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서계(書啓)1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B.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3_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계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계
작성주체 김한동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3.5 X 61.5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서계(書啓)1
1799년(정조 23) 4월 27일에 우부승지 김한동이 올린 서계이다. 이 서계는 당일 입직한 주서인 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右副承旨 金翰東이 올린 書啓.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右副承旨 金翰東이 올린 書啓이다.
이 草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승정원일기에 등재되어 있는 書啓는 국왕의 傳諭 및 別諭를 받들고 간 承旨나 史官, 서울로 불러올릴 신하에게 국왕의 명령을 받들고 나간 偕來承旨(또는 吏曹判書 등), 陵園 등을 奉審하러 간 承旨나 史官이 올린 것이 대부분이다. 書啓는 중앙 관아에서 자주 상달한 문서였지만, 이상과 같은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승정원일기에 실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書啓의 양식과 행이체계 및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書啓의 내용에 상달 기관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본문의 내용을 듣고 가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전교축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본 書啓의 내용은 議政府 假官 方重叔이 확인하였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본문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서계(書啓)1

[日省錄]
臣敬奉
聖諭。馳往傳諭于東部建德坊
景慕宮二契議政府右議政李時秀所住處。則以爲臣情
窮勢迫。三控血懇。未蒙體諒之恩。荐辱曠絶之
批。十行辭旨。去益隆渥。伏地震悸。不知所出。卽又喉舌之
臣。臨宣特諭。至以待朝簉朝。聽予面諭爲
敎。臣於是。欲承恩命。則有冒沒放恣之罪。欲守微諒。
則有孤負慢傲之懼。進退維谷。衷情益蹙。而區區不敢
冒進之義。前後賤疏。略已仰暴。惟願亟被逋命之
罪。以礪臣分云矣。敢
■(啓)。
右副承旨金翰東

答曰。知道。安心
簉朝之意。待
開門。爾其更爲傳
諭。與之偕入。可也。
[•]議政府。假官方重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