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G.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3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내용분류: 사회-역사-역사기록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3.5 X 61.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1799년(정조 23) 4월 27일, 승정원 입직 주서 류이좌가 편철한 전교축의 첨지이다. 일자, 국왕의 위치, 상참·경연의 시행 여부, 승정원 좌목을 적어 놓았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4월 27일, 승정원 입직 주서 柳台佐가 편철한 傳敎軸의 첨지.
1799년(正祖 23) 4월 27일, 승정원 입직 주서 柳台佐가 편철한 傳敎軸의 첨지이다.
傳敎軸은 승정원에서 당일 국왕이 내린 批答, 判付, 傳敎, 備忘記 등을 모아서 편철해 놓은 기록물이다. 이 기록물은 국왕의 명령을 정확히 기록 보관함으로써, 혹 있을지 모르는 전달의 오류를 예방하고 여타 관서가 업무에 참고하게 하는 기능을 하였다. 傳敎軸은 또한 『承政院日記』 작성의 직접적인 자료가 되었고, 동시에 『日省錄』이나 朝報의 작성에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傳敎軸의 표지에 붙이는 첨지에는 일자, 국왕의 위치, 常參·經筵의 시행 여부, 승정원 좌목을 적어 놓았다. 그리고 당일 비답을 받은 上疏나 箚子 등의 수량을 적어 놓기도 하였다. 그리고 동그라미나 '準' 자, 'ㄴ'자, '上' 등의 표기를 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어떤 의미의 표기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承政院日記』에 전교축의 내용을 옮겨 적는 과정의 완료 여부를 표기한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다.
이날 날씨는 맑았다. 국왕은 창경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은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날 上疏 5건에 대한 비답이 있었음을 표기하였다.
승정원 좌목에서 6원의 승지는 첨지를 붙여 이름을 가려 놓고, 그 위에 6房 중 어느 房을 담당하고 있는지 표기하였다. 정확한 성명은 첨지 아래 있고, 『承政院日記』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주서는 正注書, 假注書, 事變假注書가 있고 각각 성만 기록해 놓았다. 사변가주서의 경우 성명이 모두 표기되기도 한다. 출근 여부는 당상관인 승지의 경우 '坐', 당하관인 주서의 경우 '仕'로 표기하고, 출근하지 않으면 그 이유를 명시하였다. 당일 입직하는 관원은 '直'자를 표기하였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上疏五。
上在昌德宮停常參經筵。
嘉慶四年己未四月二十七日乙卯。晴。
[〇][ㄴ]
行都李晩秀[戶]。未肅拜。
行左金熙朝[吏]。坐。
洪義浩[工]。坐。
左副金載翼[禮]。坐直。
右副金翰東[刑]。奉命出去。
同副徐英輔[兵]。坐直。

注書。仕直。
。仕。
事變假注書。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