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8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684.4776-20110630.Y11113031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128
작성시기 1684
형태사항 크기: 37 X 24
판본: 필사본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향교길 22-20

관련자료

안내정보

1684년 영양향교 집강안
이 자료는 1684년 영양향교 건립시 참여한 유생들의 명단인 집강안과 봉안시의 집사분정기, 1685년부터 1688년까지 매년 2월과 8월의 대제시의 대제집사분정기를 묶은 것이다. 이 집강안은 17세기 말 당시의 영양내 대표적인 사족들을 대부분 망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봉안식에 참석한 유생들은 모두 143명이었다. 지역별로 구분해보면 영양 74명, 인근지역 유림 69명이다. 영양유림 중 67명은 거주지를 기록할 필요가 없기에 기록하지 않았지만, 7명은 영양이라 표기하고 있다. 이는 이름의 전후로 타 지역에서 온 성씨들이 기재되어 있기에 이들과 구분하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이들 성씨들을 지역과 성별로 구분해 보면 영양의 경우 한양조씨가 2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양남씨 11명, 함양오씨 9명, 안동권씨 5명, 능주구씨 4명, 봉화금씨ㆍ단양우씨ㆍ야성정씨 각 3명, 월성손씨ㆍ재령이씨 각 2명, 의성김씨ㆍ웅천주씨ㆍ영월신씨 각 1명 순이었다. 이들 성씨는 20세기 초에 작성된 『교남지』에도 동일하게 기재되고 있는데, 이들 성씨들이 큰 변동없이 지역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영양향교 창건 시 참석한 인근지역 유림은 총 69명이다. 봉화를 비롯하여 순흥, 안동, 영덕, 영천, 영해, 예안, 용궁, 울진, 진보, 함창 등 모두 12지역 이었다. 참여인원 순으로 보면, 예안이 25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안동 12명, 진보 9명, 영해 7명, 봉화 4명, 상주ㆍ순흥 각 3명, 영천(영주) 2명, 영덕ㆍ용궁ㆍ울진ㆍ함창 각 1명 순이다. 한편, 타 지역 출신자 성씨 분포를 보면 김씨 22명, 이씨 12명, 권씨 10명, 금씨 5명, 신씨 4명, 남씨ㆍ박씨 각 3명, 곽씨ㆍ변씨ㆍ서씨ㆍ안씨ㆍ윤씨ㆍ정씨ㆍ홍씨ㆍ황씨 각 1명씩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영양지역 사족과 통혼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안동ㆍ예안을 중심으로 진보ㆍ영해ㆍ봉화지역의 사족들이 대부분이었음은 이를 반증한다. 봉안시집사분정기는 1684년 11월 26일 현유의 봉안제향때 집사분정기이다. 초헌은 현감 박숭부가 맡았다. 아헌은 조규, 종헌은 이진조, 분헌은 김면, 조책이 맡았다. 대제집사분정기는 1685년부터 1688년까지 매년 2월과 8월의 대제 때 작성한 것이다. 향교 건립이후 헌관은 대부분 한양조씨가 담당하였으며, 영양남씨와 함양오씨, 의성김씨, 재령이씨 가문에서 집사를 담당하였다. 이는 한양조씨 가문이 여타 사족가문에 비하여 족세가 우월하였음을 알려준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상세정보

1684영양 영양향교 봉안시에 참석하였던 양반유생들의 명단인 집강안과 집사분정기 및 1688년까지의 大祭時 집사분정기를 함께 묶어 놓은 명부
내용 및 특징
이 자료는 1684영양 영양향교 건립시 참여한 유생들의 명단인 執綱案과 봉안시의 집사분정기, 1685년부터 1688년까지 매년 2월과 8월의 大祭時의 大祭執事分定記를 묶은 것이다. 현재 영양 영양향교에는 1684년에 작성된 執綱錄을 비롯하여 1684~1784년 집강록, 1723~1769년 집강록, 1890년부터~현재까지의 집강록 그리고 英山書院가 훼철되면서 옮겨진 것으로 보이는 영산서원의 집강안 등을 소장하고 있다. 執綱錄은 향교 유생의 職任錄으로서 執綱ㆍ校任ㆍ儒任ㆍ齋任등으로도 기록되고 있는데 같은 자료 속에도 한 가지 이름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영양현1413년에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영해의 속현이 되었다가 1676년에 邑民들이 復縣을 청하여 복설하였으나, 다음해에 다시 영해부로 이속시켰다. 1678년 邑民들의 요청으로 읍내면동남면덕봉면수비면진보현에 移屬되었고, 청기면석보면영해에 移屬되었다. 이후 1683년 邑民 南時稷 등이 진정하여 특명으로 復說하고 현감을 두고 독립시켰다. 이때 석보면은 계속 영해부에 영속시키고, 청기면영양에 환속하였다. 이후 석보면1906년에 영양군으로 다시 이속되었다. 이처럼 태종이후 오랜 기간 영해의 속현으로 존재하였던 영양현숙종대 복현이 되어서야 비로소 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1684년 향교가 건립되었다.
이 집강안은 17세기 말 당시의 영양내 대표적인 사족들을 대부분 망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683영양이 복현되기 까지 향교 봉안에 참여했던 사족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복현 요구가 이뤄졌으며, 이들 가문의 인물들 중 재경관인으로 나아간 자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영양 사족들의 복현 요구는 당시 主邑인 영해부의 강력한 반발로 수차례 좌절되었지만, 약 1세기동안 안동, 봉화, 진보, 영해 등지의 사족들과 通婚으로서 맺어진 족적 연대를 기반으로 復縣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복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영양사족 및 인근 고을의 관련 사족들은 이듬해 향교 봉안시에도 참석하여 이를 축하해 주었다. 봉안식에 참석한 유생들은 모두 143명이었다. 당시에 작성된 집강안에는 이들의 이름과 字, 생년, 거주지 등을 기록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자와 생년이 생략된 경우도 있지만, 이들을 지역별로 구분해보면 영양 74명, 인근지역 유림 69명이다. 영양유림 중 67명은 거주지를 기록할 필요가 없기에 기록하지 않았지만, 7명(南氏 3명ㆍ禹氏 1명ㆍ鄭氏 1명ㆍ趙氏 2명)은 英陽이라 표기하고 있다. 이는 이름의 전후로 타 지역에서 온 성씨들이 기재되어 있기에 이들과 구분하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이들 성씨들을 지역과 성별로 구분해 보면 영양의 경우 漢陽趙氏가 2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英陽南氏 11명, 咸陽吳氏 9명, 安東權氏 5명, 綾州具氏 4명, 奉化琴氏ㆍ丹陽禹氏ㆍ野城鄭氏 각 3명, 月城孫氏ㆍ載寧李氏 각 2명, 義城金氏ㆍ熊川朱氏ㆍ寧越辛氏 각 1명 순이었다. 이는 각종 지리지 및 읍지에 나오는 성씨들과 비교해 함으로써 이들 세력이 영양에서 갖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新增東國輿地勝覽寧海都護府조에 나오는 토성은 朴·金·黃·李·林·申이며, 속현인 英陽은 南·李·金·房(方), 靑杞縣의 續姓으로 兪·崔씨가 石保의 續姓으로 金氏가 있었다. 1832년경에 작성된 『慶尙道邑誌』의 영양현 姓氏條를 보면, 本縣의 성씨로 南, 金氏가 있으며, 來姓으로 漢陽趙氏, 咸陽吳氏, 綾州具氏, 奉化琴氏, 安東權氏, 野城尹氏, 野城鄭氏, 潘南朴氏, 月城孫氏, 竹山安氏, 丹陽禹氏, 熊川朱氏, 寧越辛氏 등이 있었다. 대개 읍지 등에 기재된 성씨들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사족들임을 감안한다면, 19세기 초 영양현을 대표하는 성씨들은 모두 15개였으며, 이중 13개가 來姓이었음을 알려준다. 이들 성씨는 20세기 초에 작성된 『嶠南誌』에도 동일하게 기재되고 있는데, 이것은 영양의 대표적인 양반사족들이 큰 변화없이 지역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영양남씨는 새로 입향한 세력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지역적 기반을 유지해 나간 반면, 여타 영양의 토성들은 그 세력이 쇠잔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새로 들어온 來姓들은 16세기에 대부분 입향 하였는데 대개 혼인에 의한 移住였다. 또한 읍지에는 나오지 않지만 16세기 전반에 寧海로 부터 英陽甘川에 이거한 樂安吳氏도 있었다. 낙안오씨는 향교 건립이전인 16세기 말의 英山書堂 건립에도 동참하고 있었으며, 18세기 말의 校案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7세기 말의 영산서원의 사액 청원시의 자료에서는 낙안오씨는 보이지 않으며, 19세기의 부교안에서도 이들을 찾을 수 없다. 그 이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남인이 정치적으로 축출된 갑술환국이 같은 해에 있었으며, 18세기 말에 낙안오씨들이 중심이 되어서 송시열을 제향하는 운곡영당의 건립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남인계 사족들과 극심한 마찰이 있었다는 점에서 낙안오씨는 갑술환국 이전부터 중립내지 노론계로 전향한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영산서당 건립과 사액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17세기 초반까지 영양현의 토성인 영양남씨가 다른 성씨들에 비하여 족세가 우세하였지만, 17세기 중반이후 한양조씨, 함안오씨, 안동권씨 등의 來姓이 안착하면서 족원의 수가 늘고 있었으며, 서로 通婚하면서 족적 결속을 다져나갔다. 이외에도 새로이 봉화금씨, 단양우씨, 월성손씨 등이 사액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서 諸門中의 영양 移居도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한양조씨는 영양전역으로 그 세를 확장하는 한편, 문과급제자와 생원, 진사 등을 많이 배출하면서 영양을 대표하는 사족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영양뿐만 아니라 안동, 봉화, 영해, 진보 등지의 사족들과 혼맥을 넓혀 나갔으며, 이러한 족세의 번성은 교안, 집강안 및 각종 上書 등에 참여하는 인원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영양 영양향교 창건 시 참석한 인근지역 유림은 총 69명이다. 봉화를 비롯하여 순흥, 안동, 영덕, 榮川, 영해, 예안, 용궁, 울진, 진보, 함창 등 모두 12지역 이었다. 참여인원 순으로 보면, 예안이 25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안동 12명, 진보 9명, 영해 7명, 봉화 4명, 상주순흥 각 3명, 榮川 2명, 영덕용궁울진함창 각 1명 순이다. 한편, 타 지역 출신자 성씨 분포를 보면 金氏 22명, 李氏 12명, 權氏 10명, 琴氏 5명, 申氏 4명, 南氏ㆍ朴氏 각 3명, 郭氏ㆍ邊氏ㆍ徐氏ㆍ安氏ㆍ尹氏ㆍ鄭氏ㆍ洪氏ㆍ黃氏 각 1명씩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영양지역 사족과 통혼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안동예안을 중심으로 진보영해봉화지역의 사족들이 대부분이었음은 이를 반증한다. 특히 김씨, 권씨, 이씨, 금씨와 더욱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실제 안동임하 일대에 살고 있던 의성김씨의 경우 靑溪 金璡靑杞로 옮겨와 농장을 개설하여 상당한 부를 축척하기도 했으며, 영양에 왕래하면서 寓居하기도 했던 그는 英山書堂 건립을 주도 하였었다. 이후 그의 아들 藥峯 金克一英山書堂에 출입하면서 영양사족과의 관계가 계속 유지되었던 것이다. 이런 관계는 영양사족의 성장과 더불어 혼인관계로 발전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영산서당英山書院으로 陞院하였는데, 당시의 書堂長은 영해석보에서 영양首比山中에 은거하고 있던 載寧人 李時明이었다. 奉安時執事分定記는 1684년 11월 26일 賢儒의 奉安祭享때 집사분정기이다. 初獻은 縣監朴崇阜가 맡았다. 亞獻은 趙頍, 終獻은 李震操, 分獻은 金沔, 趙頙이 맡았다. 大祭執事分定記는 1685년부터 1688년까지 매년 2월과 8월의 대제 때 작성한 것이다. 향교 건립이후 獻官은 대부분 한양조씨가 담당하였으며, 영양남씨와 함양오씨, 의성김씨, 재령이씨 가문에서 執事를 담당하였다. 특히 趙德鄰, 趙德純 형제는 이 시기에 科擧에 급제하여 家格을 더 높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근 사족들과 교류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이런 노력은 결국 한양조씨가 鄕校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촌사회를 영도하였던 것이다.
자료적 가치
이 자료는 17세기 영양현의 대표적인 사족들을 망라한 것으로서 향교의 건립에 참여한 세력을 알려준다. 집강안은 향교의 운영을 담당하는 校任으로서 이를 통해 영양 영양향교의 운영주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이 집강안은 향촌사회의 변화 과정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8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執綱錄
趙 頍 子 晃 庚午
趙 頩 子 休 癸酉
南翼漢 泰而 壬午
吳以謙 子 益 甲申
吳三聘 殷鄕 癸巳
趙 頙 汝直 丙子
趙 顒 子 昻 己卯
琴以武 尙甫 己卯
趙 䪳 信仲 壬午
趙{憲+頁} 憲夫 壬午
吳三省 崔吾 乙酉
趙 䫆 顯仲 丁亥
吳三益 君錫 丁亥
趙是昌 德裕 壬辰
趙是常 德彛 癸巳
吳學曾 ?? 己亥
孫述祖 孝達 己卯
辛孝曾 初則 甲申
吳三高 美? 乙酉
朴師儉 行源 庚寅 禮安
金基烈 ?? 甲子 奉化
權斗夏 夏叔 癸未
權壽頤 彦命 辛卯 安東
權壽徵 眉瑞 乙未 眞寶
權壽期 彦百 己亥 眞寶
權壽龜 文瑞 庚子 上同
朴亨基 德裕 己亥 上同
李基泰 ?? 癸未 順興
邊 澐 宗甫 丙申 奉化
琴 勗 勔叔 戊戌 奉化
鄭 塾 士章 丙申 英陽
南厚明 哉瑞 庚子 寧海
南漢明 雲瑞 庚子 上同
金 洵 明允 癸巳 禮安
南鵬翔 擧遠 庚子 英陽
權榮久 和遠 癸巳
李碩葉 癸巳 ??
趙德培 ?? 丁亥
趙德周 ?? 己亥
趙德亨 仲會 壬寅
南胤明 寧海
趙 䫨 謹仲 己丑
趙{敖+頁} 謹仲 乙未
金 沔 志海 己卯
權以重 汝則 丙申
金震昌 爾長 戊戌 安東
金克昌 士能 乙巳 上同
趙德純 題浦 壬辰
趙德鄰 定仁 戊戌
琴 紏 士正 丁酉
趙壽彬 德彬 乙未
趙壽聃 老而 己亥
具 侙 君則 己丑
具 儐 彦始 戊子
具 佾 彦鄕 甲午
金星斗 ?? 戊戌 順興
權聖任 聖用 戊戌
南陽耈 ?亮 戊寅
趙壽陽 景峻 戊子
趙壽河 汝淸 辛卯
趙壽海 子宗 丙申
趙壽恒 汝而 丙申
金斗南 爾仰 壬辰 禮安
黃允成 德基 壬辰 上同
金斗山 汝愈 乙未 上同
琴聲徹 通彦 己卯
權斗苟 天瑞 癸巳 安東
南翼河 聖瑞 甲申
孫萬源 ?? 壬寅
李秀葉 秀沙 丙申
金振國 都泊 丁未 禮安
金泰恒 士常 辛丑 禮安
李聖休 時若 癸巳 禮安
權載一 ?? 戊戌
金是義 眞寶
權正始 眞寶
金緯星 榮川
金老星 榮川
申?軫 昌遠 盈德
南時秀 ?? 壬子 英陽
南時重 ?? 丁亥 英陽
安夏龍 見伯 戊戌 順興
金尙義 伯和 癸巳 眞寶
金就義 道成 己亥 上同
李國弼 保? 庚子 禮安
趙壽百 子峻 庚子 英陽
金 碱 禮安
金錫㣧 昌叔 禮安
金伯賢 希聖 禮安
禹希逸 ?? 己卯 英陽
李盛葉 辛丑 ??
禹鳴虞 ?? 戊戌
朱善文 ?? 戊戌
金伯麟 聖休 戊戌 安東
金充重 ?? 辛丑 上同
洪后謙 ?? 癸巳 尙州
李之垕 載伯 龍宮
趙是剛 德中 庚子
柳後百 士壽 壬寅 安東
權 凞 士光 丙申 禮安
吳三重 ?? 丙戌
吳三慶 道? 乙未
金南重 ?? 甲辰 安東
李震標 斗而 乙亥 禮安
琴尙謙 仲益 庚辰 上同
李恒標 久而 辛巳 上同
李聖佑 輔鄕 丙申 上同
具 僐 德章 甲辰
鄭堯性 ?? 庚寅 眞寶
金汝鐸 天? 戊戌 安東
琴以中 養吾 辛卯 奉化
申錫五 福? 壬辰 禮安
申敬五 以寬 辛丑 上今
權用? 汝度 壬寅 上今
李 杺 季榦 壬寅 寧海
尹 垍 豫長 乙巳 ?? 蔚珎
孫景曾 魯以 癸巳 禮安
申世城 守鄕 甲申 咸昌
趙 顃 ?? 癸未
趙 ? 退夫 丙申
南時赫 ?? ??
李東植 安東
朴時? 禮安
李 植 ?培 戊戌 寧海
李 檖 ?? 壬寅 上同
李 ? 聖在 癸卯 上同
金世柱 禮安
趙 頧 冕仲 辛卯 英陽
吳三錫 仲? 己亥
趙壽咸 饗吾 甲辰
琴舜操 士薰 壬午 禮安
徐命徽 德操 辛巳 尙州
郭萬翼 敬甫 辛卯 尙州
權載禮 義則 辛卯 禮安
南時夏 夏仲 辛卯
權斗南 光彦 己亥 安東
琴以正 士? 己卯 安東
金重國 禮安
南翼老 晦彦 乙未
鄭時弘 以寬 壬寅
甲子十一月二十六日 奉安時執事分定記
初獻 縣監 朴崇阜
亞獻 趙頍
終獻 李震操
分獻 金沔
趙頙
大祝 趙德純
判陳設 琴尙謙
陳設 吳以謙
贊者 趙德鄰
通喝 趙?
南時赫
外?執禮 李恒標
謁者 金尙義 金洵 金老星
贊引 金是義 李東植
正位司尊 南㣧明
奉香 李基泰
奉爐 李之垕
奉爵 金基烈
奠爵 琴勗
東配位司尊 權斗夏
奉香 金振國 安夏龍
奉爐 申敬五 金伯麟
奉爵 南漢明
奠爵 柳後百
西配位司尊 琴紏
奉香 金充重 李國弼
奉爐 李杺 金汝鐸
奉爵 金星斗
奠爵 李檖
東徔祀司尊 趙德周
奉爵 具侙
奠爵 金震昌
西徔祀司尊 趙?
奉爵 金緯星
奠爵 鄭堯性
掌牲 權載一
掌饌 南翼河
滌器 趙?
盥洗位 南翼漢 趙是昌
乙丑二月七日 大祭是執事
初獻 縣監 朴崇阜
亞獻 趙德鄰
終獻 趙頙
分獻 南翼漢
吳以謙
大祝 南翼河
判陳設 趙顃 趙壽衡
贊者 吳三省
通喝 趙壽億 權聲遠
謁者 趙頧 趙德亨 吳三聘
贊引 趙是常 趙壽天
正位司尊 南世經
奉香 趙德培
奉爐 趙壽彬
奉爵 趙䫨
奠爵 琴紏
東配位司尊 朱震文
奉香 吳三說
奉爐 趙?
奉爵 趙壽海
奠爵 南翼老
西配位司尊 朱震文
奉香 吳三說
奉爐 趙?
奉爵 趙壽海
奠爵 南翼老
東徔祀司尊 李圭葉
奉爵 李尙義
奠爵 南時赫
西徔祀司尊 趙?
奉爵 趙壽咸
奠爵 孫萬源
掌牲 趙壽彬
掌饌 趙德培
盥洗 具伉 趙壽星
滌器 趙䫨 南翼老
學生 田有興 李萬雄
乙丑八月九日 大祭執事
初獻 縣監 朴崇阜
亞獻 具時傑
終獻 趙顒
分獻 琴以英
分獻 趙壽華
大祝 具侙
判陳設 吳三重
陳設 趙壽南
贊者 權斗夏 權應鈴
通喝 南天楨 權聲遠
謁者 趙壽天 趙壽彬 趙是常
贊引 具僐 趙德亨
正位司尊 南翼漢
奉香 吳三聘
奉爐 趙是昌
奉爵 吳三說
奠爵 趙壽益
東配位司尊 趙顃
奉香 金振國
奉爐 具佾
奉爵 趙壽恒
奠爵 朱震文
西配位司尊 趙壽漢
奉香 琴紏
奉爐 趙壽聃
奉爵 孫萬源
奠爵 朱善文
東徔祀司尊 權以重
奉爵 南鵬翔
奠爵 李碩葉
西徔祀司尊 禹鳴虞
奉爵 李圭葉
奠爵 權應銖
掌牲 趙是昌
掌饌 吳三聘
盥洗 趙壽星
滌器 南翼漢
學生 吳三重 趙壽南 田有興
丙寅二月三日 大祭時執事
初獻 縣監 朴崇阜
亞獻 趙顒
終獻 趙頙
分獻 趙壽華
分獻 李恒標
大祝 具侙
判陳設 趙顃
陳設 吳三傑
贊者 南翼漢 琴紏
通喝 趙壽星 權道衡
謁者 趙是常
贊引 南翼老 南時赫 具僐 權以
正位司尊 南時重
奉香 吳三說
奉爐 權載一
奉爵 李秀葉
奠爵 鄭時克
東配位司尊 權聖任
奉香 吳三聘
奉爐 趙壽?
奉爵 朱震文
奠爵 南鵬翔
西配位司尊 金?興
奉香 吳三錫
奉爐 孫萬源
奉爵 鄭燻
丙寅八月五日 大祭執事
初獻 趙頍
亞獻 金沔
終獻 李恒標
分獻 趙顃
趙顂
大祝 具侙
判陳設 趙壽漢 趙壽南
贊者 琴紏
通喝 李載厚 趙壽億
謁者 趙壽天
贊引 趙壽百 趙壽聃 趙壽咸
正位司尊 趙是剛
奉香 趙壽彬
奉爐 南時赫
奉爵 鄭時克
奠爵 吳三說
東配位司尊 趙?
奉香 吳三益
奉爐 權應鉉
奉爵 具佾
奠爵 權載矩
西配位司尊 趙?
奉香 趙壽南
奉爐 南鵬翔
奉爵 具佾
奠爵 權載矩
東徔祀司尊 李碩葉
奉爵 權應鉉
奠爵 南鵬翔
西徔祀司尊 金梃興
奉爵 趙壽漢
奠爵 吳三益
掌牲 南時赫
掌饌 琴紏
盥洗 田有興 白來章
滌器 趙是剛
學生 趙? 南樞星 趙壽
丁卯二月九日 大祭執事
初獻 趙德純
亞獻 琴以英
終獻 趙顒
分獻 趙?
分獻 趙壽泰
大祝 具侙
判陳設 趙是常
陳設 趙?
贊者 吳以謙
通喝 趙壽億 權道衡
謁者 趙壽天
贊引 具佾 南時赫 權應鉉
正位司尊 趙是常
奉香 琴紏
奉爐 權載一
奉爵 琴 紏
奠爵 權載一
東配位司尊 趙是常
奉香 南漢明
奉爐 趙是剛
奉爵 朱震文
奠爵 趙壽聃
西配位司尊 趙是常
奉香 南漢明
奉爐 趙是剛
奉爵 朱震文
奠爵 趙壽聃
東徔祀司尊 吳以亨
奉爵 趙?
奠爵 南鵬翔
西徔祀司尊 吳以赫
奉爵 禹鳴虞
奠爵 趙是剛
掌牲 權載一
掌饌 琴世昱
盥洗 南樞星 南尙賢
滌器 南時赫 趙壽億
學生 趙頹 金遇聲 白來?

八月一日 大祭執事
初獻 縣監 朴崇阜
亞獻 趙頍
終獻 趙德純
分獻 琴以英
趙顒
大祝 琴世昱
判陳設 趙是常
陳設 趙?
贊者 權應鈴
通喝 趙? 權道衡
謁者 趙德亨
贊引 南時赫 具佾 趙壽康 趙?
正位司尊 趙是常
奉香 權載一
奉爐 吳三近
奉爵 趙?
奠爵 趙壽咸
東配位司尊 趙是常
奉香 趙德臣
奉爐 權應銖
奉爵 李圭葉
奠爵 權載久
西配位司尊 趙是常
奉香 趙壽漢
西徔祀司尊 吳以隆
奉爵 趙壽漢
奠爵 趙壽海
掌牲 權載一
掌饌 吳三近
盥洗 田有起 少世榮
滌器 吳三近
學生 南樞星 白來章

戊辰二月四日 大祭執事
初獻官 趙顒
亞獻官 趙?
終獻官 趙?
分獻官 吳以周
分獻官 趙?
大祝 具侙
判陳設 趙?
陳設 具侙
贊者 趙是常
通謁 權道衡 趙壽億
謁者 趙壽聃
贊引 趙壽海 權載久 李碩?
正位司尊 趙䫨
奉香 吳學明
奉爐 趙壽康
奉爵 趙?
奠爵 趙德周
東配位司尊 趙?
奉香 禹鳴世
奉爐 孫萬雲
奉爵 趙?
奠爵 趙德周
西配位司尊 趙?
奉香 趙壽百
奉爐 李碩葉
奉爵 禹鳴虞
奠爵 李圭葉
東徔祀司尊 吳三慶
奉爵 吳以?
奠爵 朱善文
西徔祀司尊 南鵬起
奉爵 禹鳴世
奠爵 孫萬雲
掌牲 趙壽康
掌饌 吳學明
盥洗 南樞星 田有起
滌器 吳學明
學生 趙? 李東直 趙壽星 南?

戊辰八月七日 大祭執事分
初獻官 縣監 朴崇阜
亞獻官 趙顒
終獻官 趙壽華
分獻官 趙?
分獻官 南翼漢
大祝 琴世昱
判陳設 權應銓
陳設 琴世昱
贊者 趙是常
通喝 權道衡 趙?
謁者 趙壽聃
贊引 具佾 趙壽咸 朱善文
正位司尊 權應銓
奉香 吳學明
奉爐 趙壽康
奉爵 趙壽河
奠爵 趙德周
東配位司尊 權應銓
奉香 權載一
奉爐 權萬經
奉爵 趙壽河
奠爵 趙德周
西配位司尊 權應銓
奉香 孫萬雲
奉爐 南再昌
奉爵 禹鳴世
奠爵 李?葉
東徔祀司尊 朱震文
奉爵 權應銖
奠爵 吳三慶
西徔祀司尊 南鵬翔
奉爵 辛渭望
奠爵 孫萬雲
掌牲 吳學明
掌饌 趙壽康
盥洗 南??
滌器 趙壽康
學生 金遇聲 安世昌 金希宗 吳學

己■八月四日 大祭執事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