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3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A.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3_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교령류-교서
내용분류: 국왕/왕실-교령-교서
작성주체 국왕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3.5 X 61.5
장정: 낱장
수량: 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3
1799년(正祖 23) 4월 27일, 국왕이 우승지 홍의호에게 내린 전교이다. 이 전교는 승정원에서 출납한 문서를 편철한 당일의 전교축(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국왕이 右承旨 洪義浩에게 내린 傳敎.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국왕이 右承旨 洪義浩에게 내린 傳敎이다. 전교축에 편철된 상태의 傳敎에는 수취자가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承政院日記』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傳敎는 승정원에서 출납한 문서를 편철한 당일의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이는 당일 正注書로 근무하고 있던 柳台佐가 추후에 가지고 와서 보관하고 있던 것이다. 傳敎의 내용에 승정원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전교의 내용을 듣고 가게 했다. 이때 전교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전교축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본 전교는 義禁府都事 李永老, 吏曹正郞 金光遇, 兵曹佐郞 金啓河가 내용을 확인했다.
傳敎는 『承政院日記』에 등재문서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은 국왕이 승정원에 내린 것이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傳敎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3

[日省錄]

傳曰。儒生上疏。無
敢滯留。有定式。
而不當捧者。曉
諭卽送。過三日則
微稟。亦有定式。
則今因湖西關西
儒生上疏。問之
西
儒生。則去月念
間上來。至今無一言
皁白。以致許久滯
留闕外者。旣非
待士之道。亦違特
敎定式。其時該
承旨禁推。凡
儒疏捧納守門將。
例使下隷。來告政
院。而其後更不提醒
云。兵曹當該堂上。
竝推考。後更若此。
守門將。亦爲嚴
處。

[��]義禁府。都事李永老
[��]吏曹。正郞金光遇
[��]兵曹。佐郞金啓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