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유순 등

영양남씨 문중

영해부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유순 등

영양남씨 문중

영해부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유순 등

영양남씨 문중

암행어사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유순 등

영양남씨 문중

영해부

1897년 인천(仁川) 두민(頭民) 동장(洞長) 전령(傳令)

영해부

인천동

頭民, 洞長

1897년 인천동(仁川洞) 산송시(山訟時) 하기(下記)

영양남씨

문중

 


※ 참고논문
전경목, 1997, 「山訟을 통해 본 조선후기 司法制度 운용실태와 그 특징」, 『法史學硏究』18, 韓國法史學會.
1차 작성자 : 김한신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1897년(광무 1) 4월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이 연명하여 영해부(寧海府)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상서(上書)이다. 인천(仁川)에 있는 남씨 문중의 선산에 무덤을 억지로 쓴 권유환(權有煥)과 분쟁을 벌이고 있는데, 지난번 처결에 불복하고 다시 정소(呈訴)하고 있으니, 장차(將差)와 전령(傳令)을 보내어 이행토록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97년(광무 1) 4월에 南有錞 등이 寧海府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上書
1897년(광무 1) 4월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인 南有錞, 南有鏽, 南朝㶅등이 寧海府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上書이다. 분쟁의 대상이 되는 곳은 府西面 仁川에 있는 남씨 문중의 선산이다.
영양남씨 문중은 南有錞南孝楨 등이 연명하여 權有煥이 선산에 아버지의 무덤을 억지로 설치했다고 寧海府 관아에 고발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처결로 지형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權有煥을 패소시키고 무덤을 파내라고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이 판결은 4월 1일에 내려진 것이다. 그러나 權有煥의 무리들이 관의 처결을 이행하지 않고 바로 다시 呈訴하였다. 이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은 다음날에 다시 上書를 올리고 있다. 여기서 요청하는 바는 將差를 보내고 傳令을 내려 달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수령은 "공적인 처결이 내려졌는데 어찌 감히 지체한단 말인가. 하지만 잠시 기다려 볼 것이다."라는 처결을 내렸다. 즉 將差나 傳令은 당장 내려주지는 않고, 그들이 처결을 이행하기를 좀 더 기다리라는 뜻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7년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化民南有錞 南有鏽 南朝㶅等。百拜仰達于
城主閤下。伏以。民等仁川先山局內。●●(禁山)權有煥偸埋事。昨日圖尺。題音內。至有按法。卽爲掘去之敎是乎則。公決之下。渠當惟令奉行。而顧乃復踵
頑習。肆然煩誣於旣決之後者。是豈奉公自掘之意乎。私力之不可下手於其間從可知矣。玆敢更訴爲去乎。伏乞特定將差。傳令山下
洞。以爲依題敎。卽掘之地。千萬祈懇之至爲只爲。
行下向敎事。
城主處分。
丁酉四月日。

使[押]。

公決之下。焉敢漫漶
遷就乎。第俟少頃
宜當向事。
初二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