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4년 8월 문견(聞見)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1714.4721-20180630.Y1822006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순흥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작성시기 1714
형태사항 크기: 33 X 21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순흥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영주(榮州) 순흥향교(順興鄕校) 소장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 수록 1714년 8월 문견(聞見)
1714년(숙종 40) 8월 경상도(慶尙道)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순흥향교(順興鄕校) 측이 견문(見聞)한 사실을 기록해 놓은 기사로 1721년(경종 1) 순흥향교에서 엮은 『신축3월일 향교잡록(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이 기사는 순흥향교 소유의 노비들이 향교 전답을 몰래 매식(賣食)한 사실을 기록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14년 8월 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노비들이 향교 田畓을 賣食한 사실을 기록해 놓은 기사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자료의 내용
1714년(숙종 40) 8월 慶尙道 順興都護府順興鄕校 측이 향교 田畓을 몰래 賣食한 노비들의 행태를 聞見하고, 이를 짤막하게 기록해 놓은 기사이다. 이 기사는 1721년(경종 1) 순흥향교에서 엮은 『辛丑三月日 鄕校雜錄』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문견한 기사에 따르면, 순흥향교의 奴 一白聲谷員에 소재한 畓 3두락을 향교에 납부한 후 그 아들이 文記를 偸出하여 賣食하였으며, 또 다른 노가 바친 성곡원의 답 5두락은 그의 繼母가 몰래 매식했고, 婢 丁今의 전답은 그녀가 죽은 후 남편 次乭이 매식했다고 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노비와 전답은 조선시대 향교의 대표적인 경제적 기반이었다. 특히 전답은 다양하게 운영되었는데, 노비들이 경작해서 그 소출을 향교에 바치는 경우도 있었다. 본 기사도 노비가 향교 전답을 경작하는 사례에 해당된다. 하지만 전답은 향교 재정의 방만한 운영으로 몰래 매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午八月日聞見
一白聲谷員畓三斗落庫乙納校後厥子得吉偸出文記賣食云
奴所早奉聲谷員畓五斗落庫乙厥繼母潛爲賣食云
丁今田畓渠身死後厥夫次乭盡爲賣食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