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71년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 완의(完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D.1771.4717-20140630.000425400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완의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완의
작성주체 이원숙, 이원복, 이원신, 이원부, 이원형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71
형태사항 크기: 43.1 X 13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71년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 완의(完議)
1771년(영조 47) 12월 28일에 고성이씨 문중에서 제위전(祭位田) 관리와 각종 제사를 설행하는 규칙을 합의하여 기록해 놓은 완의이다. 앞서 1714년이시흥을 비롯한 8형제가 제위전을 조성한 바 있다. 지금 고조와 증조를 일시에 조천(祧遷)해야 하는 상황이 발상하여, 이 제위전을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지 의논하여 정한 것이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771년(英祖 47) 12월 28일에 固城李氏 문중에서 祭位田 관리와 忌祀, 墓祀, 齋舍의 節祀 등을 설행하는 규칙을 합의하여 기록해 놓은 完議.
1771년(英祖 47) 12월 28일에 固城李氏 문중에서 祭位田 관리와 忌祀, 墓祀, 齋舍의 節祀 등을 설행하는 규칙을 합의하여 기록해 놓은 完議이다.
앞서 1714년李時興을 비롯한 8형제가 祭位田을 조성한 바 있다. 지금 高祖와 曾祖를 일시에 祧遷해야 하는 상황이 발상하여, 이 祭位田을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지 의논하여 정한 것이다. 원래는 祭位田은 앞으로 宗家가 맡다가, 親盡한 이후에는 別廟 또는 長房(항렬이 가장 높은 연장자)에게 옮겨 관리하도록 정했다. 그러나 이 전답을 모두 옮겨 버리면, 宗家는 형편을 보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제위전이 아닌 다른 곳의 전답 2곳을 환납하는 대신, 忌祀墓 의 祭祀債는 탕감하고 재위전의 소출 일정량을 내놓도록 정하였다. 그리고 祭位로 배정된 노비가 있었는데, 이는 이전에 이미 先父兄이 완의로 결정한 바에 따라 거론하지 않기로 했다.
또한 忌祀, 墓祀에 마련하는 제수의 수량을 책정해 놓고 이를 지키게 하고 있고, 魯林陵洞의 墓祀의 설행일자를 정하여 명시하는 등 제사를 받드는 여러 규정을 기록해 놓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71년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 완의(完議)

乾隆三十六年辛卯十二月二十八日。完議。
右文爲。年來我宗家喪禍孔酷。從兄及從侄相繼▣▣
高曾兩代一時祧遷。子孫之痛。當如何哉。旣已祧遷▣
吾從兄弟之最長者。當遷奉是乎矣。各家形▣▣
▣居室狹窄哛不喩。又散在各處。來頭輪次▣▣
▣▣當有未安之弊是乎等以。移建魯林舊▣▣
宗家西遷而奉安是遣。忌祀墓祀段。當以第次▣▣
是乎等以。今於遞遷之日。從兄弟及諸子侄齊會相議。▣
見文記。則康熙戊戌年先父兄之弟和會文記中。(격자)曾祖
▣妣祭位田一庫畓二庫昭然載錄是遣。又見完▣▣
▣▣祖考妣高祖考妣祭位段。只憑口傳流來。而文▣▣
▣是如是乎所。曾祖考妣祭位段。所當依文券是旀。▣▣
代祭位段置。亦當商諒畫出是乎矣。但念宗家積年▣一
敗之餘。家力落殘。若一依文券推出。則宗家無以保存乙仍于。
忌祀墓祀祭債。從其蕩略規定。而量其所入受出十餘
▣所出之地是乎矣。本件祭位田畓段。宗家形勢有▣▣
▣。故換納他畓二庫。以爲五代祖考妣墓祀及以下
兩代忌祀墓祀辦行之地。而別廟。代盡之後。仍▣▣
墓位畓是旀。奴婢段。先父兄完議中。高祖考妣以
上兩代祭位奴婢段。有宗子宗孫世世傳繼之文。故不復
擧論是遣。曾祖考妣祭位奴婢段置。亦遵遺▣
▣復擧論是乎矣。別廟不可無守直奴子是乎等以。以宗
家奴子一名定出別廟直。以爲守護之地。而若有逃故▣▣。
則更以他漢代定。世世勿替是齊。吾輩十分商量。如是完
議之後。或有不肖子孫。惹起橫端是去等。諸族同▣▣
出。使不得雜談宜當事。
▣祀祭債。一石五斗式出給事。
▣代墓祀祭債。每年四石式出給事。
四名目茶禮正朝冬至則各七斗。寒食端午則各四斗式出給是乎矣。
其年有司辦行事。
墓祀辦行有司。每年二員式定出是乎矣。一員則辦行魯林墓祀。
一員則辦行陵洞及道谷墓祀事。
忌祀墓祀皆以果四色湯三色炙五串定式辦行事。
忌祀則考妣位餠米二斗酒米一斗是遣。墓祀則一有司餠米三斗▣(酒)
米一斗式用下是乎矣。墓祀段勿設飯羹事。
別廟茶禮正朝冬至則水餠豆粥各一器炙一串湯一器是遣。寒食
端午只用酒果脯醢事。
忌祀墓祀參祭員各自齎粮事。
魯林墓祀以每年十月初八日定行爲遣。陵洞則以十六日定行爲遣。道谷
道谷齋舍節祀時從便定行事。
如是規定之後。當次之員若有不謹之弊。則齊會面責事。

李元淑[着名] 李元馥[着名] 李元馥[着名] 李元信[着名] 李元漙[着名] 李元馨[着名] 李元馝[着名] 李元根[着名] 李元孝[着名] 李元{香+覃}[着名] 李元{香+集}[着名] 李世慶[着名] 李弘訥[着名] 際。

成文之時。
五代祖父母墓位未及▣
出是如乎。今番(격자)忌祀時。
與宗婦相議。南先面
風峴員一斗落只畓
庫乙。定出爲▣。
自明年有司通同看檢。
以爲辦行墓祀事。

壬辰十二月二十一日。
門長李元淑。[着名]
宗孫李宗漢。[着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