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3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B.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3_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초기
작성주체 병조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3.5 X 61.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3
1799년(정조 23) 4월 27일에 병조가 승지를 통해 올린 초기이다. 이 초기는 당일 입직한 주서인 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兵曹가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
1799년(正祖 23) 4월 27일에 兵曹가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이다.
이 草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草記는 중앙관아만 올릴 수 있는 문서였다. 국왕에게 入啓할 사항이 있는 관아의 관원이 승지에게 말로 전하면, 주서가 글로 쓰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承政院日記』에는 '某承旨以某司某官言, 啓曰'과 밭은 방식으로 전재된다. 이 草記는 同副承旨 徐英輔를 통해서 올린 것이다.
草記의 내용에 상달 기관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본문의 내용을 듣고 가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전교축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본문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3

[日省錄]
同。
兵曹。
啓曰。今日各廳堂下武臣朔試射時。都摠府經歷林亨馥訓鍊院主簿諸景彧尹瀅
孝達
鄭惟寬武臣兼宣傳官沈範祖等。未滿四中。中樞府都事崔翼。三月朔追試
時。未滿四中。訓鍊院判官申惠周。昨年十月朔退試時。未滿四中。竝依定式決棍十度。
都摠府都事韓德增。柳葉箭一中。騎芻二中。以矢數計之。則雖未滿四中。騎芻例有
倍劃之規。依此例勿爲決棍。呈辭受由人等。退試次姑爲懸頉以入之意。敢
啓。

知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