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9년 이용택(李龍澤) 수기(手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XB.1829.4717-20100731.001523100006_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수표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수표
작성주체 이용택, 유도근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작성시기 1829
형태사항 크기: 41 X 189.3
장정: 점련
수량: 5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29 년 이용택(李龍澤) 수기(手記)
1829년 유도근이 부모 산소의 소나무와 식물을 이용택에게 매매하면서 작성한 수기이다. 수기는 현재의 매매문서 또는 약속증서와 비슷한 성격의 문서이다. 매매하는 내용과 함께 매매와 관련해서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이 문서로서 증명한다는 내용도 기록했다. 이 문서는 풍산김씨 학호파의 종손이 김노흠이 다른 문서와 함께 점련(붙여서)해서 보관하던 것이다. 김노흠이 보관하게 된 이유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다만 매매를 할 경우 이전에 매매한 기록까지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이므로 이용택이 김노흠에게 또 다시 팔면서 이 문서가 김노흠에게 전달 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정명수

상세정보

1829년 1월 17일, 유도근이용택에게 송추와 식목을 매매하면서 작성한 문서
[내용 및 특징]
1829년(純祖 29) 1월 17일에 柳道根이 松楸와 植木을 李龍澤에게 매매하면서 작성한 手記이다. 이 문서는 金魯欽三田山 주변의 토지와 관련된 문서를 점련한 것 중 하나로, 오른쪽에서 네 번째 것이다. 문서를 작성해 준 사람의 이름은 나와 있지 않지만 유도근1830년 1월 19일에 柳奴 春女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작성한 明文의 署押과 일치한 것으로 보아 이 문서도 유도근이 작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유도근은 춘궁기를 당해 2냥을 받고 부모 산소의 松楸와 植木을 放賣하면서 이 문서를 작성한 것이다.
수기는 貸借․寄託․賣買․約束 등을 할 때 주고받는 증서로서, 다짐의 성격을 갖는다. 수기에는 연호를 쓰지 않고, 干支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도근이용택에게 써준 수기는 매매명문의 약식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매매명문의 기재요소인 매매사유와 매매대상, 매매가를 쓰고, 추후 분쟁가능성에 대한 담보 문구도 명시하였다. 문서 말미에 “日後或雜談是去等以此文卞正事”라고 하여 후일에 문제를 삼는 경우 이 문기로 증명할 것을 밝히고 있다.
이 문서는 所志, 明文, 手記 등 4건과 점련되어 있는데, 1830김노흠 소지와 1830김노흠 명문, 1830년 柳奴 春女 명문, 1833김노흠 명문이 그것이다. 이 문서의 형태사항은 점련문서 전체에 대한 형태사항이다.
『풍산김씨세보』에 기록되어 있는 김노흠의 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김봉조는 학호파를 형성하는데, 그 가계는 김봉조에서 김시종→김려신→김건→김서린→김성원→김상하→김종일→김복형→김노흠으로 이어진다.
『韓國法制史攷』, 朴秉濠, 法文社, 1983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김소은, 『古文書硏究』 24,한국고문서학회, 2004
『朝鮮時代 立案에 관한 硏究』, 崔淵淑, 韓國學中央硏究院 博士學位論文, 2005
최연숙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9년 이용택(李龍澤) 수기(手記)

己丑正月十七日李龍澤
處手記
右手記段當此窮春親
山松楸與植木幷價折
錢文二兩右人處放賣
爲去乎日後或雜談是去
等以此文卞正事
標主幼學[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