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23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723.4776-20110630.Y11113033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128
작성시기 1723
형태사항 크기: 37 X 24
판본: 필사본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향교길 22-20

관련자료

안내정보

1723년 영양향교 집강안
이 자료는 1723년부터 1769년까지 작성한 양반유생들의 명부인 집강안이다. 여기에 기재된 유생들은 모두 20개 성씨, 516명으로 이들의 이름만이 기록되어 있어서 정보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516명의 인물들 중 조씨가 201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오씨 79명, 권씨 53명, 남씨 31명, 정씨 27명, 구씨 27명, 김씨 21명, 금씨 16명, 이씨 15명, 박씨 13명 주씨 8명, 우씨 3명, 기타 11명 이었다. 읍지에 나오는 성씨를 그대로 신빙한다면 이들의 본관은 한양조씨, 함양오씨, 안동권씨, 야성정씨, 반남박씨, 능주구씨, 영양남씨, 봉화금씨라 볼 수 있다. 1684년부터 작성된 집강안과 비교하면 한양조씨와 함양오시를 제외한 나머지 성씨들은 더 많은 인원이 입록되어 있다. 특히, 안동권씨는 34명, 영양남씨는 20명, 야성정씨는 10명, 능성구씨 14명, 영양김씨 5명, 봉화금씨 5명, 재령이씨 11명, 월성손씨 10명, 웅천주씨 7명이 증액되었다. 한편, 단양우씨는 이 집강안에서만 3명이 나타나고, 영월신씨는 나오지 않는다. 17세기에 작성된 두 집강안의 인물들 중 중복되는 자가 없기에 이들을 모두 합산하면 18세기 영양의 대표적 성씨들이 명확해진다. 한양조씨는 431명, 함양오씨는 154명, 안동권씨 72명, 야성정씨 44명, 영양남씨 42명, 능주구씨 40명, 영양김씨 37명, 봉화금씨․반남박씨 27명, 재령이씨 19명, 월성손씨 12명, 웅천주씨 9명, 단양우씨 3명 등으로 한양조씨가 압도적인 수적인 우세를 보여준다. 결국 16세기 영양남씨가 향촌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지만, 16세기 후반부터는 새로 들어온 성씨들이 인근 사족들과의 혼인 및 과거를 통해서 향촌사회를 주도 하였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상세정보

1723년 2월부터 1769년 2월까지 작성된 英陽鄕校 兩班儒生들의 명단인 執綱案
내용 및 특징
이 자료는 1723년부터 1769년까지 작성한 양반유생들의 명부인 執綱案이다. 이 집강안은 당해 연도마다 추입되는 인물을 기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시기적으로 다른 집강안과 중복되지만 등재인물은 중복되지 않는다. 집강안은 향교의 所任을 맡고 석전제에 참석하였던 향중 사족의 직임록으로 일반적으로 교임록을 말한다. 그러나 이 집강안에는 職任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영양현1413년에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영해의 속현이 되었다가 1676년에 邑民들이 復縣을 청하여 복설하였으나, 다음해에 다시 영해부로 이속시켰다. 1678년 邑民들의 요청으로 읍내면동남면덕봉면수비면진보현에 移屬되었고, 청기면석보면영해에 移屬되었다. 이후 1683년 邑民 南時稷 등이 진정하여 특명으로 復說하고 현감을 두고 독립시켰다. 이때 석보면은 계속 영해부에 영속시키고, 청기면영양에 환속하였다. 이후 석보면1906년에 영양군으로 다시 이속되었다. 이처럼 태종이후 오랜 기간 영해의 속현으로 존재하였던 영양현숙종대 복현이 되어서야 비로소 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1684년 향교가 건립되었다.
이 집강안은 18세기 중반의 영양내 대표적인 사족들을 대부분 망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유생들은 모두 20개 성씨, 516명으로 이들의 이름만이 기록되어 있어서 정보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들 성씨들의 添入현상을 시기별, 성씨별로 살펴보면 영양내 사족들의 족세와 새로운 성씨의 도래 등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씨는 각종 지리지 및 읍지에 나오는 성씨들과 비교해 함으로써 영양에서 갖는 위치를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英陽의 토성은 南·李·金·房(方)이며, 靑杞縣의 續姓으로는 兪·崔씨가 石保의 續姓으로는 金氏가 있었다. 1832년경에 작성된 『慶尙道邑誌』에서는 토성으로 南, 金氏가 남아 있으며, 來姓으로 漢陽趙氏, 咸陽吳氏, 綾州具氏, 奉化琴氏, 安東權氏, 野城尹氏, 野城鄭氏, 潘南朴氏, 月城孫氏, 竹山安氏, 丹陽禹氏, 熊川朱氏, 寧越辛氏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개 읍지 등에 기재된 성씨들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사족들임을 감안한다면, 19세기 초 영양현을 대표하는 성씨들은 모두 15개였으며, 이중 13개가 來姓이었음을 알려준다. 이들 성씨는 20세기 초에 작성된 『嶠南誌』에도 동일하게 기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계속해서 지역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실제 이 집강안에 나오는 516명의 인물들 중 趙氏가 201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吳氏 79명, 權氏 53명, 南氏 31명, 정씨 27명, 구씨 27명, 김씨 21명, 금씨 16명, 이씨 15명, 박씨 13명 주씨 8명, 우씨 3명, 기타 11명 이었다. 읍지에 나오는 성씨를 그대로 신빙한다면 이들의 본관은 한양조씨, 함양오씨, 안동권씨, 야성정씨, 반남박씨, 능주구씨, 영양남씨, 봉화금씨라 볼 수 있다. 1684년부터 작성된 집강안과 비교하면 한양조씨와 함양오시를 제외한 나머지 성씨들은 더 많은 인원이 입록되어 있다. 특히, 안동권씨는 34명, 영양남씨는 20명, 야성정씨는 10명, 능성구씨 14명, 영양김씨 5명, 봉화금씨 5명, 재령이씨 11명, 월성손씨 10명, 웅천주씨 7명이 증액되었다. 한편, 단양우씨는 이 집강안에서만 3명이 나타나고, 寧越辛氏는 나오지 않는다. 17세기에 작성된 두 집강안의 인물들 중 중복되는 자가 없기에 이들을 모두 합산하면 18세기 영양의 대표적 성씨들이 명확해진다. 한양조씨는 431명, 함양오씨는 154명, 안동권씨 72명, 야성정씨 44명, 영양남씨 42명, 능주구씨 40명, 영양김씨 37명, 봉화금씨․반남박씨 27명, 재령이씨 19명, 월성손씨 12명, 웅천주씨 9명, 단양우씨 3명 등으로 한양조씨가 압도적인 수적인 우세를 보여준다. 또한 이들은 상호간의 중첩적인 혼인관계를 맺고 있었다.
영양남씨는 새로 입향한 세력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지역적 기반을 유지해 나간 반면, 여타 영양의 토성들은 그 세력이 쇠잔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새로 들어온 來姓들은 16세기에 대부분 입향 하였는데 대개 혼인에 의한 移住였다. 또한 읍지에는 나오지 않지만 16세기 전반에 寧海로 부터 英陽甘川에 이거한 樂安吳氏도 있었다. 낙안오씨는 향교 건립이전인 16세기 말의 英山書堂 건립에도 동참하고 있었으며, 18세기 말의 校案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7세기 말의 영산서원의 사액 청원시의 자료에서는 낙안오씨는 보이지 않으며, 19세기의 부교안에서도 이들을 찾을 수 없다. 그 이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남인이 정치적으로 축출된 갑술환국이 같은 해에 있었으며, 18세기 말에 낙안오씨들이 중심이 되어서 송시열을 제향하는 운곡영당의 건립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남인계 사족들과 극심한 마찰이 있었다는 점에서 낙안오씨는 갑술환국 이전부터 중립내지 노론계로 전향한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영산서당 건립과 사액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17세기 초반까지 영양현의 토성인 영양남씨가 다른 성씨들에 비하여 족세가 우세하였지만, 17세기 중반이후 한양조씨, 함안오씨, 안동권씨 등의 來姓이 안착하면서 족원의 수가 늘고 있었으며, 서로 通婚하면서 족적 결속을 다져나갔다. 이외에도 새로이 봉화금씨, 단양우씨, 월성손씨 등이 18세기 초의 사액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서 諸門中의 영양 移居도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집강안에서 1709년 이후 이들 성씨들이 새로이 등장하거나, 그 수가 늘어나는 것에서도 확인된다.
특히 한양조씨는 향교가 건립된 이후 계속해서 많은 수가 첨입되었고 있었는데, 같은 시기에 영양전역으로 그 세를 확장하던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이것은 한양조씨가 문과급제자와 생원, 진사 등을 많이 배출하면서 가능했던 것이며, 이러한 家格의 상승은 영양뿐만 아니라 안동, 봉화, 영해, 진보 등지로 통혼권을 확대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족세의 번성은 교안, 집강안 및 각종 上書 등에 참여하는 인원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이 자료는 18세기 영양현의 대표적인 사족들을 망라한 것으로서 시기별 사족들의 유입과 성장을 알려준다. 또한 집강안은 향교의 운영을 담당하는 校任으로서 이를 통해 영양 영양향교의 운영주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이 집강안은 향촌사회의 변화 과정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23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英陽鄕校 丙午三月 日
執綱錄
癸卯二月七日
趙喜復
趙喜濟
具益壽 改 聖榘 故
具象三
趙夏圭 改 鼎九
趙希夙
趙泰圭
趙文圭
權世行
趙重鐸
趙希閔
趙玄圭
趙承圭
趙禹圭

甲辰二月三日
趙尙益
吳命大
辛味玄
具聃命
趙錫老
鄭宜琛
權斗赫
權翔

乙巳二月十一日
洪胃咸
金儧
權大觀
趙琛
金爾鑌
趙錫麟
張夢相
李斗煥
吳學季
具聖榘 改 聖矩 故
朴夏榘
吳有大

乙巳七月
權載昌
琴宗夏
丙午二月日
趙觀圭 改 益圭 改 龍圭
權敏行
南漢井
吳潤大 改 任大 故
孫景式 改 景泌 故
權世震
權昌進
南國賓
具聖榘 重壽 故
金應鼎
權慎行
朴宗絅
鄭{石+昆}

丁未二月 日
琴正心
琴昌烈
趙喜載
趙泰道
趙敏道
權健行
趙敬道 改 耕道 故
趙賁圭

戊申八月 日
柳義和
趙錫佑
吳時大
南柱漢
吳慶大 改 聖大 故
權昌䢖
趙泰來

己酉四月 日
趙謙圭
趙命泰
琴益夏
琴尙夏 改 運夏 改 相夏 故
吳尙大
金檍
權載鼎
趙{示+兼}
吳相鎬
孫萬齡
李東翼
權復來

辛亥二月 日
趙喜益
南舜欽
南世欽
南昌祐
趙詠道
趙達道 移 故
趙能道
南千壽
權載?
趙奉圭
金應鉉
趙徵圭 改 如圭
權重行
權必行
鄭德一
具聃年
鄭 硡
南相夏 改 以夏 故
權重震
李東明

辛亥八月 日
吳學謙
吳學範
趙尙弘
吳弼大 改 必大
趙誠道
南溟運 改 昌祐
李蕃

壬子八月 日
朴道絅
金東遠
趙錫耆 改 錫徵
李東佐
金尙澤
趙宗周
趙尙哲
具聃齡 改 聃老 故
趙錫謙
趙用圭 改 五圭
琴振夏
吳命義
吳采大

癸丑七月 日
孫景命
具喜朝
趙尙沆 改 尙勛 故
吳漢大
趙顯福 改 觀福
權復行
金賁行
金復行
具聖大
吳成大
甲寅二月 日
趙襄 改裒 移故
趙希達
趙希三 改 希奭
禹▣▣
權浹
金大運
趙相采
趙錫龍 改 潤采
趙重鑌
李興培
南國瑛
吳昌大
吳命鎬
鄭世㣧
李元戌 改 元馥
南溟翰 改 昌祺
南允欽
權善行 移居
乙卯二月 日
朴時榦
趙重鋽
吳錫鎬 改 宅鎬
趙觀周
趙鼎漢 改 一圭
孫以翼
趙康圭
鄭碖
趙居仁
南柱國 改 千壽 重壽
吳命和
朴崇絅
趙喜晉 改 喜節 故
八月 日
趙襃
琴慶夏 甲午
金弘亮
鄭秀民
李元馦
吳一大
丙辰八月 日
琴舜夏丙申
吳命岳
吳允大
具聃龍
趙居敬
趙希洙
趙運道
趙祥圭
朱璟
丁巳二月 日
權益來
趙弘采 改 宅萬 故
權景行
趙聖圭
成涓
吳鼎大
南龍澤
金始慶
禹暹
禹㫤
趙希說
金應龍
趙尙文
鄭德尊 改 德川 故
南昌祺 重出
趙益采 移居
趙一采 改 錫命 故
趙元禧
趙龍居 改 居昜
趙錫衡
南柱石
戊午二月 日
趙鼎泰
趙希周 改 希尹
趙龍道
鄭錫朋
朱珩
禹晃 改 旻
趙翼道
趙若采 改 宅東 故
朴在珹 改 思絅
裴紘
趙襂
己未八月 日
吳守仁 己亥 改 運大
趙裒 乙未 故
鄭世堂 丙申
辛味和
南昌禧 改 益禧 己亥
權義行 ?午
權三圭 壬寅
趙得圭 庚子
權載琣
吳守溫 辛丑
南雲翰 戊戌
趙敬圭 乙未
庚申四月 日
權壽億 甲午
趙泰春 癸巳
趙明道 丙申
趙重道
趙尙敏
趙觀國 戊戌
趙近道 移 故
趙賁道 改 信道 癸卯
趙尙臣 甲辰
趙永禧 改 濟臣 壬寅
吳命觀 癸卯
吳命軾 改 命吉 故
成活 庚子
朴亨復 改 處絅 丁卯
潘處龍 改 達龍 移
辛酉八月初五日
鄭道淵 癸卯
趙學道
趙玄道 移 故
禹 曄 丙戌
吳學升 丙戌
南昌裕 甲午
具聖模
壬戌八月 日
趙重鎛 壬辰
琴錫夏 改 達夏 壬寅
趙言機 己亥
趙言謙
權世行 辛卯
癸亥二月 日
趙龜徵 改 觀賓 乙巳
吳命峻 改 命揆 壬寅
吳龍達 改 益大 改 憲大 乙巳
趙錫明 重書 故
李元馥 癸巳
甲子二月 日
吳始鎬 壬寅
權壽頤 乙未
趙㣧禧 改 沃臣 甲辰
趙希軾 辛丑
趙尙郁 丙午 甲辰
具聖楷 改 孝元 改 孝源 丁酉
具弼朝 癸卯
趙宅一 癸卯
孫以倬 壬辰 ??
吳亨大 甲辰
趙希眞 改 希卨 癸卯
趙居寬 乙巳
朴受絅 甲辰
甲子八月 日
吳學規 庚寅
李元龍 丙申
權克行 癸巳
趙進道 甲辰
趙行道 乙巳
孫栢年 改 以奎 己亥
南聖興 改 萬維 辛丑
金㝡源
金載河
乙丑二月 日
趙天周 甲辰
趙純道 庚子
具孝元 重書 故
具悅元 改 悅源 壬寅
南萬里 乙巳
趙承道
吳賁大 甲辰
朴履泰 丙午
鄭世澤 丁酉
趙尙玉 改 尙誠 故
趙尙龍 己酉
吳守瀗 乙巳
權範九 移居
金濰 改 潤 癸卯
丙寅二月 日
趙潤道 己酉
權鎤 改 昌孝 甲辰
具聖麟 癸卯
南昌袨 壬辰
趙觀璧 庚戌
趙宅漢 甲辰
吳振鎬 丙午
鄭錫祚 戊戌
權得中
吳守大 改 錫大 辛丑
丁卯二月 日
南承萬 癸卯
吳鳴大 庚子
戊辰二月 日
趙思漢 丁未
趙居誼 戊?
吳邦大 丙子
南萬九
鄭德觀 丙子
琴慶㣧
趙尙龜 ??
鄭道源 戊?
己巳二月 日
權壽萬
琴興烈 己丑 改 興績 改 性
趙尙純 戊?
趙述道 己未
琴昌㣧 ??
南泰禧
吳守澐 戊?
朴履謙
吳益鎬 戊?
吳顯大 壬子
吳觀鎬 庚戌
己巳八月 日
趙居一
吳秀漢 壬子
具聃耆 癸卯
具翼朝 乙巳
具儀朝 乙巳
具頤朝 丙子
朴師夏 癸巳
趙觀道 己未
趙觀韶 壬子
權壽淂 庚子
庚午二月 日
朱錫采 戊戌
趙尙麟 辛亥
趙尙鏞 辛亥
成潑 己丑
朴徽絅
權賁來 庚戌
趙宅相 丁未
南萬福 己丑
權相行
庚午八月 日
朱珌 乙巳
朱璨 庚辰
權道行
鄭東潤 辛亥
吳英大 癸丑
朴集喆 戊戌
辛未二月 日
趙尙一 壬子
金尙源 庚戌
趙演道 壬子
趙載道 乙卯
壬申二月 日
具誠源 乙巳
具觀朝 戊午
趙昌周 己丑
南行萬 乙巳
李藕 丙午
李瑞龍 癸卯
癸酉二月 日
趙尙珩 甲寅
南程萬 甲寅
鄭德河
吳永福 癸丑
甲戌二月 日
趙桓圭
洪時績 丁未
南昌禔
趙泰彬 己丑
吳柱大 丁未
南萬憲 壬子
吳守元 壬子
乙亥二月 日
趙尙祺 庚戌
吳命台 庚戌 移居
趙命禹 庚戌
金世檏 辛亥 移去
具暹 甲寅
具聖龍 辛亥
趙居安 乙卯
趙居簡 丙辰
趙逸道 丙辰
趙存道 丙辰
丙子二月 日
尹纘 乙卯
吳命龍 丙辰
權昌隹 辛亥
朴來天 辛酉 移去
權昌德 戊午
吳姬大 乙卯 改 禧大
金始龍 甲寅
吳道浻 癸丑
琴鴻績 丁巳
趙光漢 改 居? 丙辰
趙思牧 壬子
趙觀海 甲寅
琴光績 庚申
趙安孝 丙辰
孫以玉 壬寅
戊寅二月 日
權壽必 乙巳
金光湜 丙辰
琴凞績 癸丑
吳秀大 丁未 改 觀大 故
吳亨復 戊午
趙居廣 乙卯
趙居方
戊寅八月 日
趙學魯 庚子
趙尙璟 戊午
己卯二月 日
趙宅邠 癸卯
鄭德源 庚戌
辛以馥 丙辰
吳守泓 丁巳
吳守謙 未巳
鄭允復 丙辰
孫以龍 壬子
朴來吉 改 來泰 丁巳
權正軾 丙辰
趙匡勳 丙辰
南鵬雲 丙辰 改 宗翰
己卯八月 日
吳規大 壬子
鄭錫胃 乙巳 年滿
鄭錫玄 辛亥
鄭德泌 辛丑
庚辰八月 日
朱命采 丁未
趙浚道 乙卯
趙性復 丙辰
趙觀鋈 丁巳
吳行大 戊午
趙尙鉉 戊午
吳楨漢 己未
吳相泂 庚申
趙鼎復 庚申
南弼萬 壬子
吳思大 乙巳
辛巳二月 日
權台國 癸丑
趙臣孝 庚申
趙城圭 甲寅
趙居元 乙卯
趙適道
壬午八月
趙居善 戊午
權建中 壬戌
吳守欽 甲子
趙尙弼 丁巳
鄭東赫 辛未
趙居强 癸亥 改 居
李景老 丁巳
趙觀亨 庚申
吳道潤 庚申
權國升 己未
趙匡臣 戊子 癸未
趙聖周 壬子
趙衡臣 丙辰
李景祖 戊午
趙匡殷 己未
鄭東軾 丙寅
趙居陽 甲子
權昌純 丙辰
趙希龍 壬子
趙藺圭 丁巳
李景春 ?酉
李葵 壬子
金光泌 甲子
趙亨復 改 仁復
吳鼎鎬 丙辰
吳道活 戊午
吳命喆 改 命曄 乙卯
癸未八月 日
權昌協 丁未
趙命復 戊申
成溫 己未
成彦機 戊午 改 彦霖
趙翊周 丁巳
趙尙周 丙辰
孫以昌 壬子
趙鄰臣 丁巳 改 一臣 故
權處運 庚午
甲申二月 日
李龜祚 甲寅 他官 故
吳宗漢 乙丑
孫以達 丙辰
鄭惠相 辛亥
朴東相 丙寅
吳守紘 乙丑
吳孝大 癸卯
金世楫 己未
趙宅相 乙未
鄭東澈 丙辰 改 東郁
孫以玉 壬寅
丙戌正月 日
權正龍 己未
趙居辰 癸亥
吳胃漢 丁卯
吳守約 丁卯
具曅 庚午 改 處一
趙憲道 戊午
具泰朝 戊辰
趙宅道 甲子
趙守道 庚午
權昌友 丁巳
具聖鳳 庚申
南萬箕 己未
吳道汲 丁卯
趙居實 安東
趙漢道 乙丑
南爾其 乙卯 趙尙謙 庚申
趙尙績 甲子
吳道濟 己巳
吳龜協 乙丑
朱道昌 庚午
權範中 乙丑
趙秤道 丁卯
戊子八月 日
吳佑大 丙辰
己丑二月 日
鄭東迪 癸亥 己未
金世弼 甲子 改 慶弼
趙復魯 己酉
趙居汶 戊午
尹思? 戊午
權璨 丙寅
琴薰績 丁卯 改 星績
尹東龜 乙未 琴昌績 丁卯
朱璣 辛亥
權正國 丁巳
吳重協 戊辰
趙弼周 甲子
成彦榘 己巳
趙明復 丁卯
趙居萬 丁卯
權處中 庚申
趙翊周 己未
趙匡一 丁卯
朱道基 甲子
趙泰華 甲子
禹㝎澤 戊午
趙居信 己巳
趙居約 戊辰
吳命宅 丁巳
趙命復 辛未
吳寅協 丁卯
朴漢泰 丁卯
吳時協 丙寅
吳時協
吳命稷 庚申
趙居穆 庚申
趙觀聖 甲子
吳就大 乙丑
趙得魯 庚戌
趙宅安 戊午
趙觀泰 丁巳
趙觀成 壬申
權昌漢 乙丑
權昌潤 己未
權正龍 己未 重出
趙崇適 戊辰
孫重光 戊申
李重穆 辛未
趙柱臣 庚午
尹 緄 丁卯
尹光復 庚午
趙尙鉉 戊辰
趙永復 丁卯 改 重復
吳宇漢 癸酉
鄭亨復 己未
趙尙睦 庚申
鄭仁復 甲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