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3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G.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3_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내용분류: 사회-역사-역사기록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3.5 X 61.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3
1799년(정조 23) 4월 27일, 이비(吏批)의 정사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이 기록은 당일 입직한 주서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4월 27일, 吏批의 政事 결과 기록.
1799년(正祖 23)4월 27일, 吏批의 政事 결과 기록이다.
이 批答은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政事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전교축에 편철된 문서의 내용에 승정원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전교축의 다른 종류의 문서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본문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3

[日省錄]
己未四月二十七日。政事。
有政。吏批。判書金載瓚在外未肅拜。參判未差。參議鄭尙愚進。行左承旨金熙朝進。啓曰。判書金載瓚
在外未肅拜。參判未差。小臣獨政未安。何以爲之。敢稟。傳曰。只出緊任。以

執義高宅謙尹孫烈。[〇]沈奎魯
司諫鄭觀輝金孝眞。[〇]鄭景祚
掌令。[〇]洪漺尹愭李益㥧
鄭澣李尙夏兪致南
持平尹幼烈南朝翼。[〇]李敬參
李歉秀。[〇]洪宅夏蔡趾承
獻納朴謨淳徐有聞。[〇]朴崙壽。
正言尹在陽。[〇]趙秀民沈晋承
李東宇。[〇]李瑞朝姜世■
副校理。[〇]曺允遂趙陽承韓致應
副修撰。[〇]金熙周張至冕李垿
右尹。[〇]宋銓鄭東愼李鎭復
同義禁。[〇]兪漢謨洪聖淵沈靈泰
呂州牧使。[〇]李潤慶鄭觀年李景漢
行大司成。單李晩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