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4년 8월 신구진설도(新舊陳設圖)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1714.4721-20180630.Y18220060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순흥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작성시기 1714
형태사항 크기: 33 X 21
수량: 4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순흥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4년 8월 신구진설도(新舊陳設圖)
1714년(숙종 40) 8월 경상도(慶尙道)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순흥향교(順興鄕校) 측이 진설도(陳設圖)를 개정했다는 기사로 1721년(경종 1) 순흥향교에서 엮은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이 기사에 따르면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거해 진설도가 개정되었다고 한다. 또한 기사 말미에는 신구(新舊)의 진설도를 함께 수록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14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측이 秋享 때 五聖位 陳設圖를 개정하게 된 과정을 언급한 뒤 新舊陳設圖를 수록해 놓은 기사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자료의 내용
1714년(숙종 40) 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측은 秋享 때 五聖位의 陳設圖를 개정하였는데, 이 당시의 진설도 개정 과정과 新舊陳設圖가 1721년(경종 1) 순흥향교에서 엮은 본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이 기사에 따르면 먼저 추향 때 사림들이 순흥향교에 入齋한 후 5성위의 진설도를 『國朝五禮儀』에 따라 개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사림들이 『국조오례의』에 수록된 本圖를 고증하여 진설도를 개정하였고, 옛 진설도와 새로운 진설도를 본 雜錄에 수록하기로 했던 것이다. 이에 기사 다음에는 ‘陳設舊圖’와 ‘改定陳設新圖’가 차례대로 수록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의례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午秋祭入齋後以五聖位陳設圖考出五禮儀修正云而更考五禮儀
本圖則與本所修定圖有違收議堂中完定一依五禮儀本圖改定而
後錄新舊兩圖以備後考
陳設舊圖

五聖位
[도표]

改定陳設新圖
[도표]

從祀位東西?同
[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