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3년 10월 순흥향교 보장서목(報狀書目)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1713.4721-20180630.Y1822006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순흥향교, 순흥향교, 순흥도호부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작성시기 1713
형태사항 크기: 33 X 21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순흥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3년 10월 순흥향교 보장서목(報狀書目)
1713년(숙종 39) 10월 경상도(慶尙道)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순흥향교(順興鄕校) 측이 향사(享祀) 때 소용(所用)되는 소목(燒木)의 추가 지원을 요청하고자 순흥도호부사(順興都護府使)에게 올린 보장서목(報狀書目)이다. 이에 대해 순흥도호부사는 관아에 소장되어 있는 등록(謄錄)의 소목 지급 정식(定式)이 정확하지 않은 관계로 이를 정확히 살펴 본 후 시행할 것이라는 내용으로 제사(題辭)를 내렸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13년 10월 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측이 享祀 때 所用되는 燒木의 추가 지원을 요청하기 위하여 順興都護府使에게 올린 報狀書目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자료의 내용
1713년(숙종 39) 10월 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측이 順興都護府使에게 올린 報狀書目으로 1721년(경종 1) 순흥향교에서 엮은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이 보장서목에서 순흥향교 측은 향교 大祭 때 所用되는 燒木의 추가 지원을 요청해 놓았다. 이와 관련하여 보장서목과 순흥도호부사의 題辭는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보장서목에서 순흥향교 측은 春秋 향사 때 소용되는 燒木이 10단에 불과하여 太半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이전에는 20단을 지급 받는 것이 定式이었다며, 이전 규식에 의거해 특별히 題給해 줄 것을 요청해 놓았다. 이에 대해 순흥도호부사는 題辭를 통해 대제 때 소용이 부족한 것은 수를 더해 지급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관아에 소장되어 있는 謄錄에는 10단으로 기재되어 있고, 그 중간에 20단으로 추가 기재되어 있으니, 이는 文籍을 검토해야 되는 사안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사안이 대제 때의 소용과 관계되어 있어, 많고 적음을 확인하는 것보다 잠시 일을 미룬 다음 상고해서 시행할 것임을 통보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경제적 기반 가운데 官의 지원 사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 官學을 대표하는 기관이었던 만큼, 지방관은 필요에 따라 향교에 소용되는 각종 물력을 지원해 주기도 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校雜錄卷之二
癸巳十月日報狀書目
本所春秋享祀時燒木十丹太半不足依前定式二十丹以特爲題給以
爲永世遵用事辭緣狀
題辭大祭時所用果爲不足則固當加數取用而官家所在謄錄
中段以十丹載錄爲有臥乎所謄錄中中間以二十丹加數取用者必
有可考文蹟仍于官家之欲得見者在此是在果勿論文籍有無之
如何旣係大祭時所用則今不當?其多寡是乎等以自官安徐爲去
乎相考施行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