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2년(哲宗 13) 6월, 星州 지역의 백성들이 收稅 체계 개혁을 요청하며 暗行御史에게 올린 等狀이다.
1862년(哲宗 13) 6월, 星州의 백성들이 暗行御史에게 올린 等狀이다. 1862년은 농민이 三政의 문란의 바로잡을 것을 요구하며 봉기한 임술민란이 일어난 해이다. 星州 지역은 1862년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이 지역의 봉기는 5월 13일 宣撫使 李參鉉의 효유로 진정되었다. 이 등장은 이후 백성이 星州 지역의 收稅 체계를 바로잡아줄 것을 요청하며 올린 것이다. 같은 해 收稅 체계 개혁을 요구하는 等狀이 더 있는데, 1862년 성주(星州) 민인(民人) 김문옥(金文玉) 등 등장(等狀)과 ‘1862년 성주(星州) 민인(民人) 박지석(朴之錫) 등 등장(等狀)1,2’가 그것이다.
본 等狀은 ‘1862년 성주(星州) 민인(民人) 박지석(朴之錫) 등 등장(等狀)1,2’에서 이미 개혁을 요청한 바 있는 ‘統營移轉米’에 관한 요청을 담고 있다. 본문에서 ‘統營移轉米’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암행어사에게 설명하고 있다. "統營移轉米는 원래 환곡이었는데, 還穀은 稅米로 변하였고, 환곡 이자[耗數]는 ‘加作’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쌀의 품질은 거친 것을 받아서 정밀한 것으로 바꿔 납부하며, 石數는 매년 늘어나 감당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앞서 감영에서 쌀 1석에 3냥으로 대신 낼 수 있게 해주었는데, 星州 백성은 암행어사에게 이러한 사실에 대해 節目을 만들어주고 통영에 關을 보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와 같은 星州 백성의 요청에 대해 암행어사는 "이미 감영과 수령이 백성의 일에 온갖 정성을 기울여 영구히 준행하게 할 것이다. 절목까지 만들 필요는 없다."라고 처결을 내렸다.
암행어사는 백성들의 요구대로 영구히 준행될 것이라고 하였지만, 結價를 바르게 정하지 않은 폐단은 다시 누적되어 성주에서는 결국 1883년에 민란이 발생한다.[성주민란]
1차 작성자 : 명경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