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39년 권응모(權應模) 등 산송관련 소지(所志)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B.1839.4790-20150630.07302310002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권응모, 권흥모, 권설모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작성시기 1839
형태사항 크기: 74.3 X 57.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39년 권응모(權應模) 등 산송관련 소지(所志)
1839년(헌종 5) 11월에 예천군(醴泉郡) 소저곡(小渚谷)에 사는 유학(幼學) 권응모(權應模), 권흥모(權興模) 등이 겸관(兼官)을 맡은 이웃 고을에 올린 산송관련 소지(所志)이다. 춘우재 문중 집성촌 뒤에 있는 주산에 누군지 모르는 자가 투장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장교가 무덤을 파내게 지시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39년에 醴泉郡 小渚谷에 사는 幼學 權應模, 權興模 등이 兼官을 맡은 이웃 고을에 올린 산송관련 所志
1839년(헌종 5) 11월에 醴泉郡 小渚谷에 사는 幼學 權應模, 權興模 등이 兼官을 맡은 이웃 고을에 올린 산송관련 所志이다. 소저곡은 춘우재 문중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는데, 마을 뒤에 있는 主山은 이 문중이 관리해 오고 있었다. 소지 본문에서는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저희가 渚谷에 산지는 이미 삼백년이 되었습니다. 집 뒤의 主山은 겨우 한주먹 규모인데, 산을 둘러 마을을 이루고 있습니다. ……(결락) 여러 대 동안 지켜왔기에 아무고 감히 넘보거나 발을 들여놓지 못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간혹 뜻밖에 사람들이 무덤을 몰래 쓰는 우환이 있기도 했지만, 관아에서 그때 마다 파서 이장하게 조치해 주었습니다. 이런 일은 문서에 남아 있습니다."
라고 하였다. 권응모 등은 이어서 최근 발생한 偸葬 사건을 고발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뜻밖에도 이번 달 10일에 어디 사는 누군지 모르는 자가 밤에 이전에 다른 무덤을 파낸 자리에 무덤을 偸埋했습니다. 저희는 ……(결락) 이기지 못해 찾아 나섰습니다. 하지만 아직 그 사람을 찾지 못했습니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관아에 요청하기를, 將校에게 즉시 무덤을 파내게 지시해 달라고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수령의 처결은 결락되어 자세히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다음 해 3월 13일에 같은 사안으로 올린 소지를 보면 투매한 자를 찾은 후 파낼 것이라는 처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39년 권응모(權應模) 등 산송관련 소지(所志)

小渚谷居幼學權應模權興模等。
右謹言所志情由段。民等卜居渚谷。已三百年矣。家後主山只是一拳大。而環山成村。起居坐臥▣…▣接也。屢世
保守。莫敢有窺覘投足之患矣。近來人心不古。或有意外偸埋之患。則輒自官掘移者。▣…▣事在近年。
文券自在。而不意今月初十日良中。何處何漢。乘夜偸埋於年前掘移之地是如。民等不勝▣…▣搜覓是乎矣。
未得其人是乎所。玆以舊文券帖連仰訴爲去乎。伏乞。洞燭敎是後。特令將校以爲不日掘▣…▣只爲。
行下向敎事。
兼城主 處分。己亥十一月 日。化民。權卨模權赫模權舜模權炳文權鳳文權絅模權省模權胤模權寅夏權絢文權炳模權泰模權弘模權鶴模權成憲權夏中權翊夏權靖夏權奎文權斗文權贊經權贊周權贊益。等狀。

兼官 [署押]

搜不見▣…▣人後圖尺▣■事。
▣…▣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