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08년 권열(權悅) 노비매매(奴婢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D.1708.4721-20150630.07302310017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입안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작성주체 권열, 풍기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08
형태사항 크기: 27 X 42
장정: 점련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08년 권열(權悅) 노비매매(奴婢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권열(權悅)허용(許容)조중서(曹重瑞)에게 1708년(숙종 34) 3월 25일에 노비를 사고 이를 증빙받기 위해 풍기군(豊基郡)으로부터 같은 해 윤3월에 발급받은 입안(立案)이다. 관련문서로 매매명문 1건, 입안신청 소지 1건, 초사 2건이 점련되어 있다. 권열은 여종 3명을 동전 70냥을 주고 매입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708년에 權悅許容曹重瑞에게 노비를 사고 豊基郡으로부터 발급받은 立案
權悅許容曹重瑞에게 1708년(숙종 34) 3월 25일에 노비를 사고, 이를 증빙받기 위해 豊基郡으로부터 같은 해 윤3월에 발급받은 立案이다. 관련문서로 매매명문 1건, 입안신청 소지 1건, 초사 2건이 점련되어 있다. 권열은 비 3명을 동전 70냥을 주고 매입하였다.
점련된 매매명문과 소지에는 허용조중서가 노비를 파는 이유가 설명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다. 허용조중서는 同壻사이이고, 방매하는 노비는 장인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이들의 장인은 婢 五十德(갑진년생)과 오십덕의 딸 玉禮(무신년생)를 1672년에 매입하였다. 그런데 아들 없이 딸만 2명이 있을 뿐이어서, 이 婢를 유언으로 딸 사위에게 남겨주었다. 본문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제사를 설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재산을 넘긴 것으로 보인다. 이 노비들은 경상도 풍기군에 살고 있는데, 두 사위는 충청도 丹陽에 살고 있었다. 이 때문에 허용조중서는 노비를 부리기 번거롭고, 큰 흉년을 만나 생계가 어렵다는 이유로 노비를 팔고 있는 것이다. 팔고 있는 노비는 玉禮옥례의 소생 2명이다.
풍기군에서는 입안을 요청한 권열의 所志[課狀]에 의거해 婢의 주인인 허용조중서를 불러다가 심문하고, 노비문서[賤籍]를 납부 받아 살펴보았다. 노비문서란 두 사위에게 노비를 물려준 장인인 幼學 安繼徵이 노비를 매입할 때 받은 노비매매 사급입안이다. 입안에서는 이 매매명문의 내용을 확인하였음을 명시하고 있다. 즉 한계징이 寡女 金召史에게 노비를 산 문서이고, 필집 林唜立와 證保人 文莫立의 착명 및 수촌이 있다. 그리고 婢 玉禮를 판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양군에서 발급해준 입안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거래목적물인 婢 玉禮, 二正, 命進은 모두 五十德의 後所生이라고 하고 있다. 이에 규례에 따라 관련 문서를 점련하여 돌려주고 입안을 발급한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08년 권열(權悅) 노비매매(奴婢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康熙四十七年閏三月日。豊基郡立案。
右立案爲成給事。粘連課狀據。婢主
率來推問取招爲旀。傳來賤籍取
納相考爲乎矣。筆執記官林唜立着名。
證保人文莫立着手寸。婢主寡女金召史
幼學安繼徵處放賣明文內。父邊傳
來婢五十德一所生婢玉禮戊申生身乙。
後所生幷以。永永放賣是如。丹陽郡
出文記是齊。今此放賣中。玉禮二正
命進等段。五十德買得後所生是乎等
以。依例葉作粘連退給爲遣。合
行立案者。
行郡守[署押]