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13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B.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13_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초기
작성주체 예조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2 X 60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13
1799년(정조 23) 8월 23일에 예조에서 승지를 통해 올린 초기이다. 이 초기는 당일 입직한 주서인 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8월 23일에 禮曹에서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
1799년(正祖 23) 8월 23일에 禮曹에서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이다. 문서 상단이 결락되어 있다.
이 草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草記는 중앙관아만 올릴 수 있는 문서였다. 국왕에게 入啓할 사항이 있는 관아의 관원이 승지에게 말로 전하면, 주서가 글로 쓰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承政院日記』에는 '某承旨以某司某官言, 啓曰'과 밭은 방식으로 전재된다. 이 草記는 都承旨 李冕膺을 통해서 올린 것이다.
草記의 내용에 상달 기관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본문의 내용을 듣고 가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전교축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본 草記는 成均館直講 禹錫龜, 兵曹佐郞 趙夢璟 등 26개 기관에서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備忘記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13

八月二十三日。
[日省錄]
禮曹[言]
啓曰。
傳曰。今秋當爲謁
聖。曾有下敎。朝筵。禮判入侍也。各年擇日謄錄。使之考出矣。今見書入者。
皆前期一朔。或朔餘擇吉矣。今番亦依此例。自來月望念至晦間。
而吉日擇入事。分付該曹事。
命下矣。
謁聖吉日。卽令日官池景喆推擇。則來九月十五日·十六日·十八日。
俱吉云。以何日定行乎。敢
稟。

三十日爲之。可也。

[•]成均館。直講禹錫龜
[•]兵曹。佐郞趙夢璟
[•]漢城府。庶尹吳在鎭
[•]議政府。司錄李㬖
[•]中樞府。都事柳聖台
[•]敦寧府。判官金思䄷
[•]宗親府
[•]儀賓府。都事李得養
[•]忠勳府。假郎聽林枝達
[•]吏曹。佐郞尹在陽
[•]戶曹。佐郞李是釬
[•]刑曹。佐郞李在安
[•]壯勇營。知彀官金壽仁
[•]禁衛營。把摠尹(土+甲)
[•]御營廳。從事官徐翼淳
[•]摠戎廳。把摠李奎昇
[〇]司憲府。
[〇]司諫院。
[〇]弘文館。
[•]通禮院。假引儀金愿
[•]掖庭署
[•]司僕寺。內乘洪理燮
[•]都摠府。經歷閔百勳
[•]內醫院。判官高景殷
[•]尙衣院。主簿洪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